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구본숙

미술평론가·수필가

시원스럽게 잘 부르는 노래를 들으면 마음에 쌓인 홍진(紅塵)이 남김 없이 깨끗이 정화되는 느낌이다. 더불어 그렇게 노래를 잘 부를 수만 있다면 소원이 없겠다는 생각도 한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사회생활이나 회식 문화에 춤과 노래는 빠질 수 없는 요소였다. 모임이나 직장에서 신입이 들어오면 자기소개 및 장기자랑을 하게 되는데 특히 춤과 노래가 가장 많은 호응을 불러일으킨다. 또 단체 회식의 마지막 코스로 노래방이 빠질 수 없다. 이곳에서 그간 쌓여왔던 스트레스를 춤과 노래로 해소하며 회식이 마무리된다.

그러나 나의 경우 오히려 반대로 춤을 추거나 노래를 불러야만 하는 상황이 더 스트레스로 다가온다. 춤과 노래를 제대로 못 한다는 사실을 매우 잘 인지하고 있으며, 부끄러움이 앞서 자신감 있게 나서지 못한다. 늘 그러한 상황이 되면 주눅이 들고 이 시간이 빨리 지나가기를 바라는 마음에 속이 타들어 간다. 사회생활에 있어서 상당히 마이너스 요인이었다. 나로 인해 분위기가 흐려지는 듯해 불편했다. 어린 시절부터 노래를 잘 못 불렀기 때문에 그것이 축적되어 더욱 노래를 안 부르고 시간이 지날수록 더 꺼려지게 되었다. 지금도 타인 앞에서 노래를 불러야 하는 상황이 도래하면 숨이 막히고 불안함이 엄습한다.

춤과 노래는 어린 시절부터 중요한 요소로 작용 된다. 장기자랑, 소풍, 운동회, 야외활동 등에 꼭 필요하다. 더욱이 단체생활에 적극적이고 또래에게 인기 있는 아이가 되기 위한 필수 요소라 할 수 있다. 그것을 할 수 없으니 자연스레 소극적인 아이로 자랐다. 학창시절 음악 시간에 시험을 보기 위해 반 아이들 앞에 노래를 불러야 할 일이 자주 있는데 꼭 해야만 하니 난감할 따름이었다. 눈앞이 캄캄해지며 내 차례가 다가올수록 심란하고 고통스러웠다. 좋은 점수를 받고자 하는 마음은 애초에 없었고 지옥과도 같은 이 시간이 홀연히 지나가기를 바라는 마음만 있었을 뿐이다.

어느덧 시간이 지나 직장에 입사하게 되었고 그 당시 직장 내 회식 문화가 존재했으므로 춤과 노래는 꼭 수반되어야 했다. 업무에 대한 걱정보다 사회생활의 전반에 필요한 노래를 불러야 함을 더 걱정하기에 이르렀다. 이때 상황에 맞서 지금이라도 노래를 배워야겠다는 생각이 절실히 들었다. 내성적이지 않은 이들은 나를 이해하지 못했다. 즐거움을 만끽하며 부르면 될 노래를 꼭 배워야만 하는지 의아해했기 때문이다. 그 굴하지 않았고 노래교실이나 보컬 트레이닝 등 샅샅이 알아보았다. 그러나 결국 이마저도 실행하지 못했다. 노래의 두려움과 트라우마가 배움에 대한 욕구보다 더 강했기 때문이다.

한편, 노래를 부르는 것은 싫으나 듣는 것은 매우 좋아한다. 젊은 시절에는 아메리칸 틴에이저 마냥 팝송을 많이 들었는데 지금은 K-POP을 즐겨듣고 감상한다. 중년의 나이에 이르러 아이돌 가수 노래를 듣노라니 스스로가 주책스럽고 철이 없이 느껴진다. 노래를 통해 한류 문화를 이끌고 알리는 주축으로 춤과 노래에 천부적인 재능을 타고남과 더불어 끝없는 노력을 병행하는 이들을 선망의 대상으로 존경한다. 또 꿈을 펼쳐 나가는 아름다운 열정에 깊은 응원과 찬사를 보내는 마음이다. 무엇보다 스스로가 춤과 노래를 제대로 못 하므로 일종의 대리 만족과도 느끼기도 한다. 심금을 울리며 뿜어져 나오는 노래와 유려한 춤을 감상하노라면 오랜 시간 꿈꾸어 왔던 것을 춤과 노래에 대한 염원을 이룬 것과 같은 가슴 벅찬 해방감이 든다.

이루지 못한 로망인 춤과 노래는 아직도 난제로 남아있다. 그러나 세월이 변해감에 따라 생각도 서서히 바뀌었다. 춤, 노래를 잘하는 사람을 여전히 동경하고 부러워하지만, 꼭 이를 잘 해야만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잘 해야 한다는 관념이 오히려 마음을 옥죄고 불안과 두려움으로 이끌었던 것 같다. 지금은 누군가 노래를 잘 한다면 타인들 앞에서 노래를 불러야 할 일상 속에 스스럼없이 부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고, 노래를 잘하지 못하면 못하는 대로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그것을 하며 살아가면 된다는 생각이 든다. 그 생각이 앞서니 서서히 노래에 대한 부담감이 줄어든다. 언젠가 타인들 앞에서 자유로이 노래를 부르는 날을 꿈꿔 보기도 한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정재황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장 인터뷰

[충북일보]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이 올해 창립 10주년을 맞았다.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의 메카인 충북 오송에 둥지를 튼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은 지난 10년간 산업단지 기업지원과 R&D, 인력 양성이라는 목표달성을 위해 쉼없이 달려왔다. 지금까지의 성과를 토대로 제2의 도약을 앞둔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이 구상하는 미래를 정재황(54) 원장을 통해 들어봤다. 지난 2월 취임한 정 원장은 충북대 수의학 석사와 박사 출신으로 한국화학시험연구원 선임연구원, 충북도립대 기획협력처장을 역임했고, 현재 바이오국제협력연구소장, 충북도립대 바이오생명의약과 교수로 재직하는 등 충북의 대표적인 바이오 분야 전문가다. -먼저 바이오융합원에 대한 소개와 함께 창립 10주년 소감을 말씀해 달라.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이하 바이오융합원)은 산업단지 기업지원과 R&D, 인력양성이융합된 산학협력 수행을 위해 2012년 6월에 설립된 비영리 사단법인이다. 바이오헬스 분야 산·학·연 간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창업 생태계 조성과 기업성장 지원, 현장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 등의 다양한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그동안 충북 바이오헬스산업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부 재정지원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