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7.05.10 13:34:02
  • 최종수정2017.05.10 13:34:24

이상준

전 음성교육장 수필가

박달재라고 하면 <울고넘는 박달재>라는 노래로 널리 알려져 노랫말에 따라 박달 선비와 금봉 낭자의 사랑이야기를 먼저 떠올리게 된다. 그런데 박달재라는 이름의 원래의 의미는 무엇이며 그 이름이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을까·

박달재의 원이름은 천등산과 지등산의 영마루라는 뜻을 지닌 이등령이었으나 조선 중엽 경상도의 젊은 선비 박달과 이곳의 어여쁜 낭자 금봉의 애닯은 사랑의 전설이 회자되면서 박달재로 불리우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전설이란 대부분 땅이름에서 연상되는 이미지를 가지고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역사적인 소재나 전해오는 이야기와 연관지어 재미있게 꾸며진 것이 많다고 본다면 박달재라는 이름도 전설과 달리 이 이름이 생기게 된 원래의 뿌리는 따로 있지 않을까·

박달재는 문헌의 기록에 의하면 조선조 중엽까지 이등령이라고 불리어졌다. 이등령이란 천등산, 지등산(충주시 동량면 조동리에 있는 해발 534.8m의 산)이 연이은 영(嶺)마루에 위치한 고개라는 의미인 것이다. 그러나 이곳에는 인등산(충주시 동량면 손동리에 있는 해발 665m의 산)도 함께 있어 천(天), 지(地), 인(人)이 모두 갖추어진 유일한 곳이다. 이 지역은 아득한 옛날부터 인간과 하늘을 연결하는 성스러운 곳으로 여겨져 왔으며 그 중에서도 천등산, 지등산, 인등산의 영마루에 위치한 박달재는 하늘에 천제(天祭)를 올리던 곳이었던 것이다.

박달은 순수한 우리말로서 한자 자체가 가진 의미는 없다. '박'은 '밝다, 크다, 하얗다, 높다, 성스럽다' 등의 여러 가지 의미를 갖고 있는데 이것이 한자어로 차용이 되면서 지명에서 '朴, 白, 弗, 不, 發' 등으로 쓰였던 것이다. '달(達)'은 산이나 언덕 등을 나타내는 알타이어어의 고어인데 단군신화 에도 '아사달'이 나타나며 특히 고구려에서는 지명에 많이 쓰였다. 그러므로 박달은 '白山'으로 풀이되는데 이 백산은 '태백산, 백두산' 등과 동일한 의미와 기능을 갖고 있다고 볼 수가 있다.

그러므로 박달재는 '성스러운 높은 고개'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가 있으며 성스럽다는 의미의 '박'은 오랜 세월이 지나면서 지명에서 '머리, 제일 높다'는 의미로 변이되어 쓰이면서 '제일 높은 고개'의 의미로 정착된 것으로 추정된다.

영덕과 울진에 가면 대게가 유명한데 대게란 게의 다리 모양이 대나무처럼 곧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그런데 대게 중에 암컷은 수컷보다 몸체가 작아 찐빵만 하다고 해서 '빵게'라고 부르며 법으로 잡을 수 없도록 보호하고 있다. 영덕의 진짜 대게인 참대게는 박달게를 말하는데 가격도 엄청나게 비싸다. 박달대게는 속살이 박달나무처럼 단단하다 해서 박달게라 불리었다고 하는데 살이 차고 크기도 좋으며 밟아도 깨지지 않을 정도로 야물다. 우리나라와 중국에서 한자로 '죽해(竹蟹), 대해(大蟹), 발해(拔蟹)' 등으로 쓰는데, 대게는 대나무의 모양을 나타내는 말이기도 하지만 우리말의 '대(竹)'과 한자어의 '대(大)'가 음이 같아 혼란을 주므로 대게 중에 큰 대게를 구별하기 위하여 '박달게'라고 부르게 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대해(大蟹), 발해(拔蟹)'는 바로 크기가 큰 대게인 박달게를 표기한 것으로 본다면 '박달'이라는 말이 '크다'는 의미로 일반적으로 쓰여온 말로서 박달재의 의미와도 연관지을 수가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울고넘는 박달재>라는 노래의 첫머리에 나오는 '천둥산 박달재'라는 가사로 인하여 제 위치를 박달재에 빼앗겨버린 천등산의 다릿재는 어떤 의미를 가진 이름일까·

다릿재(해발 440m)는 천등산(806.6m)과 오청산(656.8m)을 잇는 산줄기를 넘는 고개로서 다락처럼 높은 고개라는 뜻인 다락재가 변화된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그러나 다릿재의 '다리(달)'는 원래 '산'의 의미로서 '달재'가 음의 변이로 '다릿재'가 된 것이며 '다락(樓)이나 '다리(橋)'와는 관련이 없는 말이다. 지명에 나타나는 '다리울, 다리말, 다릿골, 다락골' 등이 한자로 표기한 과정에서 '달(다리)'을 '달(月)'로 보아 '월골, 월동, 월정, 월탄, 월곡, 망월동, 망월산' 등이 생겨나기도 했던 것이다.

다릿재가 '달재'로서 '산을 넘는 고개'를 의미하는 일반적인 말이라면 박달재란 '주변의 달재 중에서 가장 높은 고개, 제일 높은 달재'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박달재가 천등산 줄기에서 가장 높은 고개로서 천둥산 박달재라 해도 무리가 없음을 이에서도 알 수가 있는 것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