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5.08.31 13:19:51
  • 최종수정2015.08.31 13:19:44

정태국

전 충주중 교장

우리나라가 송두리째 혼란을 겪었다. 천안함 폭침에 이어 연평도 포격사건에 온 국민들은 초조와 긴장감 속에 갈피를 잡지 못할 정도로 마음고생을 했다. 얼마 뒤 세월호 참사로 민초들이 겪은 혼란 역시 전국을 휘몰아쳤다. 가까스로 진정국면을 맞는가 싶더니 느닷없는 메르스 전염병에 또 한 번 더 걷잡을 수 없을 정도의 힘든 생활에 몸살을 앓아야 했다. 그뿐만이 아니라 엎친데 겹친 격으로 북한군이 매설해놓은 지뢰폭발로 우리 병사 두 명이 큰 부상을 입었는데 언제나 오리발 내밀기 작전으로 일관해온 북한은 적반하장도 유분수지 되레 한국의 날조극 운운하며 포사격까지 자행했다.

필자는 메르스 파동 때 중국 연길과 이도백하에서 2박을 하게 됐었는데 그곳의 조선족들 질문에 무척 곤혹스러움을 겪어야 했다. 한국에 괴질이 대단하냐고 묻는다. 얼핏 대답하기가 난처한 입장이었다. 그곳 텔레비전에 KBS 1, 2 방송은 실시간으로 방영되고 있었기에 아니랄 수도 또 사실 극히 일부인 걸 뻔히 알면서도 그들이 어떻게 생각하느냐가 중요하므로 딱히 대답하기가 쉽지 않았다.

근간 국내적으로 여러 번 혼란스러운 사건을 겪으며 언론보도나 정치인들의 마구잡이식 발언을 보며 이런 것이 민주주의인가 하는 의구심만 팽배해 졌었다.

우스갯소리로 영어문자 P. R(피, 알)이 뭐냐는 답으로 '피할 건, 피하고 알릴 건 알리는 것.'이라는 우문우답도 있다.

장자가 스승인 노자를 찾아뵈고 여쭙는데 '스승님, 아비가 도둑질을 하는 걸 본 아들이 관청에 고변을 해야 옳은가요?'라 하니 노자 왈 '그런 놈도 자식이라고 길러야 하냐?'라 답하셨다고 한다. 즉, 자식으로서는 부모의 잘못을 목격하였더라도 숨겨주고 올바른 길로 부모를 인도함이 옳지 고변은 있을 수 없다는 의미다.

적과 대치중인 우리나라에서 국가의 기밀도 많을 것이고, 국제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국민이 한데 뭉쳐 국익을 먼저 챙겨야 도리 아닐까?

1972년 봄 고 박정희 대통령께서 '우리도 무기를 만들 수 있다.'고 발표했다는 언론보도가 있었다. 당시 지인을 만나 듣게 된 이야기로는 이미 60년대 중반에 전군을 무장할 수 있는 무기를 만들었고 암암리에 수출을 하다 보니 국외에서 토설이 나오자 하는 수없이 대통령의 발표가 있었던 것이란다.

민주주의가 기밀이나 비밀을 몽땅 밝혀내는 것이라면, 그래서 우리나라가 타국에 이용당하거나 무시당하게 된다면 그런 민주주의는 하지 말아야 할 것 아닐까 싶다. 그릇된 민주주의 개념으로 심지어 전직 대통령을 향해 명패를 던지는 게 민주주의라면, 자칫 민주주의 하다가 우리민족의 고유정서마저도 저버리게 될 성싶어 당장 그만두는 게 옳지 않을까 싶다.

민주주의의 깊은 뜻을 제대로 찾아 그 장점을 좇는 가운데 진정 국가와 국민 모두에게 유익하고 참된 민주주의로 토착시켜서 나아가는 게 우리 모두에게 유익한 민주주의로 자리매김 할 것이며 국가와 국민 모두에게 참된 민주주의라 생각한다.

민주주의가 아무리 좋다 해도 무모하리만치 자중지란만 일으켜 국가와 국민에게 물질적 정신적 손실만 초래하는 것이라면 무슨 소용인가?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