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2.01.29 18:16:32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매서운 칼바람이 훵하니 지나고 아직 녹지 않은 잔설이 아침햇살에 유난히 반짝이는 아침, 얼어붙은 백곡저수에는 가족들 단위로 추운 겨울의 별미인 빙어잡이가 한창이다. 백곡저수지를 돌아 돌아 가다보면 . 산자락 깊숙한 골짜기에서 낡고 빛 바랜 회색 슬레이트 지붕 아래 황토빛 숯가마들이 줄지어 서 있다. 충북 진천의 숯굽는 마을이다. 숯마을에 이르기 바로 전 먼저 매캐한 연기냄새가 숯 마을의 존재를 알린다. 곧이어 뽀얀 아침햇살에 골짜기 아래로 안개처럼 하얗게 연기가 가라앉아 있는 모습 속으로 새까만 숯가마들이 눈에 들어온다. 숯굽는 마을답게 가장 많이 눈에 들어오는 것들은 역시 나무들이다. 숯으로 변하기 직전의 참나무들. 그 너머로 막 꺼내어 지기를 기다리는 불타는 가마들이 보인다.

ⓒ 석길영·홍대기
무려 10개의 숯가마가 있다. 모든 숯가마가 한 번에 불을 떼는 것이 아니라 번갈아가며 불을 떼기 때문에 언제 가더라도 숯굽는 과정을 전부 볼 수 있다. 한쪽에서는 빈 가마에 어른키만한 나무들을 차곡차곡 세워 넣고 있고, 그 옆에는 불을 붙인 가마를 속이 보이지 않게 봉해놓아 그 열기만 느낄 수 있는 가마도 있다.

섭씨 1200도의 불꽃 속에서 타오르는 정념을 사위고 나면 참나무는 탱탱 쇳소리가 나는 참숯으로 다시 태어난다. 정성으로 빚은 진흙 가마 안에서 불붙은 참나무는 1000도씨 이상의 온도에서 열두 밤낮 농익은 정념을 홀로 불태운다. 푸른빛 연기가 오르면 비로소 공기를 불어넣어 은빛으로 타오르며 마지막까지 남김없이 태우고. 가장 극단에서 태어난 숯은 우리의 생활에 스며 해로움을 흡수한다.

시뻘건 불길을 토해내는 가마에서 불덩이 같은 숯을 식힌다. 느긋하게 때를 기다릴수록 최고를 만날 수 있다는 것을 아는 이들…. 모든 것을 하얗게 얼려버릴 것 같은 겨울

추위도 잊은 채 이마에 송글송글 맺힌 땀을 훔쳐내는 겉으로는 초라해 보여도 안으로는 뜨거운 사람들이 있다.

ⓒ 석길영·홍대기
숯을 굽는 과정은 참나무 10~20그루 내외가 가장 적당한데 참나무를 세울 때 두꺼운 부분이 위로 얇은 부분은 아래로 가게 세운다. 이렇게 세우는 이유는 참숯은 위에서부터 타 내려가기 때문이고 두꺼운 부분이 아래로 가게 되면 숯이 윗부분은 다 타버리고 없어지기 때문이다. 그렇게 나무를 가마에 꽉 채운 뒤 불을 붙이게 되는데 불을 붙이는 방법에도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가마의 입구를 윗 부분만 빼고 막은 뒤 불을 직접 붙이는 방법과 가마의 입구를 모두 막고 옆에서 아궁이처럼 생긴 곳에서 불을 때 그 열로 자연발화 시키는 간접 발화 방식이 있다.

이렇게 불을 붙인 가마는 가마입구의 하단에 작은 불조절 구멍을 두고 1주일정도 타들어가게 되는데 불조절 구멍은 연기의 양이나 색을 보고 막았다 열었다 하는데 그것은 전문가가 되지 않으면 구별하기 힘들다고 한다. 불을 붙이고 이주일 동안 굽는다.

마지막으로 연통의 연기가 푸른빛을 띄게 되면 가마입구의 하단부를 3분의1 정도 열고 가마의 온도를 올리게 된다. 온도를 올리는 이유는 숯의 마지막 남은 다 타지 않은 껍질과 숯 내부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숯의 가장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기공의 양을 늘리기 위해서다.

식은 가마에서 숯을 꺼내 작업하는 숯공장 사람들. 험한 직업이라고 젊은이들이 하나 없다. 나이든 인부들이 연신 다듬고 포장을 하는 모습이 전부다.

ⓒ 석길영·홍대기
저마다 가지고 있는 사연은 가슴 한켠에 묻고 얼굴에는 웃음을 잃지 않는다.

"나 사진 찍지마. 신문에 나면 옛 애인이 보고 가슴아파할지도 몰라." 말하면서 수줍은 얼굴을 감싸는 노인네의 마음이 가슴을 저민다.

쿨럭 쿨럭 연기따라 뭉게뭉게 사라지는 온갖 사연 저리도 서러운데 그 맘이야 까맣게 타버린 우리속이나 진배없다.
/ 글 홍대기 작가

/ 사진 석길영·홍대기 작가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