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6.4℃
  • 맑음강릉 1.6℃
  • 박무서울 -2.1℃
  • 맑음충주 -7.3℃
  • 맑음서산 -4.8℃
  • 연무청주 -2.1℃
  • 박무대전 -2.3℃
  • 맑음추풍령 -3.2℃
  • 박무대구 -0.8℃
  • 연무울산 4.6℃
  • 박무광주 0.2℃
  • 연무부산 5.2℃
  • 맑음고창 -3.3℃
  • 박무홍성(예) -5.8℃
  • 맑음제주 5.2℃
  • 맑음고산 8.5℃
  • 맑음강화 -5.0℃
  • 맑음제천 -8.9℃
  • 맑음보은 -6.2℃
  • 맑음천안 -5.1℃
  • 맑음보령 -3.1℃
  • 맑음부여 -4.6℃
  • 흐림금산 -2.1℃
  • 맑음강진군 -2.0℃
  • 구름많음경주시 0.7℃
  • 맑음거제 1.4℃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2023 청주공예비엔날레 첫 공예 정상회담 '성료'

아키모토 유지 동경예대 교수 등 참석'
오는 21일 오후 1시 두 번째 회담 예정

  • 웹출고시간2023.09.06 16:59:36
  • 최종수정2023.09.06 16:59:36

강재영 청주공예비엔날레 예술감독이 비엔날레 학술 프로그램 '크라프트 서밋 1'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충북일보] 2023 청주공예비엔날레의 학술 프로그램 '크라프트 서밋 1'이 성황리 마무리됐다.

청주시는 6일 오후 2시 전 세계 정상급 큐레이터와 작가, 디자이너 등 공예 전문가들이 문화제조창 동부창고 38동에서 회담을 열었다고 밝혔다.

비엔날레의 학술 프로그램 '크라프트 서밋 1'은 이름 그대로 공예 분야의 정상회담 성격을 띤다.

이날 회담에는 강재영 비엔날레 예술감독을 비롯해 아키모토 유지 동경예술대학교 교수, 구츠나 미와 루쉰미술대학교 교수, 왕 이웬 독립큐레이터, 케빈 루프 작가, 서도식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등이 참석해 비엔날레 주제인 '사물의 지도'를 두고 열띤 담론을 펼쳤다.

아키모토 유지 동경예술대학교 교수가 2023 청주공예비엔날레 학술 프로그램 '크라프트 서밋 1'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아키모토 유지 동경예대 교수는 기조연설에 나서며 "일반적으로 공예적인 것의 본질은 '소재와 기술'이라 여긴다"며 "장인정신으로 대변되는 '뛰어난 기술'과 반대 의미의 '서투름'으로 양분되는 판에 박힌 가치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역설했다.

구츠나 미와 루쉰미대 교수는 "동아시아 근대미술을 전공한 입장에서 보면 공예적 요소를 중요한 요소로 받아들인 현대미술 작품에 특히 여백이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며 "여백이 바로 동아시아의 보편적인 가치고, 현대 미니멀리즘의 시작"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의 회담은 3시간이 넘도록 이어졌으며 발제자들은 물론 수많은 관람객까지 끝까지 자리를 지켰다.

두 번째 정상회담인 '크라프트 서밋 2'는 오는 21일 오후 1시 청주 문화제조창 본관 5층 공연에서 'Next 문화도시, 유네스코 창의도시를 향해'라는 주제로 계속될 예정이다.

이배용 추대국가교육위원장을 포함해 케빈 머레이 세계공예가협회 부회장, 토시오 오히 일본 문화청 장관 자문위원 등이 참석해 문화도시 청주의 발전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 김민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더 풍요롭고 행복한 충북 농업·농촌으로"

[충북일보] "사랑하는 고향으로 돌아온 만큼 충북 농업·농촌이 더욱 풍요롭고 행복해질 수 있도록 한 발 더 뛴다는 각오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고향으로 돌아와 더 큰 역할과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는 이용선(54) 충북농협 총괄본부장은 앞으로의 각오에 대해 분명하게 이야기했다. 이 신임 본부장은 "많은 농업인께서 영농비용 상승과 소비부진, 자연재해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계신다. 어려운 상황에서 농업인이 정성껏 생산한 농축산물이 더욱 좋은 가격에 판매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충북농협의 운영 방향을 밝혔다. 이 본부장이 꼽은 올해의 농업 관련 숙원 사항은 △영농자재 보조 확대 △농업부문 조세감면 일몰기한 연장 등을 통한 농업인 실익 지원이었다. 지역 농·축협의 어려움 개선과 건전결산을 위한 현장지원 강화와 신용사업·경제사업 동반 성장을 위한 지원에도 최선을 다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는 올해의 역점 사업으로 '농업소득 3천만 원'의 초석을 다지는 해라고 이야기했다. 이 본부장은 "지역 농축협과 함께 농업인 실익 증진을 위한 기반 확대가 최우선의 목표"라며 '로컬푸드 확대' '농업경영비 절감' '충북 축산업 발전'을 방안으로 삼았다. 그는 "농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