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윤상원

영동대학교 발명특허학과 교수·사단법인 한국발명교육학회 회장

지난 4월7일은 59회째 맞는 신문의 날이었다. 신문의 날 표어공모 결과가 궁금하다. 최근 한국신문협회가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대상(大賞)에는 '정보가 넘칠수록 신문은 더욱 돋보입니다'가 차지했다. 우수상에는 '세상이 속도를 말할 때, 신문은 진실을 전합니다'가 선정되었다. 신문이 곧 사막의 오아시스 같은 존재임을 강조하는 표어다. 화두는 독자들의 목마름이었다.

어쩜 '풍요 속의 빈곤'의 시대상을 이렇게도 함축적으로 표현할 수 있단 말인가. 진리의 창을 보는 듯하다. 그렇다. 신문은 소중한 정보의 보고(寶庫)이자, 빅데이터(Big Data)이다. 신문은 때로는 냉철하게 설명을, 때로는 따끔하게 충고하는 역할을 자처한다. 일일 교과서나 다름없다.

일간지에는 대략 200여 종류의 뉴스가 탑재된다고 한다. 여기에는 수십 명, 수백 명의 데스크, 기자, 작가, 세계 석학, 교수, 교사, 직원이 총동원된다. 벅차고 힘든 일이다. 하루 치 신문은 쉬지 않고 달려온 관계자분들의 헌신과 노력의 결정체이다.

수많은 기사는 우리가 모두 함께 만들어가는 현장의 목소리들이다. 신문은 전 세계의 다양한 사람이 만들어내는 세상사 이야기를 이 순간에도 차곡차곡 역사로 기록하고 있다. 그러기에 전문성과 시사성은 타의 추종을 불허(不許)한다. 역동적이며 미래의 기사들로 가득 채워지는 신문이야말로 현대인들에게는 훌륭한 생활 교본이다. 더불어 우리는 신문로부터 인생의 지혜를 풍요롭게 설계하는 방법을 배운다. '만능 해결사'라는 말이 설득력을 얻는다.

신문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과학, 의학, 국제, 종교, 환경, 영화, 방송, 스포츠, 사설, 칼럼, 석학들의 지론, 날씨, 주식, 광고, 만화, 월빙 생활, 사주, 궁합까지 매일매일 싱싱한 정보를 배달한다. 만물상을 넘어 화려한 성찬인 셈이다.

흥미로운 미담과 사건·사고는 삶의 깊이를 깨닫게 한다. 사설, 칼럼, 기획기사의 품질은 단연 으뜸이다. 칼럼은 세상을 정도(正道)로 안내하는 큰 길잡이다. 읽고 난 후의 깊은 맛은 아는 사람만이 안다. 기획기사의 전문성은 격이 높다. 나날이 전문가로 거듭난다는 생각은 속이 꽉 찬 느낌이다. 사진 한 장의 정취는 다양한 생각을 풀어내는 여유를 갖게 한다. 외국에서 일어난 재미있는 기사는 현재의 우리를 뒤돌아보게 한다. 아무 생각 없이 읽었던 여러 기사는 미래의 자산으로 탄생되는 유익함을 맛본다. 이렇듯 신문에는 인생의 진리가 들어 있고 세상의 패턴이 함축되어있다.

신문을 1년 동안 열심히 읽으면 미래를 보는 눈이 전문가 수준으로 바뀐다. 지금은 평생학습과 열린 시야가 선행되어야 미래가 보장되는 사회이다. 과거 학교에서 배운 거로 먹고사는 시대는 한물갔다. 신문에 멋진 해결책이 있다. 신문에는 세상에 필요한 콘텐츠가 넘쳐난다. 그저 찾고 활용하면 된다.

'앨빈 토플러'는 신문을 통해 미래를 내다봤다. 부자의 대명사 '워런 버핏'은 신문에서 부자의 길을 발견했다. 그의 소년 시절의 신문 배달은 다 이유가 있었다. 치매 예방을 위해 꾸준히 하루도 빠지지 않고, 신문 구석구석을 읽는다는 이웃 나라 일본 장수촌 할머니 이야기는 신선함을 넘어 신성스러움을 자아낸다.

요즘 일선 학교에서는 신문활용교육(NIE·Newspaper In Education)이 인기를 끌고 있다. 신문을 학습에 활용해 교육적 효과를 높이자는 프로그램이다. NIE의 효과가 입증되면서 교육계의 관심은 특별하다.

불현듯, 아침신문의 잉크냄새가 그립다. 그 냄새로부터 생기(生氣)를 얻는다. 아침 신문은 삶의 탄력과 일상의 자신감을 불어넣는다. 신문은 세상과 함께 동고동락(同苦同樂)해야 할 영원한 동반자이면서, 아낌없는 사랑의 대상이다. 오늘도 신문예찬론자임을 자처해본다. 완전 중독이면 어떤가.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