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춘추관 이러쿵 저러쿵 - 靑 비서실장 교체 시나리오

현경대, 홍사덕, 권영세, 황교안 등 관측 쏟아져
대통합·지역안배 고려하고, 후순위로 국정 과제
김기춘 비슷한 콘셉트 곤란, 인사권자 의중 관심

  • 웹출고시간2015.01.20 19:10:50
  • 최종수정2015.01.20 19:10:02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 후임을 놓고 다양한 관측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2일 신년 기자회견을 통해 교체 가능성을 언급한 뒤 국내 대부분의 언론이 각양각색(各樣各色)의 분석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이 김 실장을 실제 교체할 수 있을지, 또한 교체한다면 시기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지 정해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

◇타천(他薦)격 후보군

박 대통령의 비서실장 교체 가능성 언급 후 최근까지 가장 많이 거론되고 있는 후보군은 현경대 전 의원을 비롯해 홍사덕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대표상임의장, 권영세 주중대사, 황교안 법무부장관 등이다.

여기에 비록 소수의 여론이지만,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과 이원종 지역발전위원장, 한화갑 전 국회의원, 윤진식 전 국회의원 등도 국무총리 또는 비서실장에 발탁될 수 있는 자질과 요건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다.

문제는 인사권자인 박 대통령이 비서실장 인사의 포인트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에 달려 있다.

비서실장은 청와대와 내각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대통령을 가까운 거리에서 수시로 만나면서 각종 국정현안을 논의할 수 있는 데다, 인사위원장까지 겸임하고 있다.

그래서 내달 설 명절 전후로 예상되는 김 실장 교체여부와 함께 만약 교체한다면 후임을 누구로 결정하느냐에 따라 임기 3년을 남겨둔 박 대통령의 국정포인트를 가늠할 수 있다.

◇쇄신효과 없으면 역효과

비서실장 교체는 신중해야 한다. 그렇다고 김기춘 비서실장 체제를 지속해야 한다는 얘기가 아니다.

김 실장 재임시 청와대 안팎에서는 역대급 사고가 터졌다. 그런 만큼 후임 비서실장을 통해 국정쇄신의 효과를 극대화 시켜야 한다.

비서실장 교체시 김 실장과 비슷한 콘셉트는 곤란하다는 점은 중론이다. 국민들이 쉽게 동의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김 실장과 180도 다른 성향의 인사를 발탁해야 한다. 불통의 이미지에서 소통과 화합의 이미지로 바뀌어야 한다.

국민들로부터 "확 바뀌었다"는 평가를 받아야 한다.

이를 위한 최적의 조건으로 △야당측 인사 △호남권 인사 △친이 성향 인사 △친박 성향 △관료 출신 등의 순서를 꼽을 수 있다.

야당측 인사 중에서도 국정철학 공유가 가능한 인물은 많지 않다.

김대중 대통령 시절 청와대 경제수석(2001년)과 노무현 대통령 시절 부총리겸 제정경제부 장관(2005년)과 국무총리(2007년)를 역임한 한덕수 전 국무총리 정도가 거론될 수 있다.

더욱이 한 전 총리는 전북 전주 출신으로 2012년 2월부터 한국무역협회 회장을 맡고 있어 대통합과 지역안배, 경제문제 등 '1석 3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호남·충청권 발탁해야

한 전 총리가 어렵다면 차선책으로 호남·충청권 인사를 발탁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한광옥 위원장과 한화갑 전 의원 등을 꼽을 수 있다. 이원종 지역발전위원장과 윤진식 전 국회의원 카드도 상당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윤진식 전 의원은 노무현 정부에서 산업자원부 장관(2003년)을 지낸 뒤 이명박 정부에서 경제수석(2009년)과 정책실장을 역임했다.

이 때문에 친노·친이 등 계파색이 옅은 데다, 경제통으로 박근혜 대통령의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이 충실히 이행되도록 하는 '히든카드'가 될 수 있다.

외형적으로는 최근 갈등을 겪고 있는 친박·비박 갈등을 해소하고, 차권 대권주자로 종종 거론되는 반기문 UN 사무총장과의 연계성도 확보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권영세 주중대사를 추천할 수 있다. 박 대통령의 핵심 국정과제인 '통일대박'을 실천할 수 있는 핵심 역량을 갖췄기 때문이다.

주중대사로 남북통일을 위한 전제조건인 미국과 중국, 일본의 협조를 추동(推動)할 수 있고, 여의도 정치권과의 소통에도 제격이 될 수 있다.

황교안 법무부장관의 발탁은 후한 점수를 얻기 어려워 보인다. 공안통인 김 실장과 비슷한 콘셉트인 데다 정치경력이 전무하고, 무엇보다 남북문제 해결을 위한 유연한 대북관계 설정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홍사덕 상임의장 역시 경륜과 정치적 감각 측면에서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지만, 경북 영주 출신이라는 점이 부담스러울 수 있다.

서울 / 김동민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