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장학진 서예가, 새 길을 열다

40년 끊임없는 시도 끝 개발 글씨에 먹 대신 맥간 붙여
"서예, 사람의 정신 그대로 깃들어 있는 유기체"

  • 웹출고시간2015.03.02 19:47:51
  • 최종수정2015.03.03 10:07:25

'맥간서예'가 청주에서 태동했다.

모진 겨울을 이겨낸 봄날, 보리가 첫 싹을 틔우듯 청주에서 서예가로 활동하고 있는 장학진(56·사진)작가가 보릿대를 이용한 맥간서예를 처음 공개했다.

특히 서예에서 고난도의 영역인 비백(飛白)의 표현을 실감나게 펼쳐내 필세가 살아있는 듯 역동적이다.

글씨의 몸체에 은은한 빛을 머금으니 색다른 서예의 길(道)이 환하고 풍요롭게 열리는 듯하다.

맥간(麥稈)이란 '밀짚이나 보릿짚의 줄기'를 의미한다.

맥간을 이용해 예술작품으로 형상화한 사례로는 '맥간공예'의 창시자 이상수 작가가 유명하다.

이상수 작가의 맥간공예는 보릿대의 한쪽을 쪼개 곧게 편 후 도안에 맞게 접착시킨 다음, 보릿대 조각들을 붙이고 표면에 투명한 칠을 입혀 완성한다.

자개와 유사한 형태지만, 맥간을 이용한 점에서 독창성이 탁월했다는 평이다.

반면, 이번 장학진 서예가가 선보인 '맥간서예'는 글씨에 '먹' 대신 '맥간'을 붙여 세예의 새 지평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장학진 서예가

맥간서예를 개발한 장학진 서예가는 "40년 서예의 길을 걸어오면서 서예와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을 끊임없이 시도해봤다. 2003년 맥간공예를 알게 되면서 처음 '서예에 맥간을 이용해 작품을 만들면 어떨까·'하는 막연한 생각을 했다"라며 "서예는 사람의 정신이 그대로 깃들어있는 유기체다. 섬세한 사람의 마음을 표현하는 것이 어려웠다. 특히 빗질하듯 쓰는 비백의 수법은 붓과 먹의 절묘한 조합인데 이를 맥간으로 구현해내려 노력했다"라고 말한다.

현재 장학진 서예가가 만든 작품은 약 20여점. 맥간공예는 목칠공예 기법과 모자이크 방식을 응용해 다양한 빛과 결의 각도에 따라 스펙트럼처럼 작품이 변화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그가 만든 맥간서예 작품들은 일정한 결을 유지하고 있었다. 마치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한 방향으로 흘렀다.

"서예는 자연을 닮았다. 순리에 적응해야 한다. 바람에 역행하지 않고 써내려가는 붓질처럼 맥간의 결을 인정하고 그 마음에 동화되어야 한다. 맥간의 결이 손짓하는 곳으로 그대로 써내려갔다(붙였다)"

'맥간을 붙였다'는 표현대신, 그는 '맥간을 써내려갔다'고 표현했다.

손으로는 붙였지만, 마음으로 썼던 것이다.

그것은 오랜 세월동안 글씨를 써왔던, 서예의 길(道)을 걸었온 예인만이 할 수 있는 표현이었다.

장학진 서예가는 "아직 가야 할 길이 멀다. 맥간공예를 통해 아이디어는 얻었지만, 만드는 과정은 다르다. 맥간공예는 미리 도안이 된 그림에 보릿대를 붙여가지만, 맥간서예는 애초에 보릿대를 붙인 상태에서 칼로 글씨를 쓴다. 그래야 서예의 맛을 제대로 살릴 수 있다. 이제 첫 발걸음이다. 보릿대를 서예에 맞게 제작하는 것과 붙이는 방법, 그리고 영구적 표면처리 등을 계속 연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작품을 보관한 방문을 열자, 그동안 준비한 맥간서예작품들이 의미를 드러내며 살아있는 듯 방문객을 반긴다.

'천류불식(川流不息)' 흐르는 물은 쉬지 않고 흘러간다는 의미다. 글씨에 먹 대신 입힌 맥간은 햇살에 반짝이는 물살처럼 반짝였다.

뜻을 지닌 사람은 어떤 어려운 일이라도 해낼 수 있다는 '유지자사의성(有志者事意成)',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걷다보면 산도 옮길 수 있다는 '우공이산(愚公移山)' 등 금과옥조 같은 한자성어들이 맥간서예를 통해 다시 생명을 얻어 빛을 발하고 있었다.

"청주가 직지의 고향인 것처럼 청주를 맥간서예의 원조로 만들고 싶다. '직지'라는 글씨에 새롭게 보릿대를 입혀 전시회를 열어 선보이고자 한다"

그가 앞장서 걸어가는 맥간서예가 보리처럼 세상을 건강히 살지우는 정신의 양식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윤기윤 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