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노병한 소장의 Newbeing칼럼 <122> - 건물(建家)의 중앙(太極)을 찾는 비결

주택 풍수 이야기 ( 71 )

  • 웹출고시간2008.07.29 09:22:35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노병한

한국미래예측연구소장

격정(格定)하고자 하는 대상이 무엇이냐에 따라서 센터(尊所)인 중앙(太極)을 정하지 못한다면 풍수이론이 아무리 정교하다고 할지라도 공론(空論)이요 무동서(無東西)라 방위가 없음과 같은 것이다.

그래서 풍수에서는 나경을 하침(下針)해 내려놓는 곳이 올바르고 정밀해야만 판단이 정확해진다.

예컨대 집주인(宅主)의 소행(素行)·성심(誠心)·선악(善惡) 등을 파악하려고 한다면 나경을 하침(下
針)해 내려놓는 곳이 올바르고 정밀해야만 그 판단이 틀리지 않게 된다.

이럴 경우에는 침실(寢室)을 중심점(太極)으로 삼아야만 한다. 침실은 집주인이 몸을 편안히 휴식하고 잠을 자는 수면처(睡眠處)이기 때문에 방위의 길흉신살(吉凶神殺)인 빌미(神禍) 등이 크게 일어나고 작용하는 곳이다. 그래서 집주인의 심성이나 행실 등을 파악하고자 할 경우에는 침실에 나경을 내려놓고서 사방수선보청조작(四方修繕普請造作)의 방향을 보아야만 올바른 것이다.

즉 협기변방서(協紀辨方書)에 이르기를 주택에서 일어나는 길흉의 모두는 종국적으로 집주인에게 돌아가(歸)기 때문에 집주인과 관련된 일은 대체적으로 안방으로 일컬어지는 정침(正寢=臥也)을 중심으로 나경을 하침(下針)하고 사용해야만 바르다고 했다. 그리고 창고·헛간·화장실·욕실·마구간·외양간·우물·샘·연못 등 본택(本宅)의 전후좌우에 있는 모든 것을 보아 방위를 결정하려고 할 때에는 본택의 중앙에 나경을 내려놓고서 해당하는 방위의 자리(位置)가 좋은지 나쁜지를 판단해야만 한다.

여기에서 특히 주의할 점은 화장실인데 본래 화장실은 똥인 인분을 보고 모아놓는 장소이기에 음기의 저장소인 셈이다. 그런데 오늘날의 현대주택에서는 화장실은 용변을 보는 곳 일뿐인분을 모아두는 곳은 아닌 셈이다.

즉 대부분 집터 내의 다른 장소에 정화조를 두고 그 곳에 인분을 모아서 음기저장소가 주택내의 화장실이 아닌 제3의 장소에 따로 두게 됨이 현실이다. 그래서 화장실을 논함에 있어서는 정화조의 방위와 위치를 중심으로 살펴야만 한다는 점을 강조해 둔다.

한편 건물의 중앙(太極)을 찾는 것은 주택의 가운을 살피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므로 여기에서 확실하게 점검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협기변방서(協紀辨方書)와 통덕류정서(通德類情書)의 이론은 분명하다. 그 중에서도 통덕류정서에 이르기를 주택의 형세를 보는데 있어 존귀한 것을 취하여 중심으로 하라는 말은 능히 사람의 미혹을 풀기에 충분하다.

그 이치는 주택의 대문으로 출입하는 사람은 그 집주인과 대담하려고 들어오는 것이고, 상가에는 들어오는 이는 물건을 구하려고 들어온 것이며, 주택을 중앙으로 해서 창고·헛간·화장실·목욕탕·마구간·외양간·우물·샘·못 등 그 집의 갖춤이기 때문에 본택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고, 방도(方道)는 침실을 중앙으로 한다함은 모두 그 주택의 형세를 보고 주위의 존소(尊所)를 정하는 것이 능히 그 이치를 일관되게 함이다. 그런데 술사들이 중앙을 정하는 방법이 각각 다르고 멍청하여 똑똑치 못하게 개인적인 사의(私意)로 간사하게 행함에 많은 방도(方道)를 선택할 경우나, 문입구를 보는 경우에도 본택의 중앙에다가 대부분 나경을 내려놓고서 격정을 잘못하고 있음이 현실이다.

그래서 방도인 길흉문호의 선악을 구별하여 적중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협기변방서와 통덕류정서의 확론(確論)을 가림(推測)해서 판단할 경우에는 그 길흉을 바로 가리키게 되며 지시하는 일(吉凶事)은 연월일시를 정하여서 그 감응함이 있음이 틀림이 없으니 시험을 하여 보면 될 것이다. 속인들이 중앙을 정하는데 집의 한가운데에 있는 가장 굵은 기둥인 대극주(大極柱)의 밑에 나경을 내려놓거나 혹은 들보(棟)나 용마루의 밑에, 또는 본택 사방의 요철(凹凸)을 평균해서 중앙을 정하고 그 곳에 나경을 내려놓기도 한다.

또 산이 높은 것을 좋고 존귀하다고 해서 2층의 밑을 중앙이라고 해서 그곳에 나경을 내려놓기도 한다. 이러한 논리는 아무리 이치가 있다고 하여도 판단이 적중하지 않음이니 무용의 이론이다. 결국은 인명을 손상하게 하고 가계를 망하게 하는 실로 무서운 죄악이기 때문에 지상가상술을 공부하는 사람들은 그 깊고 심오한 이치를 연구하고 정진하여서 그 선택에 과실이 없기를 바랄 뿐인 것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