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5.04.21 14:08:45
  • 최종수정2015.04.21 14:08:38

장정환

에세이스트

"36년이나 된 친구와 헤어지려고 하는데 힘드시겠어요." 보건소의 상담원이 날 빤히 쳐다보면서 패치를 건넸다. "그러게요", "약간 긴장하신 것 같은데 열심히 해 보세요"

보건소 문을 나서면서 슬펐던가? 슬펐다. 쓸쓸하고 허전해서 36년이나 된 그 오랜 친구를 다시 불러내고 싶었다.

1979년 4월, 골목길 담장에 흐드러진 개나리가 그 마지막 꽃잎을 떨쳐버렸을 때 난 '개나리' 담배를 입에 물었다. 나른한 봄 햇살이 점령한 일요일 오전, 하숙집 골방이 빙글빙글 돌았고, 나 또한 나른한 햇살 속으로 무너졌다. 그렇게 담배와 만났다.

학교수업 3교시를 마치고 쉬는 시간마다 3층 화장실에서 담배 한 개비를 친구들과 나눠 피웠다. 어질거리며 2층으로 내려오는 계단은 늘 위태롭고 몽롱했으나 달콤했다. 금욕과 억압의 시절, 금기를 탐닉하는 쾌감이 우리 또래의 유일한 출구였다.

재수시절엔 학원가 컴컴한 음악다실이 담배와 자유의 해방구였고, 대학에 입학하고부터는 머리가 희끗희끗한 노교수가 건네는 담배를 공유하는 오만한 즐거움이 있었다.

직장생활을 시작하면서 출근 후 제일 먼저 하는 일이 선배들의 책상에 놓여있는 재떨이를 깨끗이 닦는 거였다. 사무실에서 서류 작성을 하며 입에 담배를 물고 살다시피 한 시절이었다.

불과 4반세기도 지나지 않아서 시대는 돌변했다.

담배는 악의 대명사가 되었고, 사회적 불행의 씨앗으로 간주되고, 메피스토펠레스에게 영혼을 파는 저급한 행위로 은유되었으며, 반국가적으로 매도당하는 이데올로기의 희생제의가 되었다. 끽연자는 이제 루저 혹은 아웃사이더로도 불리게 되었다. 난 이제 바뀌어야만 했다. 다른 도리가 없었다.

기호학의 천재, 롤랑바르트 식으로 말해서 "가끔 부재를 잘 견디어낼 때, 나는 정상적인 사람이 되고, 소중한 이의 떠남을 감수하는 모든 사람의 대열에 끼게 되는 것, 이 잘 견디어낸 부재가 내가 살아남을 수 있는 조건이기도"했다. 난 사랑하는 사람이 아니라 사랑하는 담배와 이별함으로써 정상적인 사람으로 분류될 거였다.

하지만 이 짜릿하고 달콤한 중독은 어떻게 할 것인가.

모든 독이 약의 성분이 되듯이 인류역사상 온갖 몰입의 경지, 열정의 중심에는 도취의 독이 묻어 있었다. 무엇엔가 도취하여 중독되는 순간에만 사랑이나 혁명, 아름다움, 예술의 정수가 탄생했다. 하물며 돌고래마저 복어 독의 짜릿함을 즐기고 난 후라야 물개를 더 잘 잡는다고 하지 않던가.

담배는 마약보다 더 강한 중독물질이어서 참아서 이겨내는 건 의학적으로 불가능하다고들 말했다. 그러니 처음 담배를 피우게 된 계기, 마음속 상처와 결핍을 찾아서 돌아보라고, 그것을 치유하면 자연스레 끊을 수 있다고도 했다. 결국 우리는 담배가 아니라 오랫동안 상처와 결핍에 중독되어 있었던 것인지도 모를 일이었다.

유능한 프로게이머와 게임중독자의 차이점은 통제력이라는 사실을 오랜 친구와 헤어지면서 알아냈다.

오랜 결핍이든 끈질긴 열정이든 난 이제 중독성 강한 36년 이 친구와 단연코 결별할 거였다.

난 내 삶에서 중독자라고 불리기보다는 삶의 유능한 프로였다고 기억되고 싶어졌고, 아니면 이 오래된 중독과 헤어지는 일이 또 다른 짜릿함이 시작되는 지점이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