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1.03.30 16:45:05
  • 최종수정2021.03.30 16:45:05

김규완

전 충청북도 중앙도서관장

봄비가 부슬부슬 촉촉이 내리는 춘분 날 근처 이정골로 진달래꽃을 따러 갔습니다.

어릴 적 봄날에 학교 갔다 와 배고프면 진달래가 지천인 뒷산에 올라가 진달래꽃을 따 먹었습니다.

노루처럼 이리저리 산을 타다 목이 마르면 가랑잎에 숨겨진 작은 옹달샘을 찾았구요.

귀여운 꽃수염(꽃술)은 떼고 먹어야 한다는 어른들 말씀 안 들은 녀석들은 그날 밤 배앓이를 해야만 했습니다.

진달래꽃 100g에는 탄수화물ㆍ단백질ㆍ나트륨 등 26Kcal의 영양성분이 들어있으니 춘궁기 시골 아이들의 요깃거리로는 꽤 괜찮았던 거지요.

봄이 되면 백두에서 한라까지 잎보다 앞서 꽃을 피우며 산을 온통 진분홍으로 물들이는 한국의 꽃 진달래.

진달래 하면 북의 소월(素月), 남의 지용(芝溶)이지요.

'~영변에 약산 진달래꽃/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 ~' (김소월의 '진달래꽃' 중에서)

'~진달래 꽃 사태를 만나/나는 만신(萬身)을 붉히고 서다. ~'

(정지용의 '진달래' 중에서)

소월의 시 <진달래꽃>으로 유명한 영변 약산동대 서쪽 4km에는 북한의 영변 핵 단지가 있습니다.

그곳에서 근무했던 소설가 김대호에 따르면 영변 약산에는 진달래꽃이 더이상 피지 않는다고 하네요.

<영변 아리랑>에는 이런 대목도 있는데 말입니다.

'약산으로 올라갈 때 오빠 동생 하더니/약산에서 내려올 때 여보 당신 하더라'

이규태는 칼럼 <연달래와 난달래>(1992.4.4)에서 진달래의 이름풀이를 다음과 같이 했습니다.

"하얀 빛 도는 연한 진달래를 연달래라 하고 자줏 빛 도는 진한 진달래를 난달래라고 하는데, 연하고 진한 진달래빛이 처녀들의 젖꼭지 빛깔을 빗대고 있어 어릴 적 이 꽃이름을 부르면서 처녀들을 놀려댔다.

곧 앳된 처녀의 별명이 연달래, 숙성한 처녀가 진달래, 과년한 처녀가 난달래이기에 "난달래!" 하면 젖꼭지가 새까만 노처녀란 뜻이 되는 것이다."

사정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으나 진달래가 질 즈음엔 철쭉이 피어나고 철쭉이 질 즈음에는 영산홍이 만발하는데, 이 중에서 우리가 먹을 수 있는 것은 독이 없는 참꽃인 진달래꽃 뿐입니다.

진달래와 철쭉꽃은 한국민속식물이지만 영산홍의 원산지는 일본입니다.

세종 때의 명신 강희안이 쓴 원예서 《양화소록》의 기록, "우리 주상 전하께옵서 왕위에 오르신지 23년이 되던(1441년) 봄에 일본국에서 철쭉 두어 분을 공물로 보내 오니 주상께서 명하시어 대궐 안 뜰에 심게 하셨다."에 따르면 영산홍이 들어온 지 580년이 됐군요.

산을 붉게 비춘다는 영산홍(映山紅)이 연산홍(燕山紅)이란 별칭을 얻게 된 사연도 재미있습니다.

1504년 3월부터 10월까지 8개월간 갑자사화를 벌인 연산군은, 다음 해 1월 26에 "영산홍 1만 그루를 후원(後苑)에 심으라" 명했고, 그다음 해인 1506년 3월에는, 장의문 밖에 영산홍을 잔뜩 심은 탕춘대(蕩春臺)를 지어 무희들과 방탕하다가 꽃이 다 떨어진 9월 초하룻날 중종반정으로 폐왕이 되었습니다.

"꽃(영산홍)은 본래 일본에서 왔다. 연산군이 사람을 보내 배에 실어오게 했는데 돌아와 호남의 좌해에 이르렀다. 연산군이 이미 폐해졌으나 호남 사람들은 이로 인하여 많이 소유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므로 또 연산홍(燕山紅)이라고 한다."

(여암 신경준의 《순원화훼잡설》 중에서)

요즘 관공서나 공원 등에 빽빽하게 모아심기를 하여 영산홍 군락을 만드는 방식이 여기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영산홍은 꽃이 필 때는 그 화려함이 다른 꽃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지만, 꽃이 시들 때는 가지에서 떨어지지 않고 말라붙은 채 오래갑니다.

그래서 시든 후에는 영산홍보다 더 추한 꼴이 없지요.

화무십일홍이요 권불십년이라 했건만, 권력을 잡고 놓지 않으려고 바둥거리는 소인배들과 같다고나 할까요.

요임금 시절 한 노인이 불렀던 노래입니다.

"해가 뜨면 일어나고 해가 지면 쉬노라.

내 우물을 파서 물을 마시고 내 밭을 갈아서 밥을 먹으니, 임금의 힘이 나에게 무슨 상관이 있겠는가!"

산에 불이 붙는 것 같이(滿山紅如火) 진달래가 활짝 피었습니다.

아, 사랑하는 임이시여!

이제 그만 아프시오.

진달래 꽃방망이를 두드리며 이 글을 보내오니 감로(甘露) 드시듯 가슴을 축이시고 벌떡 일어나시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