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영화로 보는 인문학 - 인생에서 다가 올 상실들을 마주할 때

영화 '노매드랜드'를 통해 본

  • 웹출고시간2021.06.07 17:43:40
  • 최종수정2021.06.07 17:43:40

안소현

정치학 박사 / 지역문화커뮤니티 '함께' 대표

[충북일보] 영화를 보고 잔상이 오래 남아서 한 번 더 보고 싶은 영화가 있다.

지금의 나를 돌아보고 한 번쯤은 영화 속 주인공처럼 살고 싶을 때도 있다.

영화 '노매드 랜드'가 그렇다.
93회 아카데미 시상식 작품상, 여우주연상, 감독상 외에도 74회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 감독상, 여우주연상, 촬영상을 거머쥐었다. 그 밖에도 200여 개의 영화상을 수상해서 기대가 컸다. 여자 주인공 '프란시스 맥도맨드'는 '쓰리 빌보드'에서 억울하게 딸을 잃은 분노에 찬 엄마 연기로 2018년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받았던 연기력이 탄탄한 배우다.

2017년 프란시스 맥도맨드가 한 권의 책을 읽게 되면서 이 영화가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다. 원작은 저널리스트 제시카 부루더(Jessica Bruder)가 쓴 '노매드 랜드: 21세기 미국에서 살아남기'다. 부제가 말해 주듯이 미국에서 주거지 없이 자동차에 살면서 저임금 노동을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한 여성의 삶을 중심으로 심도 있게 분석한 논픽션이다. 제시카 부루더는 노년 빈곤층에 대해 언급하고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삶임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계층을 이룰 만큼 그 수가 많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스스로 밴을 타고 그들의 삶 속으로 들어가서 취재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책으로 썼다. 이 책을 읽은 프란시스 맥도맨드는 막연하게 꿈꿔 왔던 노매드 삶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고 낭만이라는 환상을 버렸다고 한다. 그 후로 이 책의 판권을 사게 된 프란시스 맥도맨드는 토론토영화제에서 영화 '로데오 카우보이'의 감독 클로이 자오를 만나게 되고 영화 제작을 제안한다. 로데오 카우보이라는 영화에서 클로이 자오 감독이 실제 이야기 속 인물을 배우로 활용했다는 점을 영화'노매드랜드'에 적용시키겠다는 확신 때문이었다. 프란시스 맥도맨드의 계획대로 배우 데이비드를 제외하고 모두 실제 노매드인들이 연기를 했다는 독특함이 숨어있다. 노매드인들은 린다 메이, 스왱키, 밥 웰즈로 자신을 연기한다. 연기라기보다 자신의 인생을 보여준다는 표현이 맞을 것이다.
영화는 2008년 금융위기로 2011년 마을 하나가 완전히 붕괴된 상황을 보여준다. 미국 네바다 주에 있는 US석고 공장이 문을 닫으면서 그 공장에 의지하던 엠파이어마을 주민들이 실직을 하게 되고 붕괴해서 우편번호도 없어진다. 남편과 함께 평생을 그 마을에 살아온 여성 '펀'(프란시스 맥도맨드)은 사무직과 교사로 일해 왔지만 남편의 죽음으로 홀로 남게 된다. 마을의 붕괴로 달리 갈 곳이 없는 펀은 남겨진 물건들(배우 자신의 소품 사용)을 낡은 밴에 싣고 온라인 상거래 기업인 아마존에서 일용직으로 일하기 위해 트레일러 파크에서 생활하게 된다. 새로운 일터에서 처지가 비슷한 사람들을 만나게 되고 그들 대부분은 얼마 안 되는 복지기금에 의존하지 않고 노동을 통해 생계를 유지한다. 그들의 삶의 궤적은 다르지만 위로하며 서로에게 자신의 방식을 공유하는 모습이 또 하나의 가족 같다. 동료로부터 현대판 유목민들의 공동체 리더인 밥 웰스를 알게 되고 이들과의 모임을 통해 각자의 인생 경험을 공유하며 '노매드'로서의 생활에 익숙해져 간다. 낡은 밴을 고치기 위해 여유 있는 동생에게 돈을 빌리러 간 '펀'은 동생의 이웃과 친구들의 경제 불황 속에서 부동산 투자에 대한 열띤 대화를 듣고 불편해한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완전한 노매드가 되어 버린 것이다. 함께 살자는 동생의 제안을 뿌리치고 다시 밴을 타고 떠나는 '펀'. 무한히 펼쳐진 자연을 벗 삼은 정처 없는 삶이 그녀를 용감하게 만든 것일까? 상실을 경험한 '펀'이 원하는 것은 화려한 침대에서의 외로운 잠 보다 낡았지만 마음 편한 밴에서의 쪽잠과 아침마다 "커피 한 잔 하실래요?"하며 밴을 두드리는 동료의 노크소리였을 것이다. 노매드 랜드에는 미래를 기약할 수 없는 불안한 일자리와 보잘것없는 재산이지만 따뜻한 나눔이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난을 포장했다는 비난도 있지만 가난도 즐길 수 있다는 용기 있는 설정에 박수를 보낸다. 영화 속에 등장하는 노매드들의 품위를 잃지 않는 행동과 대화들, 험한 노동에도 불평하지 않는 모습들이 영화를 아름답게 만드는 요소다.
프란시스 맥도맨드가 연기를 위해서 노매드들과 몇 달 동안 생활하는 동안에 다른 노매드들이 여배우인지 몰랐다고 한다. 이 영화에서 마음의 상처를 치료하는데 자본주의는 유명무실하다. 노매드의 삶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I am not homeless, I am houseless."라고 당당히 말하는 '펀'과 쏟아지는 낮과 밤의 하늘을 바라보는 '펀'을 보면서 나도 노마디즘을 꿈꾸게 되었다. 단기간의 제주살이를 떠나는 사람들도 이런 마음이지 않을까? 훌훌 떨쳐버리고 낯선 곳에서 자유롭게 살아보려고. 일상이 지치거나 무료할 때 이 영화가 큰 위안이 될 것이다. 자연 속에서 '펀'은 자연 그 자체가 된다. 멋진 촬영과 OST도 영화의 품격을 더해 준다.

알렉산더 폰 쇤 부르크의 책 '우아하게 가난해지는 법'이 생각나는 밤이다.

그의 깨진 찻잔의 미학도.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