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6.04.26 15:18:43
  • 최종수정2016.04.26 15:29:29

박선예

수필가

이웃에 젊은 부부가 살고 있다. 그 부부는 어찌 된 일인지 서로 소 닭 보듯 한다. 들리는 말에 의하면 각방을 쓴지 이미 오래되었고 아이들 때문에 그냥 산다 한다.

남편과 나는 세상물정도 모르고 결혼을 하였다. 그때 내 나이 스물 세 살이고 남편이 스물 네 살이었으니, 짐작컨대 양가 어른들은 물가에 어린 애를 내놓는 기분으로 우리의 혼인을 허락하셨던 듯싶다. 그래서였을까. 결혼 전날 할머니는 내손을 잡고 당부하고 또 당부하셨다. 시어른께는 순종하고 남편을 잘 섬기면서 알뜰하게 살림을 살라고 하셨다. 그래야 친정에서 잘 배웠다고 칭찬을 들을 거고 그게 바로 친정부모에게 효도하는 길이라고 말씀하셨다. 특히나 남편과 어떤 일이 있어도 각방을 쓰면 절대 안 된다고 거듭 강조하셨다.

여러 가지 당부 말씀이야 평소 귀가 닳도록 들어와서 당연하다 여겼지만 각방 말씀은 도대체 이해가 되지 않았다. 그때만 해도 남편과의 싸움은 상상조차 안 되었고 더구나 각방이라니, 이 무슨 해괴한 말씀인가 싶었다.

신혼 삼 개월 무렵, 남편이 고주망태가 되어 들어왔다. 비위가 약한 체질인데다 임신 중이라, 역겨운 냄새에 속이 울렁거려 도저히 잠을 같이 잘 수가 없었다. 이부자리를 들고 옆방으로 피신 가려는데 갑자기 할머니의 거듭된 당부가 또렷하게 떠올랐다. 부부는 어떤 일이 있어도 절대로 각방을 쓰면 안 된다는…. 한참을 서성이다 결국 코를 틀어막고 남편 곁에서 밤을 새웠다. 그 밤은 바로 지옥이었다. 남편이 지독하게 미웠고 뭔지 모를 설움에 흐느꼈다.

그 날은 시작에 불과하였다. 각방을 쓸 만한 사건은 수시로 일어났다. 그때마다 남편은 세상에서 가장 미운 사람이 되었고 나는 이부자리를 들고 갈등하였다. 그러다 서로에게 면역력이 생겼는지 고주망태가 되어 들어와도 덜 미워하게 되었고 잔소리를 해도 그러려니 하면서 할머니의 당부만은 잘도 지켜내었다.

그러던 어느 날, 출산휴가를 마친 딸이 복직을 하였다. 남편의 아성이었던 내 옆자리는 손자차지가 되어버렸다. 손자를 돌보느라 남편의 부재조차 느낄 겨를이 없던 나와는 달리, 졸지에 잠자리를 내준 남편은 꽤 힘들어 보였다. 잠을 자도 잔 것 같지 않다고 투덜대었고 왜 우리가 손자를 키워야하느냐고 볼멘소리도 하였다. 그러나 어찌할 방도가 없었다. 무려 오년을 우리부부는 별거 아닌 별거생활을 하며 나이를 먹었다.

손자들이 떠나고 우리 부부만 남자, 우리는 당연히 합방을 하였다. 그런데 이게 어찌된 일인가· 도저히 잠을 잘 수가 없었다. 몇 날이 지나도 남편의 숨소리와 코고는 소리가 낯설었다. 다리가 닿으면 나무기둥이 올라온 것 같아 깜짝 놀랐으며 뒤척임에 잠이 깨면 날밤을 새우기가 일쑤였다. 나만 그런 것이 아니었다. 남편도 자주 깨어났고 다시 잠들지 못하는 날이 많았다. 오년 동안 우리는 혼자 잠자는 거에 그만 익숙해져 버린 것이다. 결국 우리는 다시 각방을 쓰기로 합의하였고 요즘 나이 든 우리부부는 각방에서 평화롭게 꿀잠을 자고 있다.

젊은 시절, 우리는 아무리 싸워도 하루를 넘기지 않았다. 낙천적인 남편의 성향도 있지만 아무래도 할머니의 당부를 잘 지켰기 때문인 것 같다. 돌이켜 생각해보니, 할머니의 당부말씀은 부부싸움은 칼로 물 베기라는 말과 서로 통하고 있었다. 이웃의 젊은 부부에게 할머니의 말씀을 꼭 전하고 싶다. 부부란 어떤 일이 있어도 각방을 쓰면 절대 안 된다고.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