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0.2℃
  • 구름조금강릉 14.3℃
  • 맑음서울 13.2℃
  • 맑음충주 9.2℃
  • 맑음서산 9.0℃
  • 맑음청주 14.0℃
  • 맑음대전 11.9℃
  • 맑음추풍령 10.2℃
  • 맑음대구 11.9℃
  • 맑음울산 14.5℃
  • 맑음광주 12.9℃
  • 맑음부산 16.3℃
  • 맑음고창 10.7℃
  • 박무홍성(예) 10.0℃
  • 구름조금제주 17.2℃
  • 맑음고산 17.2℃
  • 맑음강화 10.9℃
  • 맑음제천 6.5℃
  • 맑음보은 8.2℃
  • 맑음천안 9.8℃
  • 맑음보령 11.2℃
  • 맑음부여 9.8℃
  • 맑음금산 9.1℃
  • 맑음강진군 13.2℃
  • 맑음경주시 9.6℃
  • 맑음거제 12.9℃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1.11.10 15:37:39
  • 최종수정2021.11.10 15:37:39

이상준

전 음성교육장·수필가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의 '중고개'가 '산고개'라는 의미의 '잣고개'에서 변이된 것이라면 '이정골고개'라고도 불리는 '구중고개'는 무슨 의미일까?

'중고개'의 유래를 '중이 넘던 고개'라 해석한다면 '중고개'의 앞에 붙은 '구'는 자연스럽게 '옛(舊)'의 의미로 보아 '옛날에 중이 넘던 고개'가 될 것이다. 그러나 '중고개'의 원래의 의미가 '산고개'라면 '옛산고개'라는 말은 성립할 수가 없다. '중(산)'을 수식할 수 있는 말을 찾아야 할 것이다.

'구중'이라는 단어는 독자적으로 마을 이름으로도 쓰이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전북 정읍시 고부면 신중리의 '구중', 전북 김제시 봉남면 화봉리의 '구중'이 바로 그러한 것이다. 그리고 '구중곡', '구중골', '구중다리', '구중산' 등에서 보듯 지명의 선행 요소로도 적극적으로 쓰인다

이러한 예로는 강원도 평창군 평창읍 대상리와 충남 논산시 노성면 가곡리의 '구중골', 충남 공주시 이인면 운암리와 강원도 횡성군 우천면 산전리, 경북 울진군 북면 고목리, 충남 금산군 남일면 신천리, 전북 김제시 상동동, 전북 임실군 오수면 용두리 등의 '구장골', 전북 김제시 청하면 장산리와 전남 담양군 고서면 원강리, 전남 신안군 자은면 백산리 등의 '구장산'을 들 수가 있는데 여기에서 '구중'의 '중'이 '장'으로 많이 쓰이는 것으로 보아 '중, 장'이 '잣(산)'에서 온 말임이 드러난다. 더욱이 전남 신안군 자은면 백산리의 '구장산'은 '구장달산'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보아 '장, 달, 산'은 모두 '산'의 의미인데 언어의 변화에 따라 같은 의미이지만 소리가 다른 음이 세 번 중복돼 쓰인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렇다면 '중, 장, 산'을 수식하는 '구'의 의미는 무엇일까?

지명에서 수식어로 쓰인 '구'라는 지명요소의 어원은 두 가지로 볼 수가 있다.

하나는 지명에서 산의 지형과 연관이 있는 의미를 가진 말로서 '굼'을 들 수가 있을 것이다. '굼'은 '구렁'의 의미인데 '굼+안+이'가 '구만리'라 불리거나, '구렁'이 '산'을 수식하게 되면 '구렁+산'이 되고 이를 한자로 표기하려다 보니 '구렁산→구룡산'으로 변이돼 쓰이게 된다.

청주시 서원구 산남동의 '구룡산'을 비롯해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덕유리, 보은군 내북면 용수리, 강원도 영월군 무릉도원면 운학리, 서울 서초구 염곡동, 경북 봉화군 춘양면 우구치리, 경남 창녕군 창녕읍 옥천리, 경북 영천시 북안면 상리, 경남 창원시 의창구 북면 지개리, 경남 창녕군 이방면 초곡리, 경남 사천시 사남면 우천리, 전남 고흥군 동일면 덕흥리 등지에 '구룡산'이 존재한다.

또 하나는 부여 백마강 유역(충남 부여군 부여읍 구교리)에 있는 '구드레나루'의 '구'를 들 수가 있겠다. 백제라는 나라 이름을 '큰 나라'라는 의미로 '구다라'라고도 불렀다고 하는데 '구다라'는 '구드레나루'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짐작이 된다. 여기에서 '구'는 '크다'의 의미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드레'라는 말은 두 가지로 볼 수가 있다. '드나든다(들어오고 나간다)'에서 '드레나루'란 말이 생겨났는데 지금은 '드레'는 생략하고 '나루'라는 말로 쓰이고 있다. '큰 드레나루'가 '구드레나루'가 되었으므로 오늘날의 말로 바꾸면 '큰나루'라고나 할까? 또한 경북 군위군 삼국유사면 석산리의 '고드레들'도 '구드레들'에서 변이된 것으로 보이는데 여기에서의 '드레'는 '들판'의 의미이다. 음이 변해 그 의미를 잃게 되자 우리 선조님들은 친절하게도 뒤에 원래의 의미를 지닌 말을 중복하여 쓰지 않았는가? 어쨌든 '드레'의 의미는 두 가지로 볼 수가 있으나 '구드레'의 '구'는 '크다'는 의미를 가진 말의 원형이거나 변이형에 틀림이 없는 것 같다.

그렇다면 구중고개를 '구렁산고개(골짜기가 있는 산을 넘는 고개)'의 의미로 보는 것보다는 '큰 중고개(큰산고개)'의 의미로 보는 것이 음운 변이 과정이나 지명 명명의 유연성으로 보아 더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따라서 구중고개는 '중고개' 즉 산을 넘는 '산고개'가 둘이니 하나는 중고개라 부르고, 그 중에서 더 크고 더 높은 산고개는 '큰산고개' 즉 '구중고개'라 불렀음직하다. 또한 '장고개'와 '중고개'가 전국의 지명에 많이 산재해 있다는 사실은 옛날에는 고유명사가 아닌 일반명사로서 산을 넘는 고개를 두루 '장고개, 중고개'로 불렀다는 증거가 아니고 무엇이랴?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