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신현애

수필가·공인중개사

인천공항에서 버스를 타려고 정류장을 가는데 바닥에 '거리 두기'라는 글씨가 쓰여 있었다. 전에는 '줄서기'라고 했는데 언제부터 바뀌었을까. '거리 두기' 하면 우선 떠오르는 생각은 중국에서 발발한 전염병으로, 지난 3년여 동안 우리는 개인 일상의 거리를 많이 좁혀야 했고, 이웃과의 거리는 뜨막하게 지내야 했다. 이미 종식 선언을 하였지만, 그동안 우울감과 피로감을 겪어야 했던 역병은 이름을 바꿔 달고, 아직 잠복 중이며 지금도 병원을 방문할 때는 잊었던 마스크를 다시 착용한다.

운전을 하다보면 안전거리 확보를 알리는 표지판이 곳곳에 서 있다. 면허시험 공부를 할 때 시속에 따라 앞차와의 거리를 정지거리 안전거리로 구분하여 배웠다. 하지만 생명과 직결되는 중요함을 알면서도 지켜지지 않을 때가 있다. 되도록 규칙인 법정속도를 지키려고 해도 차량의 흐름에 따라 가속페달을 밟아야 할 때가 있고 저속으로 주행하기도 한다. 때로는 안전거리 확보와 상관없이 뒤차의 경적에 놀라 의지와 다르게 쫓겨 가기도 하며.

거리 두기는 집 안의 가구나 집기 등 살림을 배치할 때도 적용된다. 대개 가능한 공간을 널찍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가구를 다닥다닥 붙이기 마련인데, 풍수 전문가는 실내장식의 원칙에도 거리 두기가 있다고 말한다. 가구와 벽뿐 아니라 가구와 가구 사이에도 기의 흐름이 있으니, 최소한 거리 10㎝라도 확보하라고 한다. 건축학자들 역시 기의 흐름은 생물과 무생물을 가리지 않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공간은 반드시 확보되어야 한다고 했다.

불가근불가원(不可近不可遠), 옛사람들도 가까이할 수도, 멀리할 수도 없는 사람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말했던 것 같다.

얼마 전에 아들을 결혼시킨 유명한 법학자는, 며느리에게 '한 달에 한 번 만나서 밥 먹자'라고 했단다. 서로 바쁜데 시간을 절약하자는 의미가 있었지만, 고부갈등·장서(丈壻) 문제 등에서도 멀어지고자 거리를 유지하며 몇 발자국 떨어져 있자는 생각이었다고 한다. 가족관계에서도 어느 정도 거리를 유지할 줄 알아야 한다고 했다. 텔레비전 토크 쇼에서 한 패널은 이 거리를 사랑의 거리 두기라고 했다.

젊음이 오뉴월 태양처럼 뜨거운 청춘의 연인 관계에서는 한치의 거리 두기를 용납하지 않지만, 일심동체였던 부부는 오랜 세월 함께 살다 보면 자연스럽게 '거리 두기'가 이루어진다. 그래서 각방살이를 한다거나 시대의 풍속인지 예전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졸혼이라는 미명하에 떨어져 살며 거리 두기를 하고 있다.

사람과의 '거리 두기' 친밀도에 따라 5m, 10m 넓히기와 좁히기를 계속하면서 오늘도 살아간다. 때로 자신이나 가족에게 위해(危害) 가능성이 있는 자에게는 접근금지 명령을 100m로 정하고 있는 법률적 거리 두기를 보면서.

누구인가 사람과의 거리 두기는 난로와도 같다고 비유했다. '가까이하면 뜨겁고 멀리하면 차다' 가까이하지도 멀리하지도 않는 인간관계, 언제쯤 신선함을 유지하면서 적정한 관계 '중용지도'의 삶을 체득할 수 있을까.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