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0.06.16 16:37:38
  • 최종수정2020.06.16 16:37:38

김규완

전 충청북도 중앙도서관장

6월 중순인데도 때이른 무더위가 기승을 부린다.

세상사 기승전결이니 이 더위도 곧 결딴이 나겠지만 코로나19와 싸우느라 온 종일 마스크를 쓰고 있어야하는 마당에 더위까지 겹치니 야속한 마음을 어쩔 수 없다.

숲속 그늘진 길 마저도 화산에 오르는 길처럼 바싹 말라 흙먼지가 폴폴나고, 기세좋던 담쟁이 덩굴도 오름을 멈추고 헉헉거린다.

조선 정조 때, 가뭄에 애타는 백성들을 위해 상원사에 올라 기우제를 지내던 연풍 현감 단원 김홍도의 간절함이 이러했으리라.

다행히 어젯밤에는 천둥번개를 떨쳐낸 고마운 굵은비가 밤새 내려왔다. 어린 시절 마당에 나가 입벌리고 팔벌리고 양동이 속 잉어처럼 펄쩍이며 좋아라 비를 맞던 추억이 떠올랐다. 베란다 창에 맞닿게 이부자리를 펴고 비가 들이치지 않을만큼 양쪽 창문을 연 다음 불을 끄고 누우니, 유리가 깨져라 사정없이 후려치는 큼지막한 빗방울 소리에 답답했던 가슴이 뻥 뚫렸다.

바람을 타고 들려오는 빗소리는 불어난 계곡물이 휘돌아 흐르는 소리를 냈다.

인조반정 때 광혜군의 폐위를 논하며 칼을 씻었다는 세검정(洗劍亭)의 세찬 물소리가 그러했으리라. 호우(好雨)의 백색소음 속에 단잠을 이루고 새벽에 눈을 뜨니 머리맡 방충망에 꿀벌이 날아와 매달려 있다. 저놈도 단비 후의 새 꽃과 새 꿀이 기대되어 일찍 일어났나보다.

꿀벌을 앞세우고 아침 일찍 숲을 찾았다.

비 온 뒤 숲속의 아침은 청정(淸淨)이다. 풀잎, 나뭇잎, 거미줄에 맺힌 아침 이슬은 영롱하다.

초록의 잎새에 앉았던 물방울들은 에머럴드 쟁반에서 옥구술이 구르듯, 아기천사들이 미끄럼을 타고 내려오듯 또르르 또르르 굴러 떨어진다.

달팽이도 풀숲에서 나와 좁은 길 한복판에 앉아있다. 혹여나 밟힐까 걱정되어 나뭇잎을 따 한옆으로 밀었더니 온몸을 비비꼬면서 거품을 물고 점액을 분비한다.

"아서라, 팽이야. 나도 너와같은 동물계인데 설마 너를 해치기야 하겠니?"

간밤의 비에 축축히 젖은 나무 그루터기에는 회색깔대기버섯이 함초롬이 피어났다.

죽은 참나무에 다리가 여섯 개 달린 풍뎅이 닮은 벌레가 붙어있다.

'꿈에 달팽이가 기어가면 바라던 일이 이루어진다'는 속신이 생각나, 조금 전에 만났던 달팽이의 행운을 기대하며 혹시

장수하늘소(천연기념물 제218호)가 아닐까 하고 다가가 봤더니 우리나라에 8천여 종이나 있다는 딱정벌레다.

광릉(국립수목원)과 춘천에만 있다는 장수하늘소가 청주에서도 발견된다면 재미있는 뉴스거리일텐데…

숲에서도 욕심을 부리냐며 모기가 따끔한 일침을 놓는다. 하루 저녁에 수천 마리의 모기를 잡아먹는다는 박쥐가 근처에 한 마리만 있었더라도 이놈의 모기들이 얼씬도 못했을텐데…

숲속 교향악단의 연주가 한창이다. 밤새 빗물에 몸을 깨끗이 씻은 수컷 새들의 자신만만한 구애 소리다. 휘리릭 휘리릭 휘파람새 소리, 뻑 뻑 뻑 벙어리뻐꾸기 소리, 찌직 찌직 할미새 소리, 지지배배 지지배배 종달새 소리…

인간이 자연으로부터 배울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니지만 요즘처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이 극성을 부릴 때 새들의 '일정한 거리두기'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

새들은 불필요하게 일어날 수 있는 싸움을 미연에 방지하고, 더 효율적으로 먹이를 구할 수 있게, 무리를 지어 있는 경우에도 항상 일정한 거리를 둔다.

몇 달 전부터 매일같이 숲을 찾는다. 엊그제는 숲에서 고라니가 아닌 귀한 노루를 만났었다. 가뭄에 목이 말라 산에서 내려왔으리라.

숲에서 부스럭대는 것은 노루, 고라니, 토끼, 다람쥐, 청설모 들이고, 바스락대는 것은 뱀, 도마뱀, 작은 새 들이다. 전에는 보이지 않았던 것들이 언제부턴가 눈에 띄기 시작했다. 숲속의 곤충과 동물들이 전처럼 쉽게 달아나지도 않는다.

어떤 놈들은 "어머, 털없는 원숭이잖아?" 하듯 빤히 쳐다보기도 하고, 사진을 찍어도 좋다는듯 여유를 부리기도 한다.

우리도 숲에서는 느릿느릿한다. 숲에서 보이는 것은 모두가 사랑스럽다. 사랑은 관심이다.

무심(無心)하면 안 보이고 유심(有心)하면 다 보이는 법이다. 아는만큼 보이고 좋은만큼 가까워진다.

자연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한결같은 이야기는 "알면 사랑한다."는 것이다. 촉촉히 젖은 나무를 두손으로 감싸고 귀를 대어보니 땅속의 물을 가지 끝까지 끌어올리는 소리가 들리는 듯 하다. 노란 금계국과 연보라 개망초의 군락 속에 들국화를 닮은 하얀 샤스타데이지 한 송이가 외로이 피어났다.

70년 전, 포성이 아스라이 들리는 6월의 어느 전선에서 어머니를 부르며 스러져간 소년 병사를 그려본다.

저 꽃의 꽃말이 '평화'다. 돌아오는 길에 아내가 들꽃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어준다고 한다.

노화(老化:늙다)되어 싫다고 했건만, 늙은 꽃(老花)도 꽃이라며 굳이 셔터를 누른다.

"인간은 자기 삶에서 '단순함의 너른 빈터'를 충분히 남겨두어야만 인간일 수 있다."

<동물농장>,<1984>의 작가 조지 오웰이 남긴 말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