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1.04.19 18:14:31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장정환

한전충북본부 홍보실장

"이뻐? 이뻐? 아직도 이뻐?" 나이 꽉 찬 오십하고도 며칠 더 지난 아내는 얼굴을 들이대며 또 묻는다. "어휴 그래 이뻐"하고 나 또한 소리를 빽 지른다. 대학 일학년 때 만나 양은냄비 하나 젓가락 두 짝으로 소꿉장난처럼 살림을 시작할 때만해도 참 예뻤지. '왕후의 밥 걸인의 찬'이라는 국어 교과서 문장보다도 더 소박했던 그 시절. 당신이 웃을 때 볼에 패이던 볼우물하며, 24인치 야들야들하던 허리하며, 내 팔에 매달려 폴짝폴짝 걷던 걸음걸이하며, 배시시 웃던 그 미소를 어떻게 잊을까마는 이젠 차마 낯간지러워 말 못한다. 그러나 아내여, 입술 밖으로 차마 내뱉지 못하는 속말을 아느냐, 그래 네 머릿결속이 이제는 갈대처럼 하얗게 일렁이는구나, 지난 30년간 민들레 홀씨처럼 흩날리던 네 근심, 걱정, 염려가 네 머릿속에 하얗게 박혀버렸구나.

"오늘 맛난 것 좀 사줘" "난 당신이 끓여주는 냉이와 달래향 물씬 나는 된장찌개가 젤 좋아, 아님 미더덕하고 조갯살 듬뿍 넣어 끓인 생태찌개도 최고인데 집에서 그냥 먹지 뭘" 그놈의 세상 비즈니스가 뭐라고 전날 마신 술로 물먹은 스펀지마냥 무거운 몸을 쉬고싶어하는 내 음흉한 대답인 것을. 하지만 안다. 당신의 그 말은 가끔 화사한 꽃무늬 치마입고 살랑거리는 봄바람 맞으며 함께 걷고 싶다는 맘이겠지. 츄리닝복이나 슬리퍼 차림이라도 어깨동무하고 동네 한 바퀴 산책하고픈 맘이란 걸. 코끝이 시큼 알싸하고 가슴께가 먹먹하군.

빠알갛게 되바라진 동백이나 장미, 칸나의 농염한 열정이 사그라진, 이제는 깽깽이풀이나, 강아지풀, 괭이풀, 버들강아지, 양지꽃, 민들레 같은 야생화나 개나리꽃인 아내, 그러나 개나리꽃이 봄을 가장 먼저 알려 주잖아? 서양에서는 골든벨이라고 불린다지 아마. 맑은 종소리가 들려올 것 같다고 말이야. 게다가 내 눈엔 은은한 야생화가 훨씬 앙증맞고 고상하거든.

아직 초등학생 시절, 어둑어둑해진 저녁 무렵 선잠 속에 뒤척일 때 아버진 약주한잔 하시고 아침에 싸간 밴또 속에 김치 국물 버무려진 돼지불고기 몇 점 건져 오셨다. "환아 자나? 고기 한 점 먹고 자거라"하며 깨우셨다. 잠결에 꾸역꾸역 입안에 넣고 씹어 먹을 땐 어찌나 맛나던지. 아버진 물 한잔 벌컥벌컥 들이켜고 밤늦도록 어머니와 조곤조곤 두런거리셨다. 그 때 어렴풋이 들었던 해독 못할 세상 걱정들, 녹록치 않은 현실, 헛돌고 어긋나고 삐걱이는 소리들, 그 속에서 천 길 잠으로 빠져들면서도 부모님 가운데 누워 참 아늑하고 포근했던 기억. 이제 그 때의 아버지보다도 더 나이 들어 아버질 그리워한다. 그 때의 아버지도 번민이 없었으며 열정이 없었을 것이며, 야망이 없었겠나. 이제 나를 낳고 기뻐하며 사랑해주셨던 할아버지 할머니며 아버지 어머닌 이 세상 흙이 되어 더 이상 만날 수가 없다.

아내여, 내가 그 옛날 기억속의 아버지처럼 연륜이 쌓여 다리에 힘 풀리니 알겠다. 세상살이가 아무리 영악해지더라도 아내에게 만큼은 눈 부라리지 말고 처음 만났을 때처럼 순진한 눈망울로 바라봐야 한다는 걸. "당신, 나만큼 의리 있는 친구 있어?"라고 우쭐대며 묻는 아내여, 아직 남은 머나먼 길, 오순도순 손잡고 걸어가자. 내가 오늘도 따뜻한 지붕이 되어주고 키 큰 느티나무 우듬지가 되어주겠다. 그리고 오늘 당장 텃밭에 올여름에 함께 먹을 고추나 상추씨앗을 뿌리자꾸나. "이뻐?"하고 물으면, "흠, 방긋거리는 웃음이 매력적이야". "맛난 거 먹을까?"하면 "응, 시큼 달콤한 과즙이 흐르는 사과 한 입 베어 먹자". 그렇게 차곡차곡 삶의 걸음을 밟아나가며 우리만의 밀의를 다지자. "봄이 파랗게 돋아났는데 당신도 오늘 초록빛이네. 크크 콕콕 찍어 얘기하니까 좋지? 우암산 벚꽃 벌써 폴폴 날리더라. 더 늦기 전에 산책 나갈까?" 매일 매일의 사소함이 콕콕 쌓여 한바탕 일생이라 안 하더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