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3.10.09 17:06:11
  • 최종수정2013.10.09 17:06:04

장정환

수필가

돌연 퇴각한 여름을 생각하곤 어리둥절해졌다. 어두움이 빨리도 다가왔다.

계절이 돌변하는 것을 길어진 어둠으로 감지했다.

빗속에 어두움이 다가오는 것을 빈 사무실에서 홀로 바라보았다. 6시의 어둠이 7시의 어둠으로 인계하고, 9시의 어둠이 8시의 어둠을 접수했다. 시간이 누적되면서 어두움의 밀도는 깊어졌다.

해변가의 도시들이 광풍으로 몸살을 앓을 때 내륙의 밤은 고요했다. 이곳의 태풍은 어둠속을 슬며시 스쳐가는 듯 했다. 내 비상근무도 그래서 고요했다.

지난여름은 무자비한 폭염이 끝나지 않을 것만 같았다. 하지만 이 비 그치면 지천으로 푸르렀던 한 해살이 풀들이 그 목숨을 떨구고, 수백 년의 생명을 간직한 수목의 잎들도 탈색한 잎들을 떨어뜨릴 터였다. 온몸으로 뜨거움을 견디던 대지의 흙들과 돌들도 더 헐거워질 거였다.

며칠 전 들렀던 공주의 석장리 박물관과 백제의 공산성을 떠올렸다.

박물관 앞으로 아름다운 금강의 물결이 소리 없이 흘렀다. 수만년 전 구석기인들도 강변 억새풀 너머로 그 강물을 지켜보았을 것이다.

가족의 입으로 한 끼의 양식을 넣어주기 위해 사내들은 돌도끼를 갈고 돌망치를 휘두르며 산과 들로 뛰어 다녔을 것이고, 아낙들은 불을 지피고 자식들에게 퉁퉁 불은 젖을 물렸을 것이다.

강물은 그대로인데 수만년 전 그들은 강물처럼 소리 없이 사라졌을 뿐이다.

패망한 왕조의 성곽주변은 사람들로 붐볐다. 몰락한 왕조의 후손들은 한 때 화려했던 선조들의 꿈을 다시 꾸고 싶어 했다. 보다 큰 영화를, 보다 많은 행복을 꿈꾸며 그들은 웃고 축제를 열었다.

천 오백년 전의 융성하고 찬란했던 시절은 성(城)의 돌과 거대한 무덤과 푸른 하늘로만 남아 그들의 꿈을 갈망하게 했다.

밤 10시의 어둠이 짙어지면서 내 몸의 허기를 느꼈다. 석장리의 구석기시대 수만년 전부터, 백제의 천 오백년 전까지 이어온 허기를 느끼는 것만 같았다.

인간의 허기는 영원토록 미완으로 남아있을 주제일 터였다.

나는 오랫동안 빗속의 어둠을 바라보았고, 정말 오랜만에 예민해진 촉수를 세워서 아득히 먼 곳으로 흘러가버린 시간들을 오롯이 받아들였다.

난 수만년 전 황량한 중앙아시아의 광활한 초원을 거쳐 온 우리 조상들의 시간을 함께 느꼈다. 순전히 어둠 탓이고, 홀로였기 때문이고, 빗속으로, 바람 속에 묻혀오는 가을 탓이었다.

이 세상에 영원한 것은 없으나 그 시간은 함께 흘러 남았다. 시간 속에 흘러든 사람들의 아픔, 방황, 행복, 사랑, 번민, 후회, 미련, 추억, 그 모든 것들이 시간 속에 고스란히 머물러 있음을 난 이 가을의 입구, 어둠의 길목에서 목도한 것이다.

내 한 생을 거쳐 간 가을이 고작 50여 번이란 생각만으로도, 구석기시대부터 백제를 거쳐 내 몸을 횡단한 수천, 수만 번의 가을을 떠올리면서 난 이 계절의 신성(神聖)이 저절로 느껴졌다.

익숙한 허기를 느끼면서 난 내게 펼쳐진 이 시간의 지복을 받아들였다. 비에 젖어 번들거리는 색 바랜 나뭇잎들이 지난 계절의 진초록을 이겨냈음을 보여주었다.

어두워진다는 것, 무르익고 난 후 떨어진다는 것, 잊혀진다는 것, 잃어버린다는 것, 추락한다는 것의 근원적인 답변은 이 가을만이 주는 열매였다.

가을 속에 깃든 어둠이 나를 익명에서 실명으로 구조해 주었다. 열기를 피해 이리저리 피해 다니던 여름과 빛 속에서 잠시 나를 잃었고 돌보지 못했었다. 이 가을의 어둠이 날 본래의 자리로 되돌려 놓았다.

가을은 아득한 근원을 찾아가는 시간, 견딜 수 없는 허기와 같은 일상의 아픔쯤은 이 유구한 시간을 더듬는 동안 아무것도 아님을 말해주었다.

이 가을은 살아가는 일이 혼절할 것 같이 열에 들끓는 사랑이 아니라 뚝배기 같이 은은한 우정에 더 가까움을, 그래서 진부하고 조촐한 것의 정겨움을, 소멸하는 것들의 아름다움을 일깨웠다.

난 한층 순도 높아 가벼워진 가을 속으로 걸어 나오면서 중얼거렸다. 안녕! 뜨거웠던 지난 계절아. 초록의 녹음들아!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