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4.04.01 14:17:37
  • 최종수정2024.04.01 14:17:37

임영택

송면초등학교 교장·동요작곡가

동네에서 유일하게 초가집이었던 우리 집 안방 윗목에는 겨울이면 꼭 두 가지가 생긴다. 수수깡을 새끼로 촘촘하게 엮어 만든 고구마를 보관했던 통가리와 다라이라고 불렀던 큰 대야 위에 Y자 모양의 받침대를 얹어놓고 그 위에 콩이 담긴 시루를 놓아두는 것이다.

부모님과 5남매가 한 가족을 이루었던 우리 집은 한 명은 꼭 안방 윗목에서 잠을 자야 했다. 우리 5남매는 서로 안방 윗목을 차지하기 위해서 사소한 다툼을 벌이기도 했는데 항상 윗목 차지는 나였다. 딱히 부모님이 시켜서 그리 한 것은 아니었다. 뭔가 아지트 같이 막힌 공간이 아늑하고 좋아서 그랬던 것 같다. 안방 윗목을 차지한다는 것은 곰쥐처럼 고구마 통가리에서 고구마를 하나씩 빼먹는 특권을 누릴 수 있는 기쁨이 있었지만 콩나물시루에 하루 세 번 빠뜨리지 않고 물을 주는 책임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방해받지 않는 혼자만의 공간을 무척 좋아했었다.

그때는 몰랐다. 아무리 물을 부어도 물이 다 빠져버리는 시루에서 어떻게 콩나물이 자랄 수 있는지를. 대신 시루 구멍으로 쪼르륵 흘러내리는 물줄기를 바라보는 재미가 더 컸었다. 얼마간 물을 주는 일을 게을리하지 않으면 여지없이 시루에 덮어 놓은 천이 불룩하게 솟아오르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그렇게 자란 노란 콩나물은 그날 저녁 맛있는 콩나물무침으로 밥상 위에 올라왔다. 어머니께서 해 주시던 콩나물무침의 맛을 지금도 잊지 못한다. 자칫 콩나물시루에 물을 주는 일이 쓸모없는 헛일이라고 생각한 때도 있다. 하지만 한 방울의 물도 남지 않고 다 흘러 내려간 줄 알았는데 그 안에서 콩은 싹을 틔우고 날마다 조금씩 자랐으니 얼마나 장한 일인가?

콩나물시루에 물을 주던 어린 시절의 기억을 떠올리며 교사로서의 삶과 견줘본다. 그리고 이제야 비로소 그 의미를 깨닫는다. 아이들을 교육한다는 것은 콩나물시루에 물을 주는 일과 꼭 닮았다는 것을 말이다. 보이지는 않아도 자신에게 필요한 만큼의 물을 흡수하여 콩나물로 자란 시루 속 모습처럼 우리 교실 풍경도 크게 다르지 않다. 수업 시간에 딴짓을 하거나 수업 내용을 귀담아듣지 않고 수업 태도가 바르지 못한 아이들을 보면 속상하고 때론 화도 날 것이며 열정을 다해 가르쳤건만 채 몇 분도 지나지 않았는데 모든 것을 다 까먹고 '몰라요.'를 내뱉는 아이들을 보면 깊은 한숨에 기운이 빠지기도 했겠다.

아이들이 비록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 같지만 나름의 방식으로 자신의 공간 안에서 조금씩 성장의 양분을 저장하고 있음을 믿는다. 단 한 방울의 물도 남아 있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어두운 시루 안에서 콩나물이 쑥쑥 자라나듯 우리 아이들도 날마다 성장해 가고 있음을 믿는다.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은 분명 착각이다.

배움은 아이들에게 희망이다. 친구 관계가 무너지거나 삶의 태도가 바뀐다 해도 끊임없이 배움의 공간 안에 있으면 아이는 절대로 무너지지 않는다. 교사가 먼저 아이들을 포기하지 않는 한 아이는 절대로 먼저 자기 자신을 포기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