• 맑음동두천 10.2℃
  • 구름조금강릉 14.3℃
  • 맑음서울 13.2℃
  • 맑음충주 9.2℃
  • 맑음서산 9.0℃
  • 맑음청주 14.0℃
  • 맑음대전 11.9℃
  • 맑음추풍령 10.2℃
  • 맑음대구 11.9℃
  • 맑음울산 14.5℃
  • 맑음광주 12.9℃
  • 맑음부산 16.3℃
  • 맑음고창 10.7℃
  • 박무홍성(예) 10.0℃
  • 구름조금제주 17.2℃
  • 맑음고산 17.2℃
  • 맑음강화 10.9℃
  • 맑음제천 6.5℃
  • 맑음보은 8.2℃
  • 맑음천안 9.8℃
  • 맑음보령 11.2℃
  • 맑음부여 9.8℃
  • 맑음금산 9.1℃
  • 맑음강진군 13.2℃
  • 맑음경주시 9.6℃
  • 맑음거제 12.9℃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1.11.24 16:09:21
  • 최종수정2021.11.24 16:09:21

이상준

전 음성교육장·수필가

음성군 삼성면의 면소재지인 덕정리에서 진천군 광혜원을 가다보면 삼성면 상곡리를 지나게 된다.

삼성면의 서북단에 위치한 상곡리는 해발 345.6m의 백운산 줄기에 위치해 있으며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과 음성군 진천군 광혜원면에 접해 있는 곳이다. 원래 웃골이라 불리는 마을이 있어 한자로 상곡(上谷)이라 표기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점골을 병합해 상곡리라 하고 삼성면에 편입됐다.

인근에 중부고속도로가 건설되면서 산골 마을에 음성삼성농공단지와 음성하이텍일반산업단지가 조성돼 에이스 침대를 비롯한 대규모 공장이 들어서고 전국으로 축산물을 공급하는 음성축산물공판장이 생겨나면서 새로 난 길이 거미줄처럼 갈라지니 어디가 마을이고 어디가 공장인지 한참을 헤맨 후에야 마을을 찾아갈 수가 있었다.

작은 언덕으로 이뤄진 야트막한 야산에 녹색으로 우거진 숲과 논과 밭이 펼쳐진 넓은 들판에 소꿉장난하듯이 집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는 마을의 정겨운 모습은 온데 간데 없고 농공단지의 대규모 공장들에 가려진 마을은 옛 모습을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변했다. 더욱이 도로는 구불구불한 농로를 상곡로, 청용로라 이름 짓고 마을에서 갈라지는 골목길은 모두 점골길이라 해 위치를 알아보기가 매우 어렵다. 도로명 주소는 반듯한 도로와 건물이 있는 도시에서는 편리하지만 우리나라의 농촌 지형에는 전혀 맞지 않아서 혼란만 주게 되는 것 같다.

상곡리에는 웃골, 웃점골, 아랫점골, 매일, 건너말 등의 마을이 있는데, 그 중에서 점골은 '점골, 정골, 웃정골, 상점동(上點洞), 아랫정골, 하점동(下點洞)'이라 불리고 있어 '점골'이 무슨 의미를 가진 지명인지 그 이미지가 바로 떠오르지 않는다.

'점골, 점말, 정골, 점동'이라는 지명은 전국에 너무 많이 있으므로 충북 지역에서 찾아보면 '점골'이 제천시 송학면 오미리, 증평군 증평읍 용강리, 충주시 신니면 광월리, 괴산군 괴산읍 검승리, 영동군 영동읍 오탄리 등에 있고 '점말'은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의 금관리와 성대리, 충주시의 살미면 설운리와 수안보면 미륵리, 노은면 문성리, 살미면 내사리, 제천시의 송학면 포전리, 음성군의 음성읍 신천리와 읍내리, 진천군의 백곡면 용덕리, 괴산군의 장연면 장암리, 사리면 화산리, 사리면 이곡리, 보은군의 속리산면 중판리, 옥천군의 군서면 오동리, 영동군의 심천면 각계리, 영동읍 오탄리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정골'은 제천시의 수산면 구곡리, 백운면 모정리, 진천군의 광혜원면 실원리, 괴산군의 괴산읍 검승리, 소수면 길선리, 괴산읍 능촌리, 연풍면 유하리, 보은군의 내북면 법주리, 장안면 불목리, 영동군의 매곡면 수원리, 용산면 매금리 등에 있는데 '정골'과 '점골'을 혼용하는 지역이 많이 있고 옥천군 청성면 장수리와 보은군 마로면 원정리의 '점동'은 '점골'을 한자로 표기한 것으로 보아 '정골, 점골, 점동, 점말'은 결국 같은 뿌리에서 변이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정'은 한자로 표기하면 '정(鼎)'이 돼 '솥'의 의미가 되고 '점(店)'은 물건을 만들거나 파는 장소가 돼 '솥점'을 연상하게 되므로 이 마을들은 공통적으로 '옛날에 솥점이 있었다'는 것이 마을 이름의 유래로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옛날에는 철을 가공해 솥을 만드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므로 솥을 만들거나 솥을 파는 곳이 이렇게 여러 지역에 많이 분포한다는 것은 납득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점골'과 '정골'의 혼용에서 비롯된 잘못된 해석으로 보인다. 만약에 솥점이 많이 존재한 것이 사실이라면 솥을 만들거나 파는 집만을 가리켜 '솥점'이라 할 것이며 솥점이 있는 마을을 가리키는 지명이라면 '솥점말, 솥점골'이라는 이름이 많이 남아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다는 것은 '점골, 점말, 정골'이 '솥'과는 연관이 없는 것이라 하겠다.

그렇다면 '점'이나 '정'은 유사한 음에서 변이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인근에 '잣골'에서 변이된 '절골'이 존재하는 곳이 많은 점과 지형상 산줄기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으로 보아 지명 요소에서 '점'이나 '정'과 유사한 음의 지명 요소는 '잣(산)'을 들 수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점골, 점말, 정골, 점동'의 뿌리는 '잣골(산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라고 보는 것이 가장 타당할 것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