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3.03.19 15:29:42
  • 최종수정2023.03.19 15:29:42

김정범

시인

확실히 봄이다. 창밖의 나뭇가지에 붉은 꽃이 피어 있다. 홍매화다. 그 옆의 목련과 개나리가 봉오리를 맺는다. 아직 꽃잎을 열기 전의 여린 모습이다. 어디서 날아왔나. 꿀벌 여러 마리가 화분과 꿀을 채집한다. 하나의 자연이 움직이는 데는 우주의 모든 힘이 관여한다. 따스한 햇볕이 쏟아져 내리고 나는 잠시, 새로운 세계가 열리는 것을 넋을 잃고 바라보다 표지 빛깔이 고운 시집을 편다.

바람 한 점 없는데

매화나무 풍경이 운다

아득한 경계를 넘어

가도 가도 사막길 같은 날

물고기가 눈을 뜬다

한 땀 한 땀 수를 놓듯

꽃 피는 소리에 놀라

허공에서 몸뚱이를 가만가만 흔들고 있다

꽃그늘에 앉아

술잔마다 꽃배를 띄우던

소인묵객들

마음 빼앗겨

잠시 주춤하는 사이

뼈만 남은 가지마다

폭발하는,

오오, 저 푸른 화약내!

─ 홍해리, 「개화」 전문 (시집 홍해리는 어디 있는가, 도서출판 움 2019)

시는 꽃이 피어나는 순간을 포착한다. 시를 읽으며 나는 몇 가지 상상을 한다. 동양화 속의 풍경이다. 매화가 핀 정원에서 술잔 꽃배를 띄우던 옛 선인들의 풍속도와 그림을 그리고 있는 소인묵객(騷人墨客)들의 모습이 함께 어우러진다. 시는 그림 같은 평면적인 세계와 입체적인 현실의 세계를 함께 보여준다. '바람 한 점 없는데 매화나무 풍경이 운다'라는 첫 문장에서 자연의 신비로움과 존재의 슬픔을 동시에 느낀다. 시 화면 속에서 나무와 꽃은 정적인 듯이 보이지만, 울음은 동적인 현실의 감성을 갖게 한다. 우리의 삶이'아득한 경계를 넘어, 가도 가도 사막길 같은' 고난 속에 있기 때문일까. '물고기가 눈을 뜬다'라는 문장으로 화자는 개화의 한순간을 생명에 대한 인식으로 병치한다. 눈에 보이는 추녀 끝 풍경에 매달린 물고기는 화자 자신임을 암시한다. 푸른 하늘 배경을 바다 삼아 '꽃 피는 소리에 놀라 허공에서 몸뚱이를 가만가만 흔드는' 자아는 수동적인 의식이 역동적인 힘을 갖게 되었음을 뜻한다. 피어나는 꽃의 생명은 각자의 소리와 움직임을 가지고 있으며, 우주 일부로서 인간의 삶과 연결되어 있다. '뼈만 남은 가지마다 폭발하는, 오오, 저 푸른 화약(花藥)내!'라는 구절은 변화와 혁신, 폭발적인 에너지와 새로운 창조의 힘을 강렬하게 나타낸다. '술잔마다 꽃배를 띄우던 소인묵객들'이 '잠시 주춤하는 사이'에도 생명은 죽음의 뼈를 부수고 무수히 탄생한다. 선연하게 아름다운 마지막 구절은 죽음과 삶 사이의 간극을 부순다. 평면적인 세계와 입체적인 현실의 세계는 터지는 생명으로 융합하며 위험하면서도 아름다운 이미지를 그린다. 바람이 없음에도 매화나무가 우는 모습은 생명을 피우기 위한 울음 아닌가.

매화는 가지에 꽃잎을 피운다. 잎새가 돋아나기 전에 꽃을 먼저 피우는 것이 다른 꽃과 다른 점이다. 이 시는 청매화가 피는 모습을 통해 죽음의 경계에서 깨어나는 삶을 표현한다. 죽은 가지에서 화약 냄새처럼 터지는 싱싱한 푸른 향은 생명의 고귀함과 아름다움을 독자에게 일깨운다.

잠시 어지러운 일상을 벗어나 깨어나는 봄의 뜨락으로 가보라. 푸른 잎을 달고 태어나는 풀과 꽃을 바라보라. 우리의 생명이 얼마나 귀중한가를, 한 생명을 피우기 위해 얼마나 많은 눈물을 흘려야 하고 어떻게 그것을 지켜야 하는 가를 생각해보라. 하나의 세계가 열리는 것을 감지하고 그 속에서 우주의 비밀을 찾아내는 건 우리와 연결된 흙과 비와 바람 그리고 태양과 관계를 다시 맺는 일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