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신현애

수필가·공인중개사

학계 혹은 상아탑 근처에서나 회자되던 용어, '표절'이라는 단어가 몇 년째 온 국민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논문을 쓸 때, 남의 글을 인용하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다. 단원이나 문장을 빌려 쓰되 분명히 주석으로 출처나 작자의 이름을 명기한다는 것을 모르는 이 없을 것이다. 그런데 나라의 주춧돌인 위정자들이 시비곡직(是非曲直)하지 못한 일을 내가 무슨 역전의 용사라고 양심선언을 하랴. 할까 말까 두마음이 교차하기를 수십 번 했다. 굳이 핑계를 댄다면 한문단도 아니고 짧은 문장 세 줄에 주석을 단다는 것도 우스운 일이었고, 솔직한 심정은 그냥 내 글인척 하고 싶었다. 이제껏 아무 일 없이 지나 왔듯이 말하지 않고 덮어두면 될 것 같았다. 그래서 '표절'이란 단어는 나와 상관없는 일인 줄 알았다.

짧은 세 줄의 글이 내 눈에 뜨인 것은 30년도 더 된 일이다. 여행지 숙소에서 쓰레기통에 버려지기 직전의 너덜너덜한 신문지 한 조각에 불과했다. 신문의 도드라진 면에 실린 글도 아니고 귀퉁이는 이미 찢어져 나가 글쓴이의 이름도 없었다. 그런데 세 줄의 글은 마치 나의 몸 구석구석을 훑고 나온 내시경처럼 너무도 표현이 적절하여서 내 마음을 사로잡았다. 그렇게 주워 온 글을 옮겨와서 어설픈 나의 글 머리위에 얹어 놓았더니, 핵심이 없이 퍼져 있던 글에 중심이 서고 문맥의 흐름도 훨씬 부드러웠다. 몇 년 전에는 그렇게 조작된 글을 슬그머니 내어 놓아보았다. 그 후, 얼마간 시간이 지났음에도 누가 이의를 해오거나 항의를 해 온 사람은 없었다. 그런데 많은 시간이 흘러갔어도 세 줄의 글은 내 글에 살이 되지 않았고, 계륵처럼 목으로 넘어가지도 않았다.

가끔 글을 읽어 볼 때마다 찜찜한 마음이 거스러지더니 근래 와서 그 일이 자주 떠올랐다. 고민 끝에 '표절의 크기'를 교수님께 여쭈었다. 사물을 보고 느낀 감정은 같을 수 있지만 표현방식이 같을 수는 없다. 결론은 "작가의 양심이다." 교수님께서는 명쾌한 답을 내려 주셨으나 나의 고민은 그때부터 시작 되었다.

그 글의 작가 이름을 알 수는 없었지만, 글의 내용으로 보아 짐작되는 나이는 대략 60세 전후 일 것으로 추정 되었다. 사람의 수명이 100세 시대라고 했으나 모든 사람이 장수하는 것은 아니니 이미 이 세상을 떠났을 수도 있었다. 나의 입만 닫고 있으면 되었다.

그럴 때 유** 교수님의 문학 세미나가 있었다. 주제는 '인간미'이었고 강의 내용은 '인간에 대한 이해'이었다. 표절과 인용에 대한 말씀도 있었다. 내게는 시의적절한 세미나였다. 수필은 '가장 인간다운 문학' 이라고 하며 소설이나 시에서는 본성이 은폐될 수 있지만 수필에서는 허구와 과장은 용납되지 않는다고 했다. 수필은 작가 자신의 체험과 사색에서 촉발되어야 한다고도 하였다. 남의 글을 본 따지 말라는 말씀은 가슴에 '콕' 하고 박혔다. 세미나가 끝나고 머릿속이 복잡 해졌다.

세 줄의 글은 삭정이나 다름없을 나의 글에 힘을 주었는데, 결국은 떠나보내야 한다는 생각에 이르자 서운함이 몰려왔다. 사람에게 붙인 정처럼 내 글 인양 사랑했던 문구를 떼어내야 한다는 것은 수술 일자를 받아놓은 환자의 심정과 같았다. 한편으로 죽어 나자빠진 듯한 내 글에 대한 연민도 일었다. 과연 세 줄의 글이 없어도 나의 글이 살아 날 수 있을까. 그리고 명의처럼 반드시 살려 내야 한다는 사명감도 밀고 올라왔다. 세 줄의 글을 도려내면 움푹 파인 상처 자리는 흉이 남을 터이고 새살이 돋아나고, 아물 때까지 보듬고 가려 주어야 할 일도 큰일이었다. 하지만 이제 별다른 도리가 없다. 이것은 순전히 내 양심의 문제였고, 이미 양심의 한 자락을 보이고 말았으니….

이제 미련을 버리고 이별을 고(告)하련다. 세 줄의 글이여 안녕~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