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장정환

수필가

경칩은 봄이 땅에 오는 절기이고 청명이 되어야 비로소 사람에게 온다는데, 수목원의 숲길에는 벌써부터 사람들의 발걸음에 생명의 봄기운이 차고 넘친다.

청량한 바람을 맞으며 걷다보니 발걸음이 저절로 가벼워진다. 메타세콰이어 가로수가 양옆으로 나란히 늘어선 황톳길을 걷는다. 나무의 새싹과 황토가 토해내는 감미로운 봄 향기가 잠시 가쁜 숨결을 쉬게 한다.

숲속에는 미묘하게 꿈틀거리는 생기가 감지된다. 맹아들의 속삭임이 들리는 듯하고, 한껏 귀 기울이면 고요함 속에 느껴지는 놀라움 가득한 함성이 있다. 그것은 생명들이 내는 소리, 모든 살아있는 것들의 내밀한 몸짓이다.

인적미답의 벌판에서 벌어지는 은밀한 생명력의 울림, 풀이나 나무들이 보여주는 무언의 수동성이 실상은 얼마나 끈질긴 능동성을 감추고 있는가.

바람 따라 일렁이는 나무들의 떨림과 햇빛에 맞춰 온몸으로 응답하는 초록빛은 정녕 하늘과 대지의 삶이 오롯이 합일된 것일 터이다.

생명 있는 것들이 가진 포식성을 과감히 거부하는 숲속의 존재들- 너희들의 꿈은 오로지 햇빛과 물과 바람만으로도 이루어지는구나.

산다는 것이 추상이 아니라 구상이라는 생생한 감각을 이 숲속에서 다시금 실감한다. 살아있음의 정직한 절박함을 간결하고 소박한 이 숲에서 느끼는 모순형용의 역설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숲속에는 번잡한 인공세계의 아우성과 상투성이 범접할 수 없고, 삶의 순결성을 일깨우는 원체험이 고스란히 남아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곳에는 모든 자연이 '스스로 있는 존재'임을 드러냄으로써 온전한 나 자신으로 돌아가는 길이 어떤 것인가를 생각하게 했다.

니체는 "모든 사람이 자기 자신에 대해 가장 멀리 있는 존재"라고 했던가· 난 정말로 나 자신과 가장 가깝고 싶었다.

젊은 시절 언젠가, 비트겐슈타인이 말한 "내 언어의 한계는 내 세계의 한계를 의미한다."는 한마디를 접한 이후 난 내 한계에 대해서 뼈저리게 고민하게 되었다.

도저히 해독되지 않는 세상과 삶이 내 언어의 한계 때문이란 것을 깨닫게 된 것이다.

내 삶이라는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해 내가 해야 할 일은 이 텍스트를 읽고, 쓰고, 또 읽는 수밖에 없었다.

텍스트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이리저리 방황하며 밤을 지새우던 날들이 그 얼마인지 모를 일이다.

모진 나날을 읽고 쓰다 보니 동서고금의 무수한 선현들의 앞선 길이 조금씩 보이기 시작했고, 그들 또한 언어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 얼마나 몸부림쳐 왔던가를 공감하게 되었다.

하이데거는 "언어는 존재의 집"이라고 했고, 발터 벤야민조차 언어가 현실을 만들어낸다고 했으며, 보르헤스는 아예 이 세상을 도서관으로 여기며 살지 않았던가.

나 또한 하나의 텍스트를 익힐 때마다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 하나씩 더해가는 듯했다. 서가에 늘어가는 책만큼 비례해서 내 언어의 해상도가 높아지는 것 같았다.

하지만 신산하고 유장한 이곳의 삶에서, 내가 읽은 텍스트의 두께가 나와 세상과의 간극을 더 이상은 메꾸어 줄 수 없음을, 이 숲속의 나무들이, 풀들이, 그들의 향기가 깨우쳐주고 있었다.

산림박물관에서 바라본 거목의 나이테, 수백 년의 연륜 자체가 나무들의 언어가 되어버린 나이테는 그것들이 살았던 역사, 지도, 생태가 고스란히 새겨져 있었다. 차라리 나무들의 언어는 무여열반(無餘涅槃)처럼 위대했다.

연륜이 나이테가 되어 스스로 선명한 언어를 만들어 내는 나무들, 자신의 상처를 오히려 향기로 내뿜는 나무들의 숲속을 거닐며, 내게 삶은 아름답고, 내 눈에 보이는 세계는 아직도 아름다워 이 세계를 더 이상 증발시킬 수 없다는 카잔차키스의 외침을 읊조렸다.

난 이 봄날의 숲에서 나와 가까워졌다. 나와 멀리 떨어져 아득했던 거리가 한눈에 들어왔고 나와 친밀해졌다.

난 햇빛과 물과 바람만으로도 풍족한 나무들 앞에서 무척이나 부끄러워졌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