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6.02.24 13:56:58
  • 최종수정2016.02.24 13:57:13

이상준

전 음성교육장 수필가

도둑은 누구나 싫어하지만 인간 세상에 도둑이 없는 사회는 상상하기 어려울 것이다. 역사 기록을 보면 불과 100여년 전인 조선말까지만 해도 2000만 명이 채 안되는 인구에 매년 평균 10여만 명이 먹을 것이 없어 굶어 죽었다는 기록이 전하며, 먹을 것이 떨어지면 구걸을 하다가 떼를 지어 도둑이 되었으므로 흉년이 든 해는 거지떼와 도둑떼가 전국 각지에 창궐했다고 하니, 찢어지게 가난하게 살아온 우리 조상들을 생각하면 정말로 눈물겹다.

도둑이 얼마나 흔했으면 지명에도 도둑골, 도둑재라는 이름이 각지에 있어서 도둑에 대한 두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둑이 그렇게 많다면 오히려 지명으로서는 유연성이 적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왜냐하면 언제 어디나 늘 있는 도둑이라면 도둑이 든 곳을 땅의 이름으로 불릴 수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도둑들이 사는 곳'이라면 '도둑골'로 불릴 수가 있겠지만 숨겨야 할 것을 마을 이름으로 한다는 것은 더욱 불가능한 일이므로 '도둑'이라는 지명은 원래 다른 의미의 이름인데 음의 유사함으로 '도둑'이라는 의미로 변해갔을 것이라는 추정을 하며 생각을 펼쳐 보고자 한다.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에는 '도둑재'라는 고개가 있는데 이 길은 예전에 여주로 통하는 길로 이용되어 사람들 내왕이 있었고 이곳을 지나는 사람들이 험한 계곡을 지날 때 도둑을 만나는 두려움 때문에「도둑재」라 일컬었다고 하지만 발음 그대로 도둑과 연관지었을 뿐 뚜렷한 지명 유래는 전해지지 않는다.

북한의 평양시 순안구역 천동리의 도둑골은 옛날에 살길이 없어 이곳에 온 사람들이 서울로 올라가는 봉물짐과 지나가는 양반들의 짐수레를 털어 생계를 이어갔다고 하는 도둑과 관련된 유래가 전해온다고 한다.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에 있던 '도둑골'은 계곡이 깊고 지형이 험하여 도둑이 숨어 살기 쉬웠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고 하며 마을 주민들은 '도덕골'이라고도 부른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둔전리의 도둑골,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영포리(泳浦里)의 도둑골 들이 있고 충북에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의 도둑골, 괴산군 청천면 청천리의 도둑골, 보은군 삼승면 선곡리의 도둑골, 음성군 생극면 관성리의 도둑골, 영동군 용산면 청화리의 도둑골, 영동군 용산면 부상리의 도둑골, 충주시 주덕읍 덕련리의 도둑골, 괴산군 청천면 청천리의 도둑골, 충북 보은군 삼승면 선곡리의 도둑골 등 각 지역에 너무나 많이 있다.

도둑골과는 그 의미가 전혀 다르지만 음이 비슷한 '도덕골'이라는 지명이 '도둑골' 못지않게 많이 쓰이고 있는데 두 이름이 혼용되고 있는 지역이 많이 있는 것으로 보아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도덕골이라는 지명을 찾아보면 울산광역시 북구 창평동 차일마을의 도덕골, 경북 문경시 호계면의 도덕골,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1가와 명륜동2가에 걸쳐 있던 도덕골, 대전광역시 유성구 계룡산에 있는 도덕골, 충남 예산군 대흥면 송지리의 도덕골,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용리의 도덕골,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사창리의 도덕골 등이 있으며 충북에도 음성군 감곡면 문촌리의 도덕골, 보은군 보은읍 강산리의 도덕골, 옥천군 청산면 만월리의 도덕골, 보은군 회인면 갈티리의 도덕골, 증평군 증평읍 남하리의 도덕골 충북 영동군 학산면 도덕리 등이 있다.

도둑골이란 이름의 의미가 자랑스럽지 못하기에 음이 비슷한 도덕골로 바꾸어 '성인 군자들이 사는 마을, 예절을 숭상하는 마을'이라고 미화하고 있는 곳이 많고 대부분의 도둑골이 도덕골로 바꾸려는 의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아 도덕골은 도둑골의 변형임이 틀림없다고 하겠다. 문제는 도둑골이 모두 도둑이 들끓어 생겨난 이름이라고 보기에는 너무나 많이 분포되어 있다는 점과 경남 통영시 사량면 도지리에는 도둑골, 도둑바위가 함께 쓰이고 있는데 도둑 바위에서 '도둑'이 바위의 모양을 가리키는 것으로 본다면 도둑골의 '도둑'도 지형의 형태를 가리키는 말이라야 할 것이다.

따라서 '도둑'을 발음 그대로 '도둑'으로 볼 것이 아니라 '돋(돋은, 도드라진)'으로 본다면 '돋(도드라진)+골 →돋으골 →돋우골 →도둑골'의 변화 과정을 추정해 볼 수가 있고, 도둑바위는 '돋아있는 바위', 도둑골은 '돋아있는 언덕에 있는 마을'로 해석해 본다면 마을의 모든 지역에 존재하는 공통적인 지형의 형태를 가리키는 말이 되므로 지명으로서 유연성이 충분하다고 할 것이다.

충북 괴산군 청천면 금평리에는 '큰도둑골, 작은도둑골'이 있는데 '큰, 작은'과 같은 수식어가 붙어 쓰임으로써 '도둑골'이 지형의 형태를 가리키는 '돋우골'임을 간접적으로 알려주고 있지 않은가?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