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이두희

공군사관학교 비행교수

한 여인이 아들을 앞에 두고 손으로 얼굴을 가린 채 울음을 터뜨렸다. 울먹이는 어머니의 어깨를 두 손으로 살며시 감싼 아들도 그렁그렁한 눈물을 붉어진 콧잔등으로 삼키고 있다. 그 옆에는 다소 뻣뻣하게 서 있는 아들의 목을 한껏 껴안은 엄마가 활짝 웃고 있다. 하지만 눈가에는 이슬처럼 맑은 눈물이 맺혔다. 조금 떨어진 저쪽에는 깔끔한 제복차림의 딸과 아빠가 서로 떨어질 줄 모르고 연인처럼 껴안고 있다. 그 옆에서 엄마는 손수건으로 눈가를 찍어내고 있고….

엉엉 소리를 내는 사람은 없지만 주변이 온통 눈물바람이다. 특이한 것은 격한 감정을 드러내며 매달리고 눈물을 흘리는 사람은 엄마아빠인 어른들이고, 의젓한 자세로 어른들을 다독이는 건 아이들이다. 한 달간의 힘든 기본군사훈련을 마치고 정식으로 사관생도가 되는 입학식장에서 해마다 볼 수 있는 정경이다. 아이들이 무슨 대단한 일을 해내었기에 저렇게 감격의 눈물까지 흘릴까 싶지만 부모의 애틋한 마음은 자식들의 변화하는 모습 하나하나가 감동이다. 첫돌 즈음 스스로 일어서서 뒤뚱뒤뚱 걷기 시작했을 땐 마치 지구를 들고 일어선 것 같았다. 얼마 전까지 어리광을 부리던 아이였는데 갑자기 훌쩍 달라져버린 모습이 낯설어서 더 눈물겹다.

태어난 후 가장 혹독하게 춥고, 배고프고, 힘든 겨울을 이겨내고 당당한 모습으로 서있는 아들·딸들을 보면서, 부모가 흘리는 눈물에는 많은 뜻이 담겨 있다. 지금까지 정성들여 키워온 보람일 수도 있고, 어려운 환경에서 남모르게 쌓여온 한(恨)일 수도 있다. 어쩌면 아이가 이제 내 품을 떠날 때가 되었다는 서운함인지도 모른다. 말로는 다 풀어내지 못할 사연들을 눈에 그렁그렁 맺힌 눈물과 두 손으로 가려야 할 만큼 쏟아지는 눈물, 눈가에 이슬처럼 반짝이는 눈물로 대신하고 있는 것이다.

사람의 눈물은 감성의 바다가 출렁이고 철썩이며 넘쳐흐르는 물방울이다. 격랑을 품은 바다의 말없는 표현이다. 어떠한 사연으로 인해 조용하던 바다가 출렁이게 되었는지에 따라 눈물은 그 성분까지도 달라진다고 한다. 가슴을 쥐어짜는 슬픔으로 흘리는 눈물과 넘쳐나는 기쁨이나 감동에 의해 흘리는 눈물이 같을 수는 없다. 하지만 어떠한 성격의 눈물이건 한껏 쏟아내고 나면 바다는 잔잔해진다. 한바탕 비바람이나 태풍이 몰아치고 나면 적막한 평화로움이 찾아오듯 바다는 한층 순해진다. 그래서 우리 삶에서 눈물은 생리적 현상을 넘어 쩍쩍 갈라진 땅에 내리는 한 줄기 소나기와 같다. 들끓고 있는 콩물을 금세 잠재우는 한 바가지 간수 같은 존재다. 또한 사람과 사람을 잇는 길이기도 하다.

나의 바다는 깊이가 얕아서 쉽게 출렁이는 편이었다. 하지만 그 출렁임을 쉽게 밖으로 드러내지는 못하였다. 속으로는 번개가 치더라도 그냥 삼키고 억누르며 아무 일도 없는 듯이 근엄한 표정을 지으며 살아왔다. 눈가가 붉어지면서 눈물이 핑 돌 때엔 얼른 고개를 돌리거나 자리를 피하곤 했다. 마치 카드게임에서 내가 들고 있는 카드를 남이 보지 못하게 숨기듯, 혹은 푸른 제복 속의 군인정신이 무너질까 경계하듯 내 감정을 들키지 않으려고 했다.

가을이 되면 높아진 하늘만큼 바다는 한층 투명해져서 속이 훤히 들여다보인다. 그래서 그런지 군복을 벗고 젊지 않은 나이가 되면서 눈물을 드러내는 일이 많아졌다. 별것 아닌 일에도 눈시울이 뜨거워지고 울컥한다. 어머니가 돌아가셨을 때는 처음으로 목 놓아 실컷 울어보았다. 내 속을 숨기기보다 겉으로 드러내 보이는 것이 얼마나 자연스런 일인지, 그리고 얼마나 가슴 후련한 일인지 이제야 알게 되었다.

이제 막 군인의 길을 들어 선 아이들이 애써 눈물을 삼키며 서 있는 모습에서 꼭 나의 옛날을 보는 것 같다. 깊은 바다나 넓은 호수의 물이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출렁임을 통한 위아래의 순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명경처럼 잔잔한 바다는 배가 다니기에는 좋을지 몰라도 결코 건강한 바다라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