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김정범

시인

군부 퇴진 시위 현장, 한 수녀가 경찰대 앞에 무릎을 꿇고 앉아 있다. 수녀는 눈물을 흘리며 방패와 총을 든 경찰들에게 애원한다. "제발 쏘지 마세요. 원한다면 나를 쏘세요. 항의 시위대는 무기가 없어요. 그저 평화적으로 자신들이 바라는 것을 표현할 뿐이에요" 그녀의 처연한 눈빛에 경찰들도 미동 없이 멈춰 있다. 뉴스에 올라온 미얀마의 안 로사 누 타웅 수녀에 관한 사진과 기사 내용이다.

나는 숨이 멎는 듯한 통증을 느끼며 눈을 감는다. 무수한 영상이 머리를 스쳐 간다. 군인들이 곤봉을 휘두르던 광주의 장면과 중국 천안문 민주화 항쟁 시, 탱크를 온몸으로 막으며 군인들의 양민학살을 저지하려 했던 청년의 모습이 하나로 겹친다. 세계는 왜 이리 변하지 않는 것일까. 무력을 가진 이의 욕망은 왜 이리 한 치도 다르지 않은 것일까. 도대체 권력욕은 무엇이고, 시민들을 향한 폭압은 언제 끝나는 것일까. 희생이 커질 것 같다는 불길한 생각에 가슴이 답답하다.

떨리는 마음으로 김현승 시인의 시집을 꺼낸다. 예언과도 같은, 본질을 꿰뚫는 성찰의 힘에 전율하며 시를 소리 내 읽는다. 시는 견고한 빛을 비추며 마음의 한 자락에 스며든다.

빼지 않은 칼은 빼어 든 칼보다 더 날카로운 법

빼어 든 칼은 원수를 두려워하지만

빼지 않은 칼은 원수보다 강한 저를 더 두려워한다.

빼어 든 칼은 이 어두운 밤 이슬에 이윽고 녹슬고 말지만

빼어 들지 않은 칼은 저를 지킨다.

이 어둠의 눈물이 소금이 되어 우리의 뺨에서 마를 때까지......

―무기의 의미 Ⅰ전문

그리하여 가장 날카로운 칼은 꽃잎 앞에도 무릎을 꿇고,

그 꽃잎은 그 칼을 쥔 손목에 입을 맞춘다.

그리하여 칼집 속에 칼을 잠들게 하고서

우리는 승리를 얻는다.

―무기의 의미 Ⅱ 3, 4연

시인은 알고 있다. 빼어 든 칼보다, 빼지 않은 칼이 더욱 강하다는 것을. 빼지 않은 칼은 인간이 지켜야 할 신념과 사랑 그리고 자유와 평화 같은 순수한 가치이다. 그것은 죽음보다도 강하고 아름답다. 그리고 우리가 죽은 후에도 영원히 세상에 존재하며 우리의 인간 됨을 지킨다. '어둠의 눈물이 소금이 되어 우리의 뺨에서 마를 때까지' 인간을 지탱하는 힘인 것이다. 빼어 든 칼, 즉 정의롭지 못한 무력은 결국 '어두운 밤이슬에 녹슬고 말' 것이고, 아무리 날카로운 칼일지라도 '꽃잎' 앞에 무릎을 꿇게 될 것이다. 꽃잎으로 명명된 순수한 진리는 인간이 추구하는 가장 긍정적이고 좋은 것이다. 그 생명력이 인간의 삶을 발전시켜왔으며, 앞으로도 영원히 그럴 것이라고 믿는다. 따라서 시인은 ' 칼집 속에 칼은 잠들고' 결국 '우리는 승리한다.'라고 노래한다.

경찰의 총칼 앞에 무릎 꾼 수녀는 한 송이의 '꽃잎'이었다. 그 꽃은 슬퍼 보였지만 어떤 모습보다 빛나는 광채를 발하고 있었다. 세상에서 본 꽃 가운데서 가장 아름다운 꽃, 절대 지지 않는 꽃. 저 꽃뿐이겠는가. 세상에는 무수한 꽃이 있다. 억압의 칼이 세상의 꽃을 모두 자르고 잠재우지는 못한다. 빗소리가 들리면 무수한 꽃이 곳곳에서 불처럼 피어나리라.

시인이 세상을 떠난 건 1975년의 일이다. 그 이후로도 현대사에 많은 비극적인 일들이 일어났다. 현재에도 수많은 양민이 전쟁과 정권의 폭압에 의해 희생당하고 있다. 미얀마 사태도 아직 진행 중이다. 여러 나라에서 일하면서 나는 지구상의 모든 사람이 같다는 것을 몸으로 체득했다. 대부분 가족과 이웃을 사랑하고 기쁨과 슬픔에 공감하며 타인과 교감하기를 원한다. 지금은 어떠한 형태든 세계인들이 미얀마인들에게 도움을 줘야 할 시기이다. 할 수 있는 것이 없다면 기도라도 해야 한다. 칼의 무력이 자유로운 꽃의 가치를 훼손하도록 두어서는 안 된다. 미얀마의 평화를 기원한다. 그들의 얼굴에 마른 소금이 사라지고 밝은 빛이 깃들기를 간절히 빌어본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