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신현애

수필가·공인중개사

바람과 햇살이 가을에서 겨울로 가는 11월의 이즈음이었다. 공원 입구에 들어서자 유엔 국의 국기가 나부끼고, 빙하의 펭귄처럼 같은 모습의 묘지가 잘 정돈 된 잔디 위에 가지런하게 누워있었다. 숙연한 마음으로 한발 한발 내어 딛는 발자국에 무게가 느껴졌고, 13만3701㎡ 축구장 열여덟 개를 합친 크기의 넓은 공원에는 을씨년스러운 바람 소리만 들려왔다. 2천300여 명의 유해가 잠들어 있는 곳. 묘비의 주인이 누구인지 어디에서 왔는지 모르지만, 하나의 공통점은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수호하다 이 땅에 묻혔다는 사실이다. 숭고한 그들의 주검 앞에 고개가 저절로 숙어졌다.

11월 11일 '유엔 참전용사 추모의 날'이 법정기념일로 격상된 지 16년이 흘렀다. 이날 11시, 전 세계에 흩어져 살고 있는 용사들은 전몰장병이 잠들어 있는, 부산 유엔기념 공원을 향하여 1분간 묵념한다. 73년 전 우리나라에 전쟁이 일어났을 때, 유엔이 최초로 국제 연합군을 조직하여 공동의 적을 무찌르자는 결의가 있었다. 전쟁의 포화가 멎은 지 오래되었으나, 아직 세계에서 유일한 분단국이며 세계에서 단 하나밖에 없는 유엔기념 공원이 부산 대연동에 있다. 당시 유엔 16개국의 나라가 한국에 군대를 파견했고,여섯 나라가 의료진을 보냈으며 38개국의 나라가 물자를 지원했다고 한다.

우리는 현재 휴전 중이다. 숱한 젊음, 귀한 자식이 때로는 형제가 6·25의 참화에 휩싸인 이역만리 땅에 와서 싸우다 스러져 갔다. 나라의 명(命) 아래 이름도 낯선 동아시아의 외진 나라에서 목숨을 초개같이 버린, 그들 덕분에 우리의 오늘이 있다. 유엔의 깃발 아래 자유와 평화를 부르짖던 그들의 용맹스러움은 이제, 국가의 실익이 없는 한 타국의 전쟁에 무고한 젊은이를 희생시키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전쟁의 아픔을 처절하게 경험했던 대한민국, 새겨들어야 한다.

1950년 한국전쟁, 우리 군과 유엔군을 포함하여 77만 명에 달하는 인명피해를 입었다. 올해 11월11일, 충북북부보훈지청은 'Turn Toward Busan(턴투워드부산)' '유엔 참전용사 추모의 날'을 맞아 다채로운 행사를 했다. 이 순간에도 지구촌 곳곳에서 전쟁의 포화는 끊이지 않고 들려오고 있다. 우리나라는 참상의 중심에 있었던 지난 일을 잊지 않고 1970~1980년에는 월남전쟁에 우리 젊은이를 파병했고, 지금도 전쟁의 폐허 속에 신음하는 나라에 의료지원과 물자를 보내주고 있다.

지난해, 국적도 불분명한 외국 문물에 취해 많은 젊은이가 생을 달리했고, 언제부터인가 11월 11일은 젊은이들에게 초콜릿 과자를 주고받는 인기 있는 기념일이 되었다. 모(某) 제과 회사의 상업적 발상에서 시작한 빼빼로데이를 해외에서도 글로벌 문화로 자리매김했다고 하니…. 시대의 흐름에 둔감하기 때문일까. 젊은 날 유엔기념공원을 다녀온 뒤, 나에게 11월은 그날의 기억이 떠오르고, 우리나라를 위해 청춘을 버린 그들을 생각하면 다문 입술을 감쳐물게 된다.

11월11일, 오늘 우리가 누리는 이 안정은 세계의 피 끓는 젊은이가 바친 고귀한 희생이었음을 잊지 말고 후손들에게도 전해야 하리라.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