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신현애

공인중개사

밤사이 창밖으로 내려다보이는 아파트 주차장 옆에 또 하나의 산이 생겼다. 장롱, 탁자, 가전제품 기름때 찌 들은 프라이 팬 등이 분류되어 크고 작은 산더미를 이루고 있다. 입주가 시작되고 부터 쌓였다 치워지기를 반복하고 있는 풍경이다. '버리기에는 아깝다고, 아직은 쓸 만하다'고 선별되어 이곳까지 왔다가 결국 버려지는 세간살이들.

"주택살림의 반은 버려야 된다" 고. 아파트로 이사한다는 말을 듣고 찾아온 지인이 말 했을 때만 해도 그 말을 귀 밖으로 들었다.

그런데 막상 이사 짐을 싸려니 버려야할 물건이 너무 많았다. 십 육년 전에 집을 짓고 샀던, 이제 길이 들어 편안해진 소파와 식탁, 서랍장, 컴퓨터책상, 음향기기, 운동기구 등 길이를 재고 넓이를 생각 해 보아도 새집 아파트 구조와는 맞지 않았다. 이사만 아니라면 내 생전 바꿀 일이 없을 가재도구였다. 불과 삼십 여 년 전 만해도 집안의 행사는 대개 집에서 많이 했다. 그때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산 은행나무 교자상은 한 번도 사용해 본적 없는데 이삿짐에서 우선 빠져야 했다. 에어컨과 커튼을 놓고 가는 마당에 십 수 년을 사용하고도 남은 이사선물로 들어왔던 화장지는 둥치 채 들고 가야하는, 경제적 가치로는 전혀 맞지 않는 버리기도 있다.

또, 몇 백 년을 살려고 했던가. 둥글래, 칡, 쑥, 오가피, 우슬, 옥수수수염 등 말린 건초와 약초들이 줄줄이 나왔다. 사업 설명회에서 받아온 사은품은 왜 이리 많은지, 켜켜이 손질하여 쌓아놓은 솜이불은 언제 덮을 날이 올까.

셈이 빠른 이들은 '툭' 털어버릴 자질구레한 살림을 고르며 심플(simple)하게 살지 못하는 자신이 왠지 구차스럽다는 자괴감까지 들었다. 창고에서 쟁여 놓았던 살림을 들추어내니 그 속에는 지금은 고인이 되신 두 어머님의 향수어린 흔적도 있다. 시어머니께서 주신 나무함지박과 친정어머니가 한 땀 한 땀 손수 만드신 조각상보는 간추려 모은다. 살면서 모으기를 잘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버리기를 잘 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는 깨달음을 이삿짐을 싸면서 알게 되었다.

이사를 할 때 어려운 짐 중의 일부가 화분과 책 이다. 평소 화분을 잘 가꾸지 못한 덕분에 몇 개 안되는 화분은 이웃에게 주었다. 문제는 책이었다.

언젠가 여유가 있는 시간에 보려고 전집으로 산책은 묶음도 풀지 못한 채 색이 누렇게 변해 버렸다. 한 권 한 권 살 때 정신을 모아 산책들이건만 영혼이 함께 버려지는 듯한 아쉬움으로 자꾸 훑어보게 된다. 버렸다가 다시 집어 들고를 반복 했지만... .

정이 묻어있는 크고 작은 살림 하나하나가 모두 아깝다는 생각을 떨쳐 버릴 수 가 없다.

그런데 언제부터 이었을까. 버릴 물건이 많아졌다. 넘쳐나는 풍요로움 속에 오십 여 년 전의 일이 떠오른다, 아침이면 동네 스피커에서 새마을 운동노래가 울려 퍼지던 시절, 그때는 무얼 버린다는 생각은 할 수 없었고, 버릴 거도 없었다. 먹는 음식은 물론이고 의복만 해도 팔이나 무릎부분은 기본으로 한두 군데 기워 입었고, 덧대어 꿰맨 양말은 너나없이 자연스럽게 신었다. 새것은 오히려 낯설었다. 힘겨운 시대를 살아 온 세대는 잠재적 의식 속에 버린다는 생각은 죄스러운 행위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어느 시간이 오면 요모조모 소중하다고 여겼던 모든 걸 놓아 버려야 할 터이다. 그때는 아무것도 필요 없을 허접스러운 것들을 너무 많이 부여잡고 살고 있다는 생각에 잠겨본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