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6.1℃
  • 맑음강릉 7.7℃
  • 맑음서울 7.4℃
  • 맑음충주 7.4℃
  • 맑음서산 8.3℃
  • 맑음청주 8.8℃
  • 맑음대전 10.1℃
  • 맑음추풍령 8.6℃
  • 맑음대구 12.0℃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11.2℃
  • 연무부산 12.6℃
  • 맑음고창 8.6℃
  • 맑음홍성(예) 7.7℃
  • 맑음제주 13.0℃
  • 맑음고산 11.0℃
  • 맑음강화 4.8℃
  • 맑음제천 6.9℃
  • 맑음보은 9.5℃
  • 맑음천안 8.5℃
  • 맑음보령 9.2℃
  • 맑음부여 9.6℃
  • 맑음금산 8.9℃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정성우

청주 단재초 교사

무거운 해가 저문다. 학습연구년 결과물로 작성한 200여 쪽의 '문해력' 보고서, 그리고 젊은 교사들과 '학습공동체'에서 연주한 "플루존"에는 올해 산남동 카페에서 마신 커피가 젖어 있다. 그 덕에 혹한의 겨울이 오기 전까지 20대 대학생인 줄 알았다.

라톤의 '국가론'에는 따뜻한 교육론이 녹아있다. 교육의 실제적인 목표는 의료인이나 법률가를 양성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다. 그들의 도움이 필요 없는 인간에 있다. 교육을 제대로 받아야 할 대상은 아동이 아니라 나이 먹을수록 문해력이 떨어지는 성인이다. 섣부른 문자 지도는 지혜를 부패시킨다. '국가가 정의롭지 않다면, 인간 교육은 없다.'

소는 '국가론'을 다시 쓴다. 그의 아바타 에밀의 성장 과정을 한 세대 동안 묘사하였다. 보편적 경험이 체계화된 지식을 학생에게 전달하는 것만을 유일한 교육이라고 믿는 사람들에게 자연과 삶에서 배우는 자유를 제시하였다. 그의 교육에는 교과서가 없다. 학교는 가정이었고, 환경은 시골이었으며, 교사는 살아있는 교과서였다. 의도된 독서지도는 이성을 부패시킨다. '개인이 자유롭지 않다면, 평등한 사회는 없다.'

듀이는, 자신의 사상을 추종하는 1930년대의 진보주의 교육이 전통적인 보수 교육과 충돌하는 것을 보면서, 양자의 운동을 종합하려고 한다. 독일의 칸트가 코페르니쿠스적 전회로 인식론의 혁명을 일으켰듯이, 아동을 태양의 자리에 두고 교사와 교과서가 그 주위를 돌게 하였다. 그의 의도와 달리, 전통적 천동설을 여전히 추종하거나 행성은 기억하지 않은 채 태양만을 숭배하려고 하였다. '위대한 교사가 없다면, 아동 중심 교육은 구라다.'

교원 자격 획득은 물로 받은 세례다. "플루존" 협연은 불로 세례를 받는 회심(metanoia)의 절차다. 읽는 동안 마음의 동요가 일어나고, 함께 생각하는 동안 교육의 의미가 드러나며, 세 사상을 발효시키는 동안 예전의 방식으로 교육을 할 수는 없게 된다. 주어진 교육과정에는 학생에게 심어줄 비전이 생생하지 않으며, 던져진 지도서에는 교육의 의미에 대한 논쟁이 중지된 채 수업 기술만 담겨있다. 교육의 의미와 수업의 기술을 따로 배우는 것보다 인류 경험의 정수인 고전(古典)을 읽으면서 자신을 성찰하는 것이야말로 교사가 해야 할 우선적인 학습이라 믿었다. 애석하게도 논어 첫 구절에 나오는 배움의 의미를 "플루존"으로 이해할 만한 나이가 되었을 때는 가르칠 기력이 바닥났다. 황혼녘 밀레의 기도는 농부에게만 필요한 것이 아니었다.

예배당이나 불당을 찾지 않는 내가 할 수 있는 유일한 기도는 글을 쓰는 것이다. 지난 5년 동안에는 가르친 것만큼 글을 써왔다. 기력을 채우는 기도가 되었던 현재의 글은, 과거의 마음을 볼 수 있는 셀카가 된다. 찬란한 순간이 아쉽다면 사진을 찍어놓으면 된다. 소리와 움직임이 없어서 답답하다면 영상도 챙기면 된다. 글에는 사진과 영상으로 담을 수 없는 영혼이 찍혀있다. 사진처럼 찬란한 순간도 찍혀있고 영상처럼 생생한 움직임도 있다. 사진과 영상에 담을 수 없는 고독의 숲을 거닐려면 마음의 셀카가 더 필요하다. 들뜬 희망으로 채워진 사진이 아니라 차가운 절망의 기운이 도는 글이 회심의 기도가 된다. 기도가 역부족이면 미래 세대를 위해 고인(古人)이 남긴 셀카, 고전을 만나면 된다.

끝까지 읽어 준 사람들, 감상을 전달해 준 사람들, 고마움을 표시한 사람들, 그런 사람들이 있어서 3년까지 끌어왔다. 더 쓰라고 하는 사람도 있고, 그만 쓰라고 강요하는 사람도 있었다. 글을 쓰지 않은 적은 없다. 남에게 보여주지 않더라도 나를 위해 글을 써왔다. "3년 동안의 셀카를 멈추고 마지막 인사를 드립니다. 함께 했던 기억은 행복입니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도민들에게 신뢰받고 사랑받는 은행으로"

[충북일보] "올해도 금융지원 본연의 역할은 물론 지역금융 전문은행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나가겠습니다." 임세빈(55) NH농협은행 충북본부장은 취임 2년차를 맞은 소회에 대해 무거운 책임감과 사명감을 느끼고 있다고 운을 뗐다. 일반 은행과 달리 농협은행은 농민과 고객에 대한 서비스와 책임을 지고 있다. 100% 민족자본으로 설립된 은행으로의 기업가치를 지켜야하기 때문이다. 임 본부장은 "금융의 측면에서 신뢰를 바탕으로 고객에게 인정받는 리딩뱅크 운영을 목표로 삼고 있다"며 "농협의 기본 가치인 농업·농촌을 살릴 수 있는 지역사회 공헌과 농산물 소비촉진 등 공익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도시와 농촌을 연결할 수 있는 허브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농협은행의 목표는 '금융을 고객 성장의 수단으로 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원칙을 재정립하고 고객 신뢰를 더욱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임 본부장은 은행의 중점 추진사업으로 네 가지를 꼽았다. 먼저 고객과의 동반 성장을 실현한다. 고객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고려해 맞춤형 금융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둘째, 규정과 원칙을 확립해 고객이 믿고 거래할 수 있는 금융환경을 조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