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단양군 고향사랑기부제 1호 주인공은

이관표 세명대 명예교수 500만 원 기부 등 이어져

  • 웹출고시간2023.01.03 13:29:09
  • 최종수정2023.01.03 13:29:09

고향사랑기부제 단양군 제1호 이관표 세명대 명예교수.

ⓒ 단양군
[충북일보] 2023년 새해가 시작되며 단양군에는 고향사랑기부제에 동참하는 행렬이 잇따르고 있다.

군에 따르면 이관표 세명대학교 명예교수가 첫 번째로 고향의 어려운 이웃과 지역 발전을 위해 기부 한도 최고 금액인 500만 원을 기부했다고 3일 밝혔다.

현재까지 13명의 기부자가 791만 원을 기부했으며 인근 제천시를 포함, 수원시, 서울시, 인천시, 청주시, 성남시 등에서 기부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단양군이 홍보 중인 고향사랑기부제 포스터.

ⓒ 단양군
군은 지난해 10월 고향사랑기부제 시행 전부터 서울, 구리, 대구, 대전, 울산, 청주 등 출향인 140명을 초청해 기부제를 설명하고 고향을 위해 기부를 요청했다.

이에 서울지역 향우회장인 박종서씨는 회원들과 출향인들의 정성을 모아 고향을 위해 적극 기부하기로 마음을 표했다.

또 지난 연말에 개최된 단양 포럼에서도 최복수 회장을 비롯한 회원들이 고향사랑기부에 적극 동참하기로 뜻을 모았다.

단양군은 지난해 11월 답례품 선정위원회를 열어 단양군을 대표하는 농·특산품과 관광상품을 답례품으로 선정했다.

답례품은 지역 농산물인 마늘, 산양삼, 송이, 잡곡세트 가공식품인 흑마늘청, 아로니아즙, 오미자즙, 고추장, 고춧가루로 선정했다.

또한 다누리아쿠아리움, 만천하스카이워크 입장권과 단양사랑상품권 등과 대표 어종인 쏘가리, 대농갱이, 붕어 등 치어 방류체험권도 준비됐다.

이색적인 답례품으로 평가받는 사이버 군민증은 사이버 단양군민으로 가입돼 단양군민과 같은 수준의 관광지 할인 혜택을 받는다.

군은 점진적으로 기부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하기 위해 패러글라이딩 체험권, 수상레포츠 이용권, 벌초 대행 서비스이용권, 단양관광투어권 등을 지속해서 개발해 나갈 것이라 밝혔다.

군 관계자는 "고향사랑기부제는 지역사회 발전의 역동적인 원동력을 부여하는 핵심적인 제도"라며 "철저한 사전 준비를 통해 제도 정착에 힘쓰고 단양군만의 경쟁력으로 고향사랑기부제가 지역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고향사랑기부제는 단양군 이외의 거주자가 단양군에 기부하면 세액공제 혜택과 함께 기부액의 30%(최고 150만 원 범위) 내에서 지역특산품 등의 답례품을 받을 수 있는 제도다.

고향사랑기부금은 온라인 '고향사랑e음시스템(www.ilovegohyang.go.kr), 오프라인은 전국의 모든 농협에서 기부 지자체를 단양으로 선택하고 기부할 수 있다.

단양 / 이형수기자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신년> 나경원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 인터뷰

[충북일보] ◇취임 두 달이 지났다. 그동안의 소회 말씀해 달라 2016년 국회 저출산고령사화특귀 위원장을 하면서 출산율 제고와 고령화 정책에 집중했다. 지난 6년간 대한민국 인구구조는 역피라미드로 갈 수밖에 없는 흐름이다. 2025년 초고령 사회 진입에 따른 인구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서는 큰 틀에서의 인구미래전략이 필요하다. 취임 후 위원회가 해온 일을 살펴보고 관계부처, 관련 전문가, 지자체, 종교계, 경제단체 등 각계각층과 의견을 나눴는데 아직 연계와 협력이 부족하다. 위원회가 정책을 사전에 제안하고 부처 간 조정 역할을 강화해 인구정책 추진에 매진할 계획이다. ◇인구정책 컨트롤타워로서 위원회의 인구미래전략 비전과 방향은 현재 극심한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구구조가 크게 변화하고 있다. 위원회는 피할 수 없는 초고령사회를 대비하는 '미래 100년 준비'를 시작한다. 인구구조에 영향을 받는 산업, 교육, 국방, 지역 등 전 분야의 준비를 통해 사회구성원 모두 행복하게 살 수 있는 탄탄한 미래를 설계하고자 한다. 인구구조 변화를 완화하기 위해 출산율 제고는 반드시 필요하다. 새해에는 '2023년 응애! 응애! 응애!' 구호를 펼친다. 젊은 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