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이봉표 전무의 미얀마 배낭 여행기Ⅰ

속박없는 배낭여행 '자유.여유.힐링' 만끽
시골서 만난 아낙들 얼굴에 순박함 절절
80세 노모 "나 외로우니 우리집서 자고 가"
전기없는 오지 부족마을 1박 색다른 경험

  • 웹출고시간2016.02.25 18:36:37
  • 최종수정2016.03.03 18:14:57
[충북일보] 생애 처음 해보는 배낭여행. 경험 많은 친구 부부가 있어 믿고 떠났다. 이번 여행의 컨셉은 자유, 여유, 힐링이다. 설 명절이 끝나자 마자 인천공항을 출발, 미얀마(Myanmar)에 도착한게 이달 10일. 이 나라 최대도시 양군(Yangon)과 불교 유적지 바간(Bagan)을 거쳐 4일째 되던 날 여행자들의 천국으로 알려진 껄로(Kalaw)로 이동했다.

영국 식민지 시절부터 여름 휴양지로 유명한 이곳은 고산지역에 위치해 걸어다니기엔 더없이 좋다. 주변의 작은 마을들을 둘러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바간에서 육로로 7시간을 달려와 그런지 다들 지친 기색이다.

첫 날은 가까운 거리에 있는 쉐우민(Shwe Umin) 동굴사원을 둘러봤다. 세 개의 석회동굴 내부가 크고 작은 황금색 불상들로 가득하다. 작고 한적한 마을 분위기에 일행은 속절없이 취했다. 결국 이곳에서 이틀을 묵기로 했다.

다음날 주변 풍광을 조망하기 위해 마을 뒷 산으로 트레킹을 나섰다. 어디까지 가겠다는 목표따윈 애당초 없다. 이름 모를 작은 사원을 지나 마을로 들어서니 영락없는 우리네 옛 동구밖 풍경이다. 두레박이 딸린 우물통이 눈에 띄어 무작정 집안으로 들어섰다. 식수가 귀해 인력으로 길어온 물을 모아 놓은 집수정이다.

이마에 깊은 주름이 패인 주인장이 씩 웃더니 물동이 메는 시범을 보인다. 순박함이 얼굴에 절절이 배어 있다.

삶의 무게만큼 묵직한 짐을 짊어지고 발걸음을 재촉하는 소수부족 여인(왼쪽). 연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이곳에서 땔감확보는 아낙네들의 일상이다.

얼마를 올랐을까. 아낙네가 등에 나무 짐을 지고 내려온다. 우리를 곁눈질하더니 얼굴을 땅에 푹 묻고 종종걸음으로 사라진다. 아마도 부끄러움 때문일께다. 이곳에서는 땔감을 준비하는 일이 큰 일과중 하나다.

산비탈에서 곡괭이 하나에 의지해 밭을 일구는 모습.

비오듯 하는 땀을 핑계로 하산하는 과정에 산비탈에서 곡괭이질 하는 한 무리의 아낙들네들을 만났다. 역시 수줍음이 배어 있다. 하지만 더 이상의 거부감은 없다. 양해를 구하고 카메라를 얼굴에 맞추니 청초한 웃음으로 손까지 흔든다. 산비탈에 나무를 심는 중이다.

멀지 않은 곳에선 한 아낙이 산비탈을 개간하고 있다. 손에 쥔 연장은 곡괭이 한 자루 뿐. 그 옆엔 간난아이가 대나무 바구니 안에서 천진난만하게 놀고 있고 오빠인지 형인지는 잔뜩 긴장한 눈빛으로 낯선 이방인들을 경계한다.
비록 짧은 시간이지만 곡괭이를 건네받아 일손을 도왔다. 고마워 몸둘 바를 모른다. 사탕 몇 개를 꼬마에게 쥐어주니 몸을 배배 꼰다. 가진 건 없지만 욕심없이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다음날 아침 일찍 인레(Inle)호수까지의 트레킹에 도전했다. 제대로 하려면 2박3일 동안 하루 20여km씩 걸어가야 하지만 몸이 부실한 아내들을 위해 세미 트레킹 코스를 선택했다.

전통민속마을에서 잠을 자며 하루 10여km를 걷는 1박 2일 일정이다. 영어소통이 되는 여자 가이드 둘이 동행했다. 23살과 17살의 아가씨들로 첫 인상부터 살갑다. 껄로에서 인레호수까지의 트레킹 코스는 무척 다양해서 가이드의 도움은 필수다. 끼니도 이들이 직접 만들어 제공한다.

