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임경자

수필가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 무엇인가 묻는다면 누가 뭐래도 당연히 김치다. 아무리 좋은 반찬을 상에 차려 놓아도 김치가 없으면 먹을 만한 반찬도 없는 것 같다. 그래서 김치는 꼭 상차림의 기본 메뉴가 아닌가 한다. 그 다음은 김치에 버금가는 누룽지인 듯싶다. 입맛이 없을 때 누룽지를 만들어 물 붓고 폭폭 끓여 부드러워진 숭늉 물을 훌훌 마셔도 든든하다. 옛날부터 눌은밥을 숭늉으로 만들어 먹어 온 것은 참으로 지혜로운 일이라 생각된다.

선배 언니와 함께 반계탕전문식당에 가서 반계탕을 주문했다. 그런데 돌 솥밥이 나와 반가웠다. 뚜껑을 열고 밥은 따로 공기에 퍼놓고 뚜껑을 덮어 두고 있다가 10분후에 열어보니 신기하게도 노릇노릇한 누룽지가 싹 일어났다. 뚝 떼어 입에 넣어 씹으니 전기밥솥이 나오기 전 아궁이에 불을 때서 가마솥에 밥을 해 먹던 시절에 흔히 먹던 누룽지 맛이다. 고소한 그 맛에 옛 생각이 폴폴 났다. 아침밥도 제대로 먹지 못하고 먼 거리까지 출근 준비하느라 바쁜 며느리가 안쓰럽게 여기시던 시어머님이시다. 아침밥을 푼 다음에 누룽지를 긁어 꼭꼭 뭉쳐 도시락가방에 넣으며 '아이들 가르치다보면 배가 얼마나 고프겠니. 이 누룽지라도 참으로 먹어라'하시며 챙겨 주셨다. 점심시간이 되어서야 여는 도시락과 후식으로 먹던 그 누룽지 맛은 그야말로 꿀맛이었다. '그 맛처럼 포근하고 정스럽던 시어머님의 고마움을 그때는 왜 몰랐을까' 뒤늦은 후회를 해 본다.

방학이 되어 미국 사는 딸네 가족이 온다는 기별이 왔다. 무엇을 준비해 놓아야 되느냐고 딸에게 물으니 누룽지만 준비해 두란다. 집에서 만들 수도 없고 상품화 된 누릉지중에서도 가마솥 누룽지 맛이 나는 것을 골라 듬뿍 사다놓았다. 삼복 무더위도 불사하고 그들이 좋아하는 누룽지를 끼니때마다 삶아 주면 어린 손녀들은 그 어떤 음식보다도 만족한 표정을 지었다. 먹으면 먹을수록 고소하면서도 담백하고 구수한 맛과 아주 미묘한 단맛이 느껴지는 맛을 무척 좋아하는 미식가다. 구수한 그 맛에 반하게 된 것은 순전히 나 때문이다.

딸네 집에 가서 볼 때마다 어린 손녀들이 먹다 남은 밥을 쓰레기통에 버렸다. 그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 쌀 한 톨이 되기까지는 농부의 손길이 88번의 수고로움이 따른다는 말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보릿고개로 식량부족의 시대를 살아서인지 몰라도 음식을 허투루 버리지 못한다. 아깝다는 생각 끝에 남긴 밥을 프라이팬에 얹어 누룽지를 만들어 말랑말랑하게 된 것은 그냥 먹고 좀 딱딱해진 누룽지는 삶아 주었더니 밥보다 더 잘 먹었다. 마침내 식사 준비 때마다 '아가 무엇을 먹을까'하고 물으면 아이 셋이 모두 '누룽지밥'이란다. 다른 음식은 먹지 않고 한결같이 누룽지만 찾는다. 그러다보니 그 맛에 완전히 길들어졌다. 갑자기 누룽지 밥을 달라고 할 때는 난감할 때가 많았다. 그래서 밥을 많이 하여 일삼아 누룽지를 만들어 놓기까지 했다. 피는 못 속인다는 말처럼 한국인이 좋아하는 누릉지 맛을 은연중에 알게 된 기특한 손녀들이다. 한국의 맛을 영원히 잊지 말고 기억하며 튼튼하게 성장해 주기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이다.

최근에 누룽지가 들어간 다양한 요리가 선을 보이고 있는 추세다. 그 종류도 많아서 얼큰 누룽지탕면, 누룽지 백숙, 누룽지 오리백숙, 누룽지 사탕, 누룽지 아이스크림, 누룽지 빙수, 누룽지치킨, 누룽지 튀김, 누룽지 막걸리등 이루 헤아릴 수 없다. 이 모든 음식들은 옛날 가마솥 누룽지의 구수한 맛을 그대로 살려 낸 음식들이다. 요리를 한 후 맛이 제대로 안 나면 누룽지를 갈아서 한 스푼 정도 넣으면 그 맛이 일품이 된다고 한다.

누구나 좋아하는 누룽지 맛처럼 사람도 마찬가지다. 사람을 상대하다보면 입속의 혀처럼 달게 굴다가 내 뜻대로 되지 않는다고 짜증부리고 심통 부리며 쓰디쓴 뒷맛만 남기고 사라지는 사람이 있다. 그런가하면 처음에는 거칠고 투박한 듯해도 무엇에든 잘 어울리고 겪을수록 길게 여운이 남아 그리워지는 사람이 있다. 약삭빠르게 변하는 세태에 나의 잘못도 넉넉한 마음씨로 따뜻이 품어주고 곁에 있으면 마음이 편안하고 구수한 맛이나는 그런 사람이 좋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