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청주대 정상화를 위해 김윤배 사퇴 요구

청민동, 김 전 총장 정상화 걸림돌

  • 웹출고시간2017.07.04 17:34:15
  • 최종수정2017.07.04 17:34:15
[충북일보=청주] 3년 연속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에 선정된 청주대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김윤배 전 총장의 청석학원 이사 사퇴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청주대민주동문회(이하 청민동)은 4일 보도자료를 통해 "김윤배 청석학원 이사는 사퇴하고 백의종군하라"며 "김 이사는 개인적 몽니를 중단하고 항고를 포기하길 바란다"고 요구했다.

이들은 "포기가 안된다면 그동안 청주대 사태의 모든 책임을 지고 결자해지 차원에서 선이사 사퇴후 선택하길 바란다"며 "학교법인 이사직은 개인의 보신을 위한 자리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설립자 3세인 김윤배 이사는 청주대 정상화의 최대 걸림돌이었다"며 "청주대를 교육기관으로서 지역사회의 공적자산이 아닌 개인 사유물로 치부했던 경향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특히 "학교정상화를 요구하는 학내구성원들과의 내홍을 겪으면서도 언제나 외면해 왔고, 각종 부패와 비리를 저지르고도 어용총장을 내세우며, 재단이사 직을 오가며, 지역사회를 기만해 왔다"고 밝혔다.

더불어 "한수이남 최고의 사학이라는 명성을 되찾기 위한 노력은 전혀 하지 않아 결국 부실대학이라는 오명을 뒤집어 씌웠다"며 "수많은 청대동문과 현재 구성원들에게 씻을 수 없는 아픔과 상처를 남겼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윤배 이사에게 청민동의 이름으로 경고한다. 마지막 자존심을 지키고 싶다면 더 이상 본분을 망각하지 말고, 재단 이사직을 내려놓고 자숙하라"고 요구하며 "앞으로 청대구성원, 동문, 지역사회에 석고대죄 하는 심정으로 살아가야 하며, 지역사회를 위한 봉사의 삶으로 제2의 인생을 살아가길 바란다"고 주장했다.

/ 김병학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이 기사 주변 소식 더 자세히 보기
현재위치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