우리의 60년대를 연상케 하는 소달구지. 두 마리가 끄는게 우리와 다르다.

길을 걷는 내내 눈에 잡히는 풍경은 우리의 60년대 시골 분위기와 흡사하지만 때론 독특한 그들만의 생활모습에 흠뻑 빠지기도 한다.

학교 주변의 소음을 줄이기 위해 도로마다 설치된 대나무 차단기

학교 주변의 도로마다 허름하게 설치된 대나무 차단기도 그런 모습 중 하나다. 교실에서 공부하는 아이들을 위해 소음을 최소화 하려는 이웃 어른들의 배려다.

트레킹을 시작한 지 한나절이 지날 즈음 소수부족 마을의 한 가정에 들렀다. 대나무로 지은 2층 구조의 전통가옥으로 1층은 창고로 쓰고 2층에 부엌과 주거공간이 있다. 80이 넘은 할머니가 머리에 전통두건을 두르고 손님을 맞는다.

트레킹 도중 점심 자리를 마련해 준 할머니와 함께. 머리에 두른 전통두건이 이채롭다.

없는 살림이지만 내부가 정갈하다. 아마도 미리 연락을 받고 정리를 한듯하다. 이 곳은 트래커들이 여간해서는 거쳐가는 코스가 아니어서 그런지 할머니의 대접이 융숭하다. 아들이 해줬다는 귀걸이가 유난히 반짝인다.

가이드들이 장작불을 지펴 지은 점심을 끝내고 대나무 거실바닥에 누우니 잠이 스스르 온다. 단잠에서 깨어 가이드의 통역으로 할머니와 얘기꽃을 피우니 두어 시간이 훌쩍 지났다.

다시 짐을 꾸리고 일어서는데 할머니께서 오늘 저녁 자고 가란다. 이혼한 아들과 둘이서 사는데 외롭다며 붙드는 노모의 모습에서 어머니가 겹쳐진다. 기념사진을 찍고 걸음을 재촉하는데 할머니는 동구밖까지 마중나오시며 이방인들에게 어딜 가나 축복이 함께 있으라는 덕담을 건넨다. 자식 먼 길 떠나보내는 우리네 시골 풍경 그대로다.

들과 얕으막한 언덕과 내를 지나 1박 예정지인 소수민족 마을에 도착했다. 제법 그럴싸한 2층 대나무 구조의 민박집이다. 대나무로 얼기설기 만든 간이 샤워장과 일부러 들여다보면 볼 것 다 볼 수 있는 재래식 화장실이 정겹다. 물사정이 좋지 않아 옛날 여인네들 뒷물 하듯 바가지로 겨우 먼지만 털어냈다.

불교유적지 바간에 산재해 있는 사원들. 그 너머로 해가 넘어가고 있다.

어둠이 노을마저 삼켜버릴 즈음 빌리지 투어에 나섰다. 전화도 안되고 전기도 안 들어오고 텔레비전도 없고 버스도 안 다니는 동네. 왁자지껄 놀이에 빠진 동네 아이들도, 80년 됐다는 고즈넉한 사원 풍경도, 마당에서 불을 지펴 매운 연기 들이키며 온 식구가 모여 저녁을 짓는 모습도, 금방이라도 쏟아질 듯 밤하늘을 수놓은 별들의 반짝임도, 마당마다 수북히 쌓아놓은 퇴비더미도, 해질녘 수십마리 소떼를 몰고 귀가하는 목동의 모습도 모두 여행객들에게는 색다른 추억거리다.

가이드 아가씨들이 준비한 저녁상이 진수성찬이다. 고기반찬이 있어 푸짐한게 아니다. 정성이 가득해서다. 최소한의 불빛으로 손님을 맞는 이 곳의 정취에 취해 이내 곤한 잠에 빠져들었다.

자명종이 없어도 잠은 저절로 깬다. 새벽닭 우는 소리와 재잘대는 새소리를 언제 들어봤던가. 아침을 준비하는 매케한 연기내음 마저 신선하다. 하나뿐인 화장실은 기다림의 인내가 필요하다. 고양이 세수는 당연하다. 나그네에겐 모두가 색다른 경험이요 이색 풍경이요 짙은 향수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