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9.03.04 17:31:22
  • 최종수정2019.03.04 17:31:22

자영스님

자연음식요리가, 화림전통음식연구원

예로부터 우리 밥상에는 고기보다 갖가지 채소와 나물이 올랐다. 요즈음에는 건강식으로 새롭게 주목을 받는다. 조선 중기의 미암 유희춘은《신증유합》에서 "나물은 향기롭고 신선한 먹을거리다"고 했다.

옛날의 명성이 뒤바뀐 것도 많다. 김과 매생이, 무와 무청, 통배추와 봄동을 보면 그렇다. 푸대접받던 시래기도 근래에 와서야 제대로 대접을 받는다. 더 건강하게 가꾸는 일이란 웰빙의 우리말인 '참살이' 열풍에 의해서다.

시래기는 한자로 청경, 지축이라 쓴다. 무청이나 배춧잎을 새끼 등으로 엮어 끄덕하게 말린 것이다. 우거지는 배춧잎 등 푸성귀를 다듬을 때 골라놓은 겉대 또는 윗부분을 말한다. 시래기는 말린 것인데, 씨줄처럼 줄줄이 엮은 모양을 가리킨다. 우거지는 겉 부분을 가리키는 '웃걷이'라 한다. 대관령 무청 시래기가 유명하지만, 김장철에 무청을 갈무리해 둔 시래기도 사시사철 좋은 찬거리가 된다. 가마솥에 오랫동안 푹 삶아 찬물에 우렸다가 반찬으로 만든 시래기는 구수한 맛과 향이 일품이다. 눈으로는 거칠 것 같은데, 먹을 때 느껴지는 특이한 부드러운 식감은 먹는 자만의 특권이자 덤이다.

푹 삶은 시래기를 썰어 들기름에 지긋하게 볶은 나물과 찌개, 들깻가루를 풀어서 끓인 시래깃국은 젊은이들이, 묵은 된장을 풀어 끓인 국이나 간간하게 버무린 시래기나물은 연장자가 선호한다. 그 중심에는 구수한 맛이 자리한다. 쌀뜨물로 국물을 하면 시래기가 더 부드럽고 국 맛이 더 구수해진다. 시래깃국에는 육류보다 멸치, 홍합살을 부숴 넣고 끓여야 제맛이 난다. 콩깍지나 무 등을 넣고 끓인 소죽 냄새를 맡아본 적이 있는 사람들에게 육류에다 곁들인 시래기 맛은 추억의 레시피이다.

시래기는 마른나물 모둠을 가리키는 '지축(旨蓄)'이라 처음 기록됐다. 기원전 6세기경 편찬된《율장》<십일조 괴생종계>에는 식물 종자의 하나인 경종으로 기록했다. 일종의 말린 나물(莖種菜) 또는 마른 채소로 거친 음식으로 보았다. 기원전 470년 편찬된《시경》<곡풍>에는 "내가 마른나물 장만하는 것은 겨울을 넘기기 위한 것이네"라며 시래기를 지축으로 처음 기록했다. 또 시래기의 원재료인 무청을 뿌리와 줄기를 다 먹을 수 있는 무 채소(葑菲)라고 했다.

중국 서진의 진수가 290년 쓴《삼국지》에는 "유비가 무청을 심는다"고 시래기를 적었다. 양나라 도홍경의《신농본초경》과 당나라 이적의《당본초》, 명나라 때의 난무가 편찬한《전남본초》에도 무청을 기록했다. 명나라의 이시진은《본초강목》에서 "옛사람들이 무청과 내복(萊挘)을 혼돈하여 썼다"며 무와 무청을 구분했다.

4세기말 고구려에 전래되어 재배하게 된 무는 고려시대에 아주 귀한 채소로 취급되었다. 1487년《성종실록》에는 "백성들이 시래기와 감자나 밤으로 이어가고서야 겨우 한 해를 넘길 수 있다"고 했다. 실학자 이익은 시래기를 지축으로 적었다. 1690년대 김진규는《축천집》에서 "시래기 나물죽을 먹었다"고 시래기를 청경(菁莖)이라 처음 적었다. 조선 말기까지 공문서와 문집에도 지축으로 기록됐다.

1917년 방신영은《조선요리제법》에 "시래기는 푸른 무청을 새끼 등으로 엮어 겨우내 말린 것이다"고 했다. 1924년 이용기는《조선무쌍신식용리제법》에 시래기국을 청경탕과 시래기나물로 기록했다. 1922년 염상섭은《만세전》에서 "일 년 열두 달 죽도록 농사를 지어야 반년 짝은 시래기로 목숨을 이어 나가지 않으면 안 되겠으니까. …"라고 시래기를 배고픔으로부터 구해 준 음식으로 적었다.

비타민C가 풍부한 시래기는 예로부터 정월 대보름날 절기 음식이었다. 겨울이면 으레 처마 밑에 주렁주렁 엮어 매달렸다. 바람과 햇살에 말리는 시래기 풍경은 잔뜩 찌푸린 얼굴을 가리키는 우거지상이란 말까지 낳았다. 무청 시래기국 한 그릇으로 정신건강에 이로운 웃음의 활력소를 찾았으면 한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