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3.6℃
  • 맑음강릉 6.5℃
  • 구름많음서울 4.8℃
  • 흐림충주 6.1℃
  • 구름많음서산 5.1℃
  • 흐림청주 6.5℃
  • 구름많음대전 8.5℃
  • 구름조금추풍령 7.1℃
  • 구름조금대구 11.3℃
  • 맑음울산 11.0℃
  • 연무광주 9.6℃
  • 맑음부산 10.7℃
  • 맑음고창 7.1℃
  • 구름많음홍성(예) 6.0℃
  • 구름조금제주 13.7℃
  • 맑음고산 13.5℃
  • 흐림강화 2.9℃
  • 구름많음제천 3.4℃
  • 구름많음보은 7.5℃
  • 구름많음천안 5.4℃
  • 구름많음보령 7.0℃
  • 구름많음부여 7.7℃
  • 구름조금금산 7.7℃
  • 맑음강진군 10.5℃
  • 맑음경주시 11.1℃
  • 맑음거제 9.9℃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0.09.10 17:07:31
  • 최종수정2020.09.10 19:43:35

정익현

건축사

2주일 새 8, 9, 10호 태풍이 경쟁이라도 하듯 숨 가쁘게 지나갔다.

가을인 것 같은데 마음은 무겁다. 뜨거운 여름, 마스크로 입과 코를 막고 살았다. 날씨가 추워지면 코로나 바이러스가 더 유행 한다니 걱정이다.

방역 당국이 재 확산의 위험을 경고하며 혼신의 노력을 다했지만 이를 비웃듯 8·15 광화문 집회로 코로나19 집단 감염이 촉발되었다. 사람들은 분노했고 마스크를 더 단단히 조여 매야 했다. 코로나19가 오래 지속되자 사람들은 극도의 스트레스와 피로감에 지쳐있다.

며칠 전, 아내가 햄버거를 먹고 싶다 하여 집근처 'ㄹ'패스트푸드 점에 갔었다. 안으로 들어갔던 아내가 그냥 나왔다. 입구의 출입자 명부에 이름과 전화번호를 써야 하는데 개인정보 노출이 싫어서 햄버거를 포기하겠단다. 집으로 돌아오면서 '방역당국의 지침을 잘 지킨 저 상점을 소비자가 외면한다면 저 상점은 정부를 원망하게 되고 이는 방역에 해가 된다.'고 설득하여 다시 그 상점에 간 일이 있었다.

이처럼 '자유'와 '안전', 양립하는 두 개념이 어떻게 공존할 수 있을까에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전염병의 확산을 막는다는 명분하에 우리도 모르게 통제되고 있음에 고민이 크다.

코로나19는 노동의 형태와 소비의 행태를 바꾸었고 인간의 기본권 유보와 개인 정보 노출의 문제를 불러 왔다. 각 나라가 코로나19의 위기 상황을 대응하는 과정에서 공권력은 사회를 통제하고 개인의 자유가 유보되는 경향을 보인다. 조지 오웰이 70년 전, 그의 소설〈1984〉에서 '빅 브라더'에 의한 사회 통제를 경고한 혜안(慧眼)이 놀랍다.

다행히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시민사회의 성숙함으로 이 난관을 극복하고 있지만 '개인의 자유'와 '국민의 안전'은 충돌하고 있다. 우리 헌법 제 37조는 '국민의 자유와 권리는 보장하되 국가 안전 보장, 질서 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하여 법률로써 제한 할 수 있으나, 자유와 권리의 본질적인 내용을 침해할 수 없다'고 되어 있다.

집을 나서면서부터 거리의 CCTV에, 손 안의 스마트 폰에 개인의 사생활이 아주 손쉽게 노출되고 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검색하는 뉴스나 세상의 관심사가 그대로 읽혀 나에게 맞는 뉴스거리가 제공되는 스마트 폰을 대하며 섬뜩해지곤 한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우리의 머릿속이 누군가에 읽혀지고 감시당하고 있기에 우리는 우리 스스로 정신 바짝 차리지 않으면 안 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치료제와 백신이 개발된다 하더라도 코로나19 같은 유형의 바이러스는 이제 우리와 공존하게 될 것 같다. 섣부른 낙관이나 방심, 그리고 지나친 의기소침은 코로나19와 맞서는 삶에서는 독이다. 베트남전쟁 때 전쟁 포로로 8년간 감옥생활 끝에 생환한 미국의 제임스 스톡데일 중령은 '곧 풀려 날 것이라 지나치게 낙관했던 동료들은 모두 죽고 말았다. 언젠가는 풀려날 것이라고 희망을 잃지 않았지만 그렇다고 막연히 잘 될 거라고, 곧 풀려날 수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다'라고 말했다. 무조건적인 긍정의 자세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이른바 '스톡데일의 역설'이다.

정부의 대응 못지않게 개인의 대응이 중요한 것은 확진자 발생 숫자가 현 의료시스템이 감당할 수 있을 만큼의 숫자 이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공공의료의 붕괴는 최악의 사태를 불러온다. 방심하거나 만족하는 순간 위기는 온다. 언젠가는 코로나 바이러스도 이겨내겠지만 우리는 오늘, 지나친 낙관에서 벗어나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받아들이면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하는 것이야말로 코로나 바이러스를 극복하는 지름길이라 생각한다.

좋은 말이 샘물처럼 넘쳐나는〈빨강머리 앤>. '시간'에 대해 통찰한 대목을 음미해 본다.

'시간이 우리에게 선물하는 건/ 이런저런 일을 겪으며/ 똑같은 상황을 바라보는 관점을 바꾸게 하는 힘 아닐까.//

시간은 느리지만 결국/ 잎을 키우고, 꽃을 피우고, 나무를 자라게 한다.//

나는 그것이 시간이 하는 일이라 믿는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