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권영이

증평군청 문화체육과장

"이제 이 짓거리로 밥 먹고 살기도 힘들군. 빌어먹을."

나는 인간의 혼을 잡아가는 일을 하는 저승사자다. 나는 이 일을 사명감으로 해 왔다.

"경쟁이 여간 치열해야지. 젠장."

그런데 이제 그런 개뼈다귀 같은 사명감 따위는 진즉에 개한테 던져버렸다.

"아, 오늘은 어떤 연놈의 혼을 등쳐먹지."

그저 하루하루 내 한 목숨 연명해 나가는 걸로도 고마울 따름이다.

삼백년 전에 나는 저승사자라는 말단 관직(官職) 한 자리라도 얻어서 이 한 몸 삼시세끼 걱정은 하지 않고 살아야겠다고 마음먹었다. 그래서 저승사자 자격증 시험을 쳤다. 그리고 주변 사자(死者)들의 부러움을 사며 떡하니 붙었다.

그때 내게 맡겨진 일은 일 년에 인간의 혼 250그램을 잡아가는 거였다. 인간 한 사람의 혼 무게가 평균 21그램이니 무거운 혼이 많다면 사자(死者)의 숫자가 줄어들 것이고, 가벼운 혼이 많을 경우는 사자(死者)의 수가 늘어날 것이다. 그래봐야 한 둘 차이지만 그래도 관의 업무는 정확성이 생명이니 그램으로 표기하는 걸 원칙으로 했다.

그때는 그래도 쉬엄쉬엄 일을 해도 내 몫은 충분히 할 수 있었다. 저승사자도 많지 않아 저승사자들끼리 정도 나누고 의리도 지키면서 일을 했으니 그냥저냥 재미도 있었다.

그런데 어느 때부터인가 인간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났다. 그러니 죽는 연놈들은 얼마나 많았겠는가. 그 많은 사자(死者)들이 저승에 가서도 치열한 사투를 벌이지 않고는 살아남을 수가 없었다.

사자(死者)들은 너도나도 저승사자 말직에 입문하려고 했다. 그래서 갈수록 저승사자 수가 늘어났다. 그리고 서로 배정받은 몫을 완수하려다보니 경쟁이 치열해질 수밖에 없었다.

혹자는 인간이 많이 늘어났으니 잡아갈 혼도 많지 않겠느냐고 묻는데 꼭 그렇지도 않다. 삼백년 전에는 인간들 평균 수명이 50년 정도밖에 안됐지만 지금은 이것들이 백세시대라고 떠들어댈 만큼 오래 산다.

"까짓것 막 잡아들이면 되는 게 아니냐고?"

하, 그러면 얼마나 좋겠는가. 그러나 인간 세상에도 '대한민국헌법 제1조 2항에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라는 걸 만들어 놓은 것처럼 우리 사자들의 세계에도 그런 룰이 있다. 그러니까 잡아가고 싶다고 저승사자 맘대로 잡아갈 수가 없다는 거다.

인간이 저마다 부여받고 인간세상으로 온 수명(壽命)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거나말거나 일 년에 250그램의 혼을 잡아가야하니 저승사자들도 잔머리를 굴리기 시작했다.

"꼭, 통째로 잡아갈 수 없다면 조금씩 떼어 가면 되지 않을까?"

뭐, 이런 생각을 하는 저승사자가 나타났다.

"인간들도 물건을 살 때 할부로 사고 그러던데 우리도 그런 시스템을 도입 해볼까?"

요따위 생각을 하는 저승사자도 생겨나기 시작했다.

인간들도 숫자가 많으면 별의별 인간이 다 있듯이 저승사자도 많다보니 잔대글빡 잘 굴리는 놈에, 툭하면 이간질 하는 놈에, 남 잘되는 꼴 못 보는 놈에, 내가 아니면 안 된다는 저만 잘났다고 생각하는 놈에, 별의별 놈이 다 있다.

참, 깜빡 까먹고 미리 말을 안했다. 내가 놈, 놈 하는 건 사내한테 하는 소리가 아니다. 우리 저승사자는 사내도 아니고 계집도 아닌 중성이다.

내가 놈이라고 부르는 건 그 말이 감칠맛이 나서 자꾸 써먹고 싶어서다. 그러니 오해하지 않기 바란다. → 다음호에 계속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