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신현애

공인중개사

 아직 코끝에 닿는 바람이 차갑게 느껴지던 날 이른 새벽 큰시누이의 부고 전화를 받았다. 전화기를 내려놓으며 먼저 떠오른 생각은 시누이님이 사시던 아파트 베란다였다. 넓지 않은 공간에는 박물관처럼 소쿠리, 광주리, 체, 키와 목기 등이 겹쳐 있거나 쌓여 있었다.

 슬하에 두 아들을 뒀지만 키를 쓰거나 체로 걸러 낼 일이 없는 시대, 쓸모 있었던 멀쩡한 세간들이 주인과 함께 버려질 것을 생각하니 세월의 무상함이 느껴졌다.

 아침이면 논밭으로 나가 한낮이 기울어야 일을 끝내고 집으로 돌아왔던 시절, 가을날 알알이 거둬들인 곡식들이 있는 곳간 선반에 얹어 있거나 흙벽의 못에 걸려 있어야 어울려 보이는 생활도구들이다. 요즘에는 전혀 쓰일 일이 없는 것을 바라보며 시어머니께서 맏딸을 시집보내면서 바리바리 챙겨주셨을 모습이 그려졌다.

 과연 시누이님은 어머니의 이런 정성을 간직하고, 환경이 많이 다르고 밤낮없이 불빛이 훤한 서울생활에서 제대로 한번이라도 쓸모 있게 사용해 보셨을까.

 몇 해 전 컴퓨터에 이상이 생겨 AS기사를 불렀다. 그런데 그가 신고 온 운동화를 보고 놀랐다. 벗어놓은 신발은 뒤축이 해져 세워지지 않았고 옆은 많이 닳아서 비오는 날은 물이 새어 들어올 것이 분명 하였다. 내심 '요즘에도 이런 청년이 있나' 하는 생각을 하니 그 알뜰하고 소탈한 모습이 신선하게 느껴 왔다.

 거리에 나가보면 허벅지가 찢겨진 바지를 사서 입고, 새파란 젊은이가 머리를 하얗게 염색 하고 다니는 모습과 대조 되어 보였다. 조금은 누추할 것 같다는 나의 생각에는 아랑 곳 없이 그는 컴퓨터 수리에 열중하다 일을 마치고 돌아가는 그의 등 뒤에 '청년의 앞날에 반드시 좋은날이 있을 것'이라고 예언자처럼 말해 주었다. 속으로는 '쓸모 있는 사람'이 될 것 이라는 말을 에둘러서 표현 했다.

 어른들이 하는 말에 '한 가지를 보면 열 가지를 안다'고 하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그날 그 말이 청년에게 꼭 맞는 말인 거 같았다. 옛 어른들은 아끼고 사는 생활이 몸에 배어있어 심지어는 자기육신이 편치 않음에도 참아가며 병원에를 쉬 가지 않았다. 그러면서도 자손들에게 쓸모 있는 사람이 되라고 당부하며 쓸모 있는 물건을 하나라도 더 보태 주려고 애를 태웠다.

 한번은 충분히 먹을 수 있는 먹을거리들이 버려지는 것을 보고 또 놀란 일 있다. 어느 날 뷔페에서 행사를 치른 뒤 남은 음식, 손도 안 댄 맛있는 음식들이 마구 쓰레기통으로 버려지고 있었다. 농사를 지어 본적이 없는 내가 이러한데 한 톨의 알곡이라도 귀하게 여기는 농부가 보았으면 아마도 크게 노(怒)하였을 거다.

 고속도로 휴게소나 음식점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몇 해 전 중국을 여행했을 때의 일이다. 유명한 음식점에서 금이 간 그릇을 쓰고 있어서 물었더니 '그 정도는 개의치 않고 사용 한다' 는 말 이었다. 과연, 대국의 기(氣)에 눌려 더 이상 말을 하지 못했다. 나에게 상당히 호의적이었던 시누이님은 시장에서 물건을 사고 담아온 비닐봉지를 씻어 말린 후 모아서 노점상 아주머니들에게 도로 갖다 주는 것을 보고 "자네가 하는 일 중에 잘못하는 일"이라고 말씀 하신 적이 있다.

 아마 생전의 시누이님은 베란다에서 이 물건들을 보며 고향생각에 잠기기도 하셨으리라.

 지난 세월에 별 관심 없이 요긴하게 쓰였던 생활 속의 물건들, 이제는 쓸모가 없는데도 귀중품이 되어 민속 박물관에 모셔져있는 아이러니(irony)는 무엇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