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3.6℃
  • 맑음강릉 6.5℃
  • 구름많음서울 4.8℃
  • 흐림충주 6.1℃
  • 구름많음서산 5.1℃
  • 흐림청주 6.5℃
  • 구름많음대전 8.5℃
  • 구름조금추풍령 7.1℃
  • 구름조금대구 11.3℃
  • 맑음울산 11.0℃
  • 연무광주 9.6℃
  • 맑음부산 10.7℃
  • 맑음고창 7.1℃
  • 구름많음홍성(예) 6.0℃
  • 구름조금제주 13.7℃
  • 맑음고산 13.5℃
  • 흐림강화 2.9℃
  • 구름많음제천 3.4℃
  • 구름많음보은 7.5℃
  • 구름많음천안 5.4℃
  • 구름많음보령 7.0℃
  • 구름많음부여 7.7℃
  • 구름조금금산 7.7℃
  • 맑음강진군 10.5℃
  • 맑음경주시 11.1℃
  • 맑음거제 9.9℃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9.03.04 17:30:53
  • 최종수정2019.03.04 17:30:53

박영순

<이유있는 바리스타> 저자, 커피비평가협회장

고종 황제가 커피를 드신 최초의 조선인이라는 말이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이 보다 12년 앞서 항간에 커피가 식후에 제공됐다는 기록이 이를 증명한다. 한국 최초의 신부이자 순교자인 김대건 신부(1821~1846)가 마카오에서 신학공부를 할 때 파리외방전교회 신부들에게서 커피를 제공받았다는 말이 전해진다. 이는 1840년대 헌종 때이다.

17세기 예수회와 외방선교단은 커피를 선교에 적극 활용했다. 남미에서는 선교사들이 커피나무를 나눠 주며 자립을 도왔다. 이 시기에 마카오에 파견된 선교사들의 식생활에서 커피는 에너지를 주는 음료로서 빼놓을 수 없는 존재였다.

김대건 신부 보다 50여 년 앞선 1780년대 정조 시대에 이승훈 선생이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북경에서 영세를 받고 베드로라는 이름을 얻었다. 선생은 40여 일 동안 프랑스 선교사들과 숙식을 하면서 교리를 배웠는데, 이 때 커피를 접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승훈 선생은 1785년 최초의 조선 교회를 세우고 정약용 선생에게 교리를 가르쳤다. 두 사람은 후에 처남 매부 사이가 됐는데, 이 때 커피도 전해져 정약용 선생을 각성시키는데 쓰였다는 재미있는 상상을 해본다.

커피의 전파 가능성은 우선 서역과 한반도의 교역에서 찾아야 한다. 명나라(1368~1644)를 통해 실타래를 풀 희망이 보인다. 영락제는 원난성 출신의 이슬람 교도인 정화를 환관으로 삼았다. 역사에 남은 최초의 대형 선단을 일컫는 '정화함대'는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 1405년부터 1433년까지 일곱 차례 대원정은 인도와 아라비아 반도를 거쳐 커피의 고향인 아프리카에까지 닿았다. 메카를 찾아간 정화함대가 그 유명한 모카항에 정박하면서, 당시 귀한 물건으로 대접받던 커피를 배에 싣지 않았을까? 당시 커피는 위장병 치료제나 이슬람교도들을 밤새워 기도하게 만드는 귀한 '신의 음료'이었기 때문에 약재 품목에 적혀 있을 지 모른다.

멀리 아프리카와 아라비아 반도에서 출발한 커피가 중국을 거쳐 한반도에 전해졌을 가능성은 이보다 더 거슬러 올라간다. 예성강 하구에 있던 예성항에 점차 외국 상인과 사신들이 몰리면서 '벽란도'라는 국제무역항으로 성장한 것이 950년대인 고려 시대이다. 벽란도가 송(宋)을 비롯해 요(遼), 금(金), 일본 등 주변 나라는 물론 아라비아의 대식국(大食國)과도 교역할 만큼 교역의 대상이 광범위했다는 사실은 기록으로 남아 있다. 고려는 송에서 비단과 차, 약재, 책 등을 수입했는데, 약재 중에 커피가 있었을 수 있다.

중국은 2016년 12월 '중국 커피의 역사(A history of Chinese Coffee)'라는 책을 영어판으로 냈다. 중국이 뒤지기 시작한 커피 역사에서 송나라 때 아라비아 반도에서 커피를 가져왔으며 그것이 고려의 벽란도 상인에게 약재로 전해졌다는 기록이 나오길 소망한다.

그럼 한반도에 커피가 전해졌을 가능성은 고려 시대로 끝나는 것인가· 아니다. 통일신라와 당나라 때까지 닿는다. 신라 경주가 일본과 더불어 서역땅인 이란(옛 페르시아)을 잇는 고대 실크로드의 종착지였다는 사실은 여러 유물을 통해 입증됐다. 페르시아의 옛 서사시 <쿠쉬나메>에 신라에 망명한 왕자가 신라 공주와 혼인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1200~1300여 년 전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페르시아는 기원전 6세기 후반 고대 오리엔트를 통일하고 약 200년 동안 중앙아시아에서 이집트에 이르는 대영토를 지배했다. 삼국시대부터 페르시아와 교류한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다.

통일신라 원성왕(재위 785∼798년)의 무덤 앞에 무인(武人) 조각상 한 쌍(높이 257cm)이 서 있는데, 깊숙한 눈과 매부리코, 아랍식의 둥근 터번 등이 전체적으로 서역인(西域人) 풍모이다. 여기에서 50km 떨어진 흥덕왕(재위 826~836년)의 능에도 서역인 상 한 쌍이 세워져 있다. 흥덕왕은 장보고로 하여금 해상실크로드를 연 인물이다. 청해진과 당나라를 거쳐 멀리 아라비아까지 이어진 바닷길을 따라 커피가 일찍부터 한반도에 닿았을지 모른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