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6.1℃
  • 맑음강릉 7.7℃
  • 맑음서울 7.4℃
  • 맑음충주 7.4℃
  • 맑음서산 8.3℃
  • 맑음청주 8.8℃
  • 맑음대전 10.1℃
  • 맑음추풍령 8.6℃
  • 맑음대구 12.0℃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11.2℃
  • 연무부산 12.6℃
  • 맑음고창 8.6℃
  • 맑음홍성(예) 7.7℃
  • 맑음제주 13.0℃
  • 맑음고산 11.0℃
  • 맑음강화 4.8℃
  • 맑음제천 6.9℃
  • 맑음보은 9.5℃
  • 맑음천안 8.5℃
  • 맑음보령 9.2℃
  • 맑음부여 9.6℃
  • 맑음금산 8.9℃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8.06.24 15:56:20
  • 최종수정2018.06.24 15:56:20

류경희

객원 논설위원

'졸혼(卒婚), 글자대로 풀면 혼인 관계의 졸업이다. 지난 2004년 '졸혼을 권함'이라는 책을 발표해 졸혼 돌풍을 일으킨 '스기야마 유미코'는 졸혼이 '자기에게 맞는 새 라이프스타일로 바꾸려고 결혼 형태를 졸업하는 것'이라 했다.

평범한 부부생활을 유지하던 스기야마 부부는 아이들이 성장한 후 한 공간에서 생활하는 것이 힘들어졌던가 보다. 부부가 함께 여행을 하는 것도 부담스러웠다고 고백했다.

결혼의 틀은 유지하되 각자 자유롭게 살기로 한 스기야마 부부는 도보로 25분쯤 떨어진 아파트에서 각자 기거하기로 합의한다.

누구를 만나건 어떤 일을 벌이건 서로의 생활에 대해 일체 간섭하지 않기로 합의한 두 사람은 한 달에 두어 번 만나 식사를 같이 하는 것으로 법적인 부부임을 확인하며 지낸다. 그런데 아직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증명으로 한 달에 두어 번 만나 식사를 같이 한다고 선전하는 졸혼 부부의 모습이 아무래도 어색하다.

한 달에 두 번으로 정한 행사 같은 식사를 하며 두 사람은 무슨 대화를 나누려나 쓸데없는 호기심이 든다. 지금 만나고 있는 새로운 이성 친구를 서로 자랑하며 가볍고 유쾌하게 조언이라도 하는 것일까. 진정한 자유를 찾아 주위를 두리번거리면서도 법률적 관계의 끈을 붙잡고 있는 구차한 관계가 스기야마식 졸혼인가 싶다.

졸혼을 원하는 사람들은 상대가 싫어져서가 아니라 가족이라는 구속에서 벗어나 각자의 삶을 추구하며 살아가고 싶어서라고 변명한다. 허나 실제 졸혼을 하고 싶다는 여성들의 속사정은 달랐다. 차마 이혼을 할 용기가 없는 사람들이 졸혼이라도 하고 싶어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던 것 같다.

인도에는 혼인 관계를 해제하는 '해혼(解婚)' 문화가 있었다. 인도 카스트의 최상계급인 브라만은 혼인을 하고 자식들을 낳아 모두 출가를 시킨 후 해혼을 합의하는 일이 흔했다. 구도의 길을 가기 위해서라고 한다.

아내와 해혼한 브라만 남자는 가장의 짐을 벗고 구도의 숲 속으로 들어간다. 성인으로 추앙되는 인도의 지도자 간디도 아내 카스투르바이와 37세에 해혼한 뒤 인도 독립운동의 숲으로 들어갔다.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해혼을 감행한 이는 함석헌 선생의 스승인 다석 유영모 선생이다. 91세에 수를 다하신 선생은 51세에 해혼을 선언하고 자유를 누리셨다. 인간의 정신세계를 어지럽히는 정욕으로부터 벗어나려 해혼을 선언한다고 밝힌 기인의 주장이 걸작이다.

선생은 아내를 '안 해'로 풀이했다. "안해(아내)라 하는데 아내는 안 해야 아내다. 나는 이런 것을 두루 찾고 싶다." 해혼 후 선생은 부인과 진정한 오누이처럼 지내셨다고 한다.

그런데 요즘 휴혼이라는 새로운 조어가 들린다. 중년 이후의 부부가 선택하는 자유를 인정하는 결혼생활이 졸혼이라면, 휴혼은 젊은 부부들의 각자인 듯 함께하는 새로운 결혼 형태란다. 결혼을 쉬어가다니, 이런 부부관계도 있구나 싶다.

최근 카카오 브런치에 연재되던 에세이를 묶어 '나는 지금 휴혼 중입니다'를 펴낸 '박시현' 작가는 휴혼이 비정상적이거나 유별난 것이 아닌, 또 다른 가족의 형태라고 했다.

박시현 작가는 육아와 살림에 지쳐 휴혼했다고 한다. 휴혼 합의 후 박 씨가 집에서 나와 월세방을 얻어 생활하는데, 아이와는 수요일 밤과 주말을 함께 보내는 모양이다.

박 씨는 부부간의 애정과 엄마의 의무를 저버리지 않은 채 단순히 삶의 공간만 분리해 살아가는 바람직한 휴혼을 하고 있다고 자랑한다. 그런데 시부모님이 아들집으로 들어와 집안 살림과 엄마 손이 절실한 네 살 손주의 육아를 맡아주지 않았더라면 그녀가 주장하는 바람직한 휴혼이 유지될 수 있을까.

노부모에게 자신의 책임을 떠넘기고 얻은 자유를 비정상적이거나 유별난 것이 아닌, 또 다른 가족 형태라 외치는 그녀는 당당함이 부럽고 신기하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도민들에게 신뢰받고 사랑받는 은행으로"

[충북일보] "올해도 금융지원 본연의 역할은 물론 지역금융 전문은행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나가겠습니다." 임세빈(55) NH농협은행 충북본부장은 취임 2년차를 맞은 소회에 대해 무거운 책임감과 사명감을 느끼고 있다고 운을 뗐다. 일반 은행과 달리 농협은행은 농민과 고객에 대한 서비스와 책임을 지고 있다. 100% 민족자본으로 설립된 은행으로의 기업가치를 지켜야하기 때문이다. 임 본부장은 "금융의 측면에서 신뢰를 바탕으로 고객에게 인정받는 리딩뱅크 운영을 목표로 삼고 있다"며 "농협의 기본 가치인 농업·농촌을 살릴 수 있는 지역사회 공헌과 농산물 소비촉진 등 공익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도시와 농촌을 연결할 수 있는 허브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농협은행의 목표는 '금융을 고객 성장의 수단으로 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원칙을 재정립하고 고객 신뢰를 더욱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임 본부장은 은행의 중점 추진사업으로 네 가지를 꼽았다. 먼저 고객과의 동반 성장을 실현한다. 고객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고려해 맞춤형 금융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둘째, 규정과 원칙을 확립해 고객이 믿고 거래할 수 있는 금융환경을 조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