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8.1℃
  • 맑음강릉 17.7℃
  • 맑음서울 18.2℃
  • 맑음충주 16.1℃
  • 맑음서산 17.1℃
  • 맑음청주 16.7℃
  • 맑음대전 18.3℃
  • 맑음추풍령 16.5℃
  • 맑음대구 17.7℃
  • 맑음울산 16.8℃
  • 맑음광주 16.7℃
  • 맑음부산 15.8℃
  • 맑음고창 16.4℃
  • 맑음홍성(예) 17.7℃
  • 맑음제주 16.3℃
  • 맑음고산 13.1℃
  • 맑음강화 16.1℃
  • 맑음제천 15.5℃
  • 맑음보은 16.5℃
  • 맑음천안 17.0℃
  • 맑음보령 16.6℃
  • 맑음부여 16.0℃
  • 맑음금산 17.0℃
  • 맑음강진군 17.8℃
  • 맑음경주시 18.0℃
  • 맑음거제 15.9℃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한기연

음성문인협회장

구름 한 점 없이 푸른 하늘과 붉은 단풍이 잘 어울리는 날씨다. 바람은 나뭇가지 끝에 이파리를 가볍게 스친다. 차창 밖으로 흐르는 한강이 보인다. 먼빛으로 출렁이는 물결 사이사이 햇살이 반짝인다.

엊저녁 아들이 한 말이 잊히지 않는다. 큰아들은 어릴 때 중이염으로 여러 번의 수술을 겪고, 지금도 대학병원에 정기적으로 다닌다. 일하느라 바빠서 제때 치료를 받게 하지 못했다는 미안함이 큰 탓에 유독 마음이 쓰였다. 그런 아들은 심성 고운 청년으로 성장했다.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자신의 인생을 책임지며 살아간다.

나는 언제나 부모로서 아들 편이고 든든한 조력자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아들이 오히려 내 인생의 응원군이 되어간다. 남편과 싸웠을 때도 '엄마가 하고 싶은 대로 하라'며 믿고 기다려줬다. 시시콜콜한 일상을 들어주고 남에게는 보여주고 싶지 않은 속마음도 털어놓는다. 끝도 없는 나의 욕심을 드러내도 가만히 듣기만 하고, 내 잘못을 지적하지 않는다. 그런데 어제는 처음으로 비수 꽂힌 말을 한다. 자신은 '어제의 나와 오늘의 나를 비교한다'라며, 타인과의 비교로 힘들었던 시간을 토로한다.

끝없이 흐를 것만 같은 한강은 바다로 흘러간다. 강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지점을 솔트 라인(Salt Line)이라고 한다. 두 물의 차이는 염분이 있느냐 없느냐로 차이가 심한 경우 솔트 라인이 뚜렷하게 보인다. 그런데 이 솔트라인은 수시로 변해서 가뭄으로 강물이 줄어들면 강 위쪽에 형성되고, 비가 많이 와서 강물이 불어나면 바다 쪽으로 깊이 들어간다. 경계선에서 선을 넘으면 담수였던 물은 마실 수 없는 소금물이 된다.

눈에는 보이지 않는 마음의 선이 선명해질수록 속앓이를 심하게 겪었다. 내게 주어진 삶을 누구보다 치열하게 살면서도 늘 타인을 의식했다. 아무도 눈치채지 못하는 나의 자존감은 타인과의 비교로 무너진다. 감추고 싶은 열등감을 더 깊숙이 넣기 위해 아등바등 살았는지도 모르겠다. 아들과 얘기할 때마다 은연중에 나의 본모습이 나왔었나 보다. '엄마는 충분히 잘살고 있어.' 하며 자신의 얘기를 들려주고 상처받지 않도록 위로한다.

로키산맥의 높은 산꼭대기는 만년설이 뒤덮여 나무나 풀 한 포기 자랄 수 없다. 산의 경계선 트리 라인(Tree Line)이다. 날씨에는 한랭전선과 온난전선처럼 전선(前線)이 있다. 전쟁이 일어나면 무장충돌이 일어나는 전선(戰線)이 형성되는 것처럼, 자연뿐 아니라 세상 곳곳에 수많은 경계선이 있다. 단지 선 하나의 작은 차이일 뿐인데도, 생명이 살기도 하고 생명이 살 수 없는 환경으로 변하기도 한다.

한 끗 차이로 나의 자존감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잊고 있었다. 어제의 나와 오늘의 나를 비교하면 분명 존재감이 뚜렷해졌고 성장하는 삶을 살아왔다. 지금 이대로 멈추지 않고 '나로 살기'로 한다. 가끔 잊어버리고 혼돈을 겪을 때면 비수로 꽂힌 그 말을 기억해야지.

아들을 만나고 귀가하는 길이 평온하다. 가을이 한창인 풍경도 곁눈질로 보다가 이제야 비로소 창밖으로 온전히 바라본다. 나를 향하는 마음의 경계선을 확실하게 그어야겠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일보·KLJC 대선 주자 공동인터뷰 ④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

[충북일보]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는 "새로운 시대를 만들어 가는 첫 대통령으로 불리고 싶다"고 말했다. 정책·이념을 넘어 서로 감옥 보내려고 하는 정치는 이제 멈쳐야 한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세계 추세인 글로벌 마인드·이공계 출신의 대통령이 대한민국에서도 탄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본인이 당선돼야 하는 이유는. "이번 탄핵을 겪으면서 대한민국 정치가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된다고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많다. 최근 3~4년 동안의 기간을 보면 여야는 정책이나 이념의 대립보다는 서로를 감옥 보내려고 하고 방탄하려고 하는, 정치가 교착 상태에 빠지는 상황이다. 최근 트럼프발 경제 위기, 중국의 과학기술 강국으로의 부상 등에 대처하지 않으면 대한민국은 국제 경쟁에서 도태될 수 있다. 대한민국이 선진국이 된 이후에 자라온 세대의 입장에서 완전히 다른 대한민국을 만들어야 된다. 그래서 글로벌 마인드가 있고 이공계 출신인 저 이준석이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양극화 문제와 지역균형발전의 해법은. "윤석열 정부 들어 재정이 굉장히 안 좋아진 건 사실이다. 특히 문재인 정부 시절부터 100조원대 재정 적자들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이 문제가 고착화됐다. 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