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1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대청호 유역 규제완화 공동대응"

충북도-대전시, 현안사항 공조키로
대청댐 준공 이후 30년만에 첫 협의

  • 웹출고시간2012.01.17 20:25:26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대청댐 준공 30년 만에 처음으로 충북도와 대전시의 수장들이 만나 '대청호 유역 규제완화'와 관련, 공동으로 대응해 나간다는 협의에 이르렀다.

17일 이시종 충북지사는 대전시청을 찾아 염홍철 대전시장과 대청호 유역 규제완화와 관련된 정책에 공동으로 적극 대응해 나가기로 처음 협의했다.

이날 협의는 이 지사가 '대청호 친환경발전 프로젝트'를 올해 도정의 핵심 신규사업으로 설정한데 따른 것이다.

대청댐 건설 이후 30년, 댐 건설로 인해 충북이 입은 경제적 손실은 약 8~9조 원에 육박하고 있다.

하지만 충북도 내 청원, 보은, 옥천 주민들은 지금껏 목소리 한번 제대로 내지 못하고 생활해 오고 있다.

이날 이 지사의 요청에 의해 자리를 함께 한 염 시장은 대청댐 건설로 주민들의 피해 호소가 끊임없이 제기돼 왔고, 그간의 지역주민 등이 입은 피해를 더 이상 방관할 수 없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양 기관의 수장들은 주민의 최소 생존권 보장과 주민들의 경제적 손실 및 생활권 회복을 위해 지난 30년간 획일적으로 규제해 온 정부의 정책이 잘못 되었음을 공감하고, 몇 가지 현안사항에 대해 충북도와 대전시가 공조해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또 대청호 규제완화 추진을 위한 '대청호 규제완화 충청권 공동추진 협의회'를 구성·운영해 공조체계를 확고히 구축해 나가는 방안 등을 협의했다.

이날 논의된 사항은 △대청호 내 취수탑(국전, 추동)의 댐하류 이전 문제 △대청호 옛 배길 친환경 도선운항 문제 △대청호 유역 친환경 친수공간 조성 문제 등을 협의했다.

취수탑 이전 문제는 대청호 취수탑 인근의 수질보다 댐하류의 수질이 양호하고, 취수탑 이전 시 수변공간 활용을 통한 편익 증대가 기대돼 취수탑 이전을 함께 추진키로 했다.

대청호는 수온이 높고, 수심이 얕으며, 일조량이 많아 녹조류 발생이 잦음에 따라 수질이 양호한 댐하류로 취수탑을 이전하면, 수질이 BOD 1.02ppm →0.95ppm으로 , COD 3.48ppm→2.83ppm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측된다.

또 이익편익이 약 5년이후에는 연간 발전비용이 69억 원, 연간 토지이용 400억 원이 초과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이전에 대한 비용을 충분히 충당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취수탑 이전 비용 및 경제적 타당성 등을 확보해 국토해양부, 기획재정부 등과 유기적으로 협조해 약 2천650억 원의 이전비용을 국비에서 충당될 수 있도록 노력키로 했다.

옛 뱃길 친환경 도선운항은 댐건설 당시 설치돼 있던 선착장 등 옛 뱃길 노선 복원을 통해 이동에 제약을 받는 지역 주민 등의 교통불편을 해소하고, 청남대 관광객 등 연간 예상되는 260만 명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대청호에는 댐 건설이전에 이미 문의-장계 간(47㎞) 9개 노선 옛 뱃길이 운항된 바 있다.

여타 상수원보호구역(324개)과 차별화되면 이번 논의가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효과로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대청호 유역 친환경 친수공간 조성 문제는 대주변 둘레길, 유원지, 선착장 등 이미 조성된 친수공간을 최대한 활용해 친환경 숙박시설·음식점을 우선 추진하고, 단계적으로 박물관, 미술관, 휴양시설을 조성하는 방안을 정부와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앞서 충북도는 보은·옥천·청원군 등 3개 군과 공동으로 '대청호 유역 친환경공동발전방안'에 대한 연구용역을 실시해 취수탑의 하류이전, 친환경 도선운항 등의 제시된 사업에 대하여 검토한바 있다.

이상칠 충북도 수질관리과장은 "이런 용역결과를 충청권 3개 시도가 공조해 '대청호 규제완화 충청권 공동협의회'를 발족할 예정"이라며 "공동협의회를 중심으로 취수탑 이전, 친환경도선운항, 친수공간 조성 활용을 중앙정부 및 국회 등을 대상으로 적극적으로 건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엄재천기자 jc0027@naver.com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이 기사 주변 소식 더 자세히 보기
현재위치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충북일보가 만난 사람들 - 단양교육지원청 김진수 교육장

[충북일보] 몇 년동안 몰아친 코로나19는 우리 나라 전반에 걸처 많은 염려를 낳았으며 이러한 염려는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 실제로 학력의 위기를 가져왔다. 학력의 저하라는 위기 속에서도 빛나는 교육을 통해 모범 사례로 손꼽히는 단양지역은 인구 3만여 명의 충북의 동북단 소외지역이지만 코로나19 발 위기 상황에서도 잘 대처해왔고 정성을 다하는 학교 지원으로 만족도도 최상위에 있다. 지난 9월 1일 자로 단양지역의 교육 발전에 솔선수범한 김진수 교육장이 취임하며 앞으로가 더욱 기대되고 있다. 취임 한 달을 맞은 김진수 교육장으로부터 교육철학과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과 단양교육의 발전 과제에 대해 들어 본다. ◇취임 한 달을 맞았다, 그동안 소감은. "사자성어에 '수도선부(水到船浮)'라는 말이 있다. 주희의 시에 한 구절로 강에 물이 차오르니 큰 배도 가볍게 떠올랐다는 것으로 물이 차오르면 배가 저절로 뜨더라는 말로 아무리 어렵던 일도 조건이 갖춰지면 쉽게 된다는 말로도 풀이할 수 있다. 교육장에 부임해 교육지원청에서 한 달을 지내며 교육장의 자리가 얼마나 막중하고 어려운 자리인가를 느끼는 시간이었다. 이렇게 어렵고 바쁜 것이 '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