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7.9℃
  • 구름조금강릉 18.3℃
  • 맑음서울 11.4℃
  • 맑음충주 7.8℃
  • 맑음서산 9.0℃
  • 맑음청주 13.1℃
  • 맑음대전 11.1℃
  • 맑음추풍령 6.1℃
  • 맑음대구 13.1℃
  • 맑음울산 10.3℃
  • 맑음광주 12.4℃
  • 맑음부산 12.6℃
  • 맑음고창 12.1℃
  • 맑음홍성(예) 9.3℃
  • 구름조금제주 13.1℃
  • 구름조금고산 11.2℃
  • 맑음강화 9.3℃
  • 맑음제천 5.4℃
  • 맑음보은 7.2℃
  • 맑음천안 7.1℃
  • 맑음보령 13.5℃
  • 맑음부여 7.1℃
  • 맑음금산 7.2℃
  • 맑음강진군 8.2℃
  • 맑음경주시 9.3℃
  • 맑음거제 10.6℃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6.07.19 15:25:14
  • 최종수정2016.07.19 15:25:58

장정환

에세이스트

"수학이란 물의 흐름과 같은 거야. 수학이란 지나치게 자연스러운 것이고 그건 아름다운 풍경 같은 거야." 무라카미 하루키의 '1Q84'를 읽으면서 주인공 '덴고'가 하는 말이 머리에 쏙쏙 박혔다.

수학은 그냥 그곳에 있는 것이라고, 뭔가로 치환할 필요조차 없는 그것이 수학이라고, 그래서 수학 속에 있으면 자신이 점점 투명해 진다는 문장을 읽는 순간 난 불현듯 어느 한 얼굴을 떠올렸다.

'큰 바위 얼굴'로 자연스레 불릴 만큼 참 머리가 큰 친구였다. 볼일이 있어 잠시 사무실을 찾았을 때 난 책상 위를 다시 한 번 들여다보았다. 우리 세대부터 자식세대까지 이 땅의 수많은 고등학생들을 괴롭히던 불후의 명작(?), 홍모씨의 '수학의 정석'이 놓여있는 거였다.

"이 수학책은 뭐에 쓰는 물건인고?" "그냥 취미로 수학문제를 풀고 있어요. 허허허 재미있잖아요." "재미삼아 수학문제를 푼단 말이지? 역시 괜히 머리가 큰 게 아니야." 난 껄껄 웃으면서도 진기명기를 본 듯이 신기하고 흥미로워했다. 그 친군 고등학교, 아니 대학교를 졸업한지도 20년이 훨씬 지났고 벌써 머리숱도 점점 줄어들기 시작한 터였다.

취미로 방정식과 미분 적분문제를 풀던 그 친구는 그 후 조용히 부장으로 승진하여 본사 해외사업부서에서 요직을 맡았다. 마침 '큰 바위 얼굴'이 있는 독신자 숙소의 룸메이트가 입사동기여서 가끔 안부전화를 하게 되었다.

"우리 큰 바위 얼굴 부장님은 아직도 수학문제 풀고 계시나?" "요즘은 수학은 안하고 다른 걸 하는 것 같던데." 내 동기도 수학정석 이야기에 아주 즐겁게 하하 웃었다. "내가 무슨 일 있어도 큰 바위 얼굴 부장님이 충북으로 되돌아가면 꼭 한 번 보러 가리다"며 내게 기꺼이 약속하는 거였다.

수학이라면 내 머리에 쥐가 나게 하던 과목이었다. 그런데 무라카미 하루키의 말과 큰 바위 얼굴 부장님의 '수학의 정석'추억이 내게 수학에 대한 친밀감과 호기심이 생기게 했다.

CBS PD인 정혜윤 작가가 수학자 괴델에 대해 인용한 글을 읽었다. 그 정의가 수학적인 사실명제마냥 명쾌했다. "괴델에게 수학적 정리가 진주라면 증명방법은 진주조개이다. 진주에 비유하는 것은 그 정리의 광채와 명료성 때문이며 진주조개에 비유하는 것은 그것의 내장에서 신비하고도 단순하게 보석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이후에 난 이 멋진 '수학적 정리'를 곳곳에서 발견하는 기쁨을 누렸다. 함께 근무하는 직원 책상에서 색색의 형광펜과 빨간 볼펜으로 빼곡히 메모한 중국어 책을 보게 되었다. 아침 근무 전, 점심시간, 하루에 꼬박 두 시간동안 중국어를 수강하는 이 직원은 벌써 2년째 매일 중국어를 공부하는 중이다.

이제 점심시간이 되면 몇몇씩 중국어 공부, 기타 동아리와 탁구 동호회 활동을 위해 뿔뿔이 흩어지고 사무실엔 나만 홀로 남는다. 사실 이때가 내겐 가장 행복한 시간이다. 손주육아로 집에서 못 본 책을 집중적으로 읽을 수 있는 유일한 시간이기 때문이다.

모두들 그렇게 공부하고 익히며 산다. 아니 사는 것 자체가 공부이리라. 저마다 기를 쓰며 증거 하는 것, 그건 우리의 존재를 가장 확실하게 확인하고 증명해 가는 방법일 것이다. 저마다를 명료하게 빛내줄 진주를 품고서, 혹은 더 이상 치환할 필요가 없는 투명함을 위해서.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