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6.1℃
  • 맑음강릉 7.7℃
  • 맑음서울 7.4℃
  • 맑음충주 7.4℃
  • 맑음서산 8.3℃
  • 맑음청주 8.8℃
  • 맑음대전 10.1℃
  • 맑음추풍령 8.6℃
  • 맑음대구 12.0℃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11.2℃
  • 연무부산 12.6℃
  • 맑음고창 8.6℃
  • 맑음홍성(예) 7.7℃
  • 맑음제주 13.0℃
  • 맑음고산 11.0℃
  • 맑음강화 4.8℃
  • 맑음제천 6.9℃
  • 맑음보은 9.5℃
  • 맑음천안 8.5℃
  • 맑음보령 9.2℃
  • 맑음부여 9.6℃
  • 맑음금산 8.9℃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2.10.12 15:51:58
  • 최종수정2022.10.12 15:51:57

이상준

전 음성교육장·수필가

'먹뱅이'라는 지명은 전국적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다.

충북 지역에만 해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묵방리를 비롯하여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내산리의 먹뱅이, 묵방들, 금왕읍 육령리의 먹뱅이, 진천군 진천읍 송두리의 먹뱅이, 보은군 수한면 묘서리의 먹뱅이들, 영동군 양강면 산막리의 먹뱅이 들이 있는데 한결같이 한자로 '묵방리(墨房里)'라 표기하면서 '먹(墨)'과 관련된 유래가 전해지고 있다.

예전에 먹을 만드는 곳을 가리키는 말이 '먹방'이었기 때문에 '먹방'이 마을의 이름이 되는 경우가 있었고, 선비들이 많이 살았거나 서당이 있었던 마을도 '묵방, 묵실' 등으로 부르게 되는 경우가 있었으므로 '먹뱅이'는 자연스럽게 '먹방(墨房)'과 연관 짓거나, '먹(墨)'의 '검다'는 의미를 가지고 유래나 전설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충북 영동군 양강면 산막리는 소백산맥 준령의 천마산 자락에 자리하고 있는 마을이다. 이 마을의 옛 이름은 먹(墨)을 만드는 마을이라 하여 '먹뱅이', 또는 '묵방동(墨芳洞)'이라 불렸고, 지금도 마을 앞 골짜기인 복골(福谷)에는 먹을 굽던 터가 남아 있다고 한다.

충남 공주시 유구읍 녹천리의 '먹뱅이'의 유래를 보면 "옛날 어느해 설날에 이 마을에 있는 김서방네 집에서 아낙네와 색시들이 널뛰기를 하고 있는데 갑자기 하늘에서 천둥이 울리며 소낙비가 내리더니 하늘에서 먹구름이 흘러와 김서방네 집을 둘러싸고는 천둥소리와 번개소리가 더욱 커졌다. 그러다가 한참만에 먹구름이 서서히 동녘으로 사라졌는데 그 때 김서방의 아내가 감쪽같이 없어졌다. 먹구름이 끼고 한 아낙네가 없어진 곳이라 하여 사람들은 이 골짜기를 먹뱅이라 부른다"고 전해지고 있다.

전남 영암군 학산면 묵동리는 먹을 만드는 곳이라 하여 먹뱅이 또는 묵동이라 했는데 일설에 의하면 마을 앞 별매산에 '필봉(筆峰)'이 있고, 마을 동쪽에 '연수등(硯水嶝)'이 자리하며 서쪽에는 등잔봉(燈盞峰)이 있고 북쪽의 마을 주산이 병풍처럼 펼쳐져 옥녀가 글을 쓰려 할 때 붓과 벼루는 있는데 먹이 없어 마을 이름을 먹뱅이라 했다는 설이 전해져 온다.

다른 지역의 '먹뱅이'들에서도 예전에 묵(서예)을 자영하거나 학문을 숭상하는 문필사우의 후예가 자리 잡았다는 이야기들이 전해지고 있다.

그러면 먹뱅이라는 지명은 왜 이렇게 많이 존재하는 것일까?

'먹뱅이'란 '묵은 배미'가 변이된 말로서 '농사를 짓지 않고 묵히는 농지'를 의미하는 말이다. 옛날에는 농업사회이기 때문에 농토가 많이 필요했다. 그래서 농토가 없는 사람들은 먹고살기 위하여 남의 농토를 빌려 농사를 짓는 소작인이 대부분이었고, 남의 집의 머슴살이를 하거나 화전민이 되는 일도 비일비재했다.

그렇다면 어째서 농지에 농사를 짓지 않고 묵히는 묵밭, 묵은 배미가 많았던 것일까?

여기에는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 옛날에는 오늘날처럼 비료가 없었기에 오직 지력에 의해서만 농사를 지었고 농토에는 인분, 가축분뇨, 퇴비 등으로 거름을 했으나 지력을 회복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화전민들도 산을 개간해 한번 농사를 지으면 지력이 감퇴해 다음해에는 농작물이 자라지 못하기에 또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 새로 개간해 농사를 짓는 일이 되풀이되므로 산지의 곳곳에 잡초가 우거진 묵은 배미가 많았다. 더욱이 사냥꾼이나 화전민과 같은 유목 생활을 벗어나 일정한 곳에 모여서 농사를 지으며 정착 생활을 하게 되면서 같은 농지를 재사용해야 하는 상황이 될 수밖에 없었다. 특히 화곡류는 연작으로 지력이 감퇴해 더 이상 농사를 지을 수가 없게 되면 지력을 회복하는 방법은 휴한농법이 유일했다. 오늘날은 각종 비료를 사용하거나 품종 개량, 다른 품종의 연작 등을 통해 묵히는 농지가 거의 없지만 옛날에는 아주 흔한 일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농사를 짓지 않고 묵히는 묵은 배미를 가리키는 '먹뱅이'가 지명으로 정착돼 여러 지역의 지명이 된 것이다. 그런데 '먹뱅이'를 음차해 한자로 '묵방리(墨房里)'라 표기하다보니 먹과 관련된 유래가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도민들에게 신뢰받고 사랑받는 은행으로"

[충북일보] "올해도 금융지원 본연의 역할은 물론 지역금융 전문은행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나가겠습니다." 임세빈(55) NH농협은행 충북본부장은 취임 2년차를 맞은 소회에 대해 무거운 책임감과 사명감을 느끼고 있다고 운을 뗐다. 일반 은행과 달리 농협은행은 농민과 고객에 대한 서비스와 책임을 지고 있다. 100% 민족자본으로 설립된 은행으로의 기업가치를 지켜야하기 때문이다. 임 본부장은 "금융의 측면에서 신뢰를 바탕으로 고객에게 인정받는 리딩뱅크 운영을 목표로 삼고 있다"며 "농협의 기본 가치인 농업·농촌을 살릴 수 있는 지역사회 공헌과 농산물 소비촉진 등 공익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도시와 농촌을 연결할 수 있는 허브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농협은행의 목표는 '금융을 고객 성장의 수단으로 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원칙을 재정립하고 고객 신뢰를 더욱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임 본부장은 은행의 중점 추진사업으로 네 가지를 꼽았다. 먼저 고객과의 동반 성장을 실현한다. 고객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고려해 맞춤형 금융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둘째, 규정과 원칙을 확립해 고객이 믿고 거래할 수 있는 금융환경을 조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