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박선예

수필가

초롱이가 현관 앞에서 연신 꼬리를 흔들고 있다. 남편이 엘리베이터를 타고 올라오고 있다는 초롱이만의 신호이다. 초롱이는 애완견이다. 집안에서 개와 생활한다는 일은 상상도 못했는데 부득이한 사정으로 초롱이를 떠 맞게 되었고 살다보니 어느새 가족이 되어 있었다.

요즘 초롱이는 늘 잠만 잔다. 깜찍하고 발랄했던 어릴 때와는 전혀 딴판이다. 예쁜 짓은커녕, 비위가 상하면 으르렁거리기 일쑤이고 이름을 불러도 못들은 척 꿈쩍도 하지 않는다. 그러다가도 아이들이 내 품에 안기기라도 할라치면 번개처럼 달려와 앙살을 부린다. 딸아이 말을 빌리자면 자기가 사람이라 착각하고 엄마 사랑을 독차지하려는 심보란다.

초롱이는 사람 나이로 치면 구순노인이다. 그래서일까. 뜻밖의 행동을 하여 깜짝 놀랄 때가 한 두 번이 아니다. 소파에 소변을 누고도 희희낙락하고 식탁 위가 제집인양 태연하게 잠을 자고 밥그릇의 물은 마다하고 변기의 물을 욕심낸다. 수의사 말에 의하면 나이 탓이란다. 나이가 많아 행동 장애가 온 것이란다.

그래도 여전히 우리 집 귀염둥이 1순위는 초롱이이다. 외출했다 돌아오면 서로 초롱이부터 안아주고, 잠시만 집을 비워도 초롱이가 심심할까 봐 일찍 귀가를 서두르며, 떨어져 사는 아이들도 으레 초롱이 안부부터 묻는다. 그동안 초롱이가 우리에게 많은 사랑을 주었기 때문이리라.

아이들에게는 이야기 상대였다. 사춘기 때 아이들 방은 늘 굳게 닫혀 있었다. 엄마인 나조차 자유롭게 드나들지 못했는데 초롱이는 예외였다. 아이들은 초롱이를 안고 엄마와 나누지 못하는 이야기를 쏟아내며 사춘기의 혼란을 이겨내었다. 나에게는 명약이었다. 아이들이 각자 자리를 찾아 내 품을 떠났을 때 갑자기 닥친 외로움은 병이 되었다. 초롱이는 말이 없어지고 눈물이 많아진 나를 지켜주었다. 식사시간이 되면 밥 달라 보채고 오래 누워있으면 일어나라 물고 뜯고 야단이었다. 초롱이로 인해 할일이 생기고 밥 먹을 이유도 생겼다. 초롱이는 우울증을 이기는 명약이었다. 말수가 적고 무뚝뚝한 남편도 초롱이와 놀 때는 예외였다. 달려드는 초롱이를 피해 이리 뛰고 저리 뛰는 남편의 얼굴은 소년의 웃음으로 가득하였다. 그렇게 초롱이는 우리와 가족이 되었고 우리가족은 초롱바라기가 되어 버렸다.

얼마 전 공원에서 다투는 광경을 목격하였다. 이유인즉 강아지가 소풍객의 돗자리에 뛰어 들어 음식에 입을 대었고 어린아이들을 놀래게 만들었기 때문이었다. 기분이 나빠진 소풍객들은 우는 아이를 안고 자리를 떴고 주위에 있던 사람들은 누구의 잘못인지 의견이 분분하였다.

아직까지 우리 사회는 개를 싫어하는 사람이 더 많다. 애완견을 기르는 사람들을 이유 없이 경멸하고 밥 먹고 할일 없는 사람으로 치부하는 사람들도 꽤 있다. 집안에서 강아지와 한 식구처럼 지내는 것을 미쳤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들도 더러 있다.

그런 생각을 가진 사람들도 있다는 것을 아는지 모르는지 애견가들 중 일부는 애견가라 말하기 부끄러운 행태를 벌이고 있다. 놀이터나 공원을 배설장소로 사용하고 애완동물 출입금지구역에도 당당하게 데리고 오며 지나친 애정표현으로 혐오감을 일으킨다. 그 중 가장 꼴불견은 목줄도 매지 않은 채 외출을 하는 경우이다. 목줄을 매지 않은 애완견들은 사람들을 놀라게도 하고 아무 곳이나 배설을 하여 불쾌감을 조성한다. 애견인들 스스로 올바른 애견문화를 정착시켜 자신들이 사랑하는 강아지로 인해 비애견인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일이 없어야 하는데 말이다.

초롱이가 더 세차게 꼬리를 친다. 남편이 현관 밖까지 왔다는 이야기이다. 이제 문이 열리면 초롱이는 온몸으로 남편의 귀가를 반길 것이다. 아, 구순의 초롱이는 아직도 우리의 재롱둥이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