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3.05.30 16:03:44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윤상원

영동대 발명특허학과 교수·(사)한국발명교육학회 회장

우리 민족은 열심히 탐구하는 것을 즐긴다. '발명 DNA'가 자연스럽게 생활화된 것이다.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거북선·측우기 등의 발명품을 보면 금방 이해된다. 장영실·정약용·최무선·우장춘 등은 한국을 대표하는 발명가들이다. 우리 지역에는 삼대 악성이면서 천문도를 발명한 '박연'과 통일벼를 발명한 '허문회' 등이 있다. 모두 뛰어난 발명 DNA를 가진 인재들이었다. 5월 19일은 '발명의 날'이다. 발명사상을 드높이고 기술의 진보를 꾀하기 위해 해마다 정부가 주관하는 국가기념일이다. 우리나라 '발명의 날'은 세종 24년(1442) 5월 19일 측우기(測雨器)의 발명을 기려 제정되었다.

올해 '발명의 날' 기념식이 지난 5월 15일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진행되었다. 발명가들의 땀과 결실의 잔칫날이었다. 이날 박 대통령이 처음으로 참석했다. 박 대통령은 축사를 통해 "지식재산이 창조경제의 에너지라면, 발명은 그 에너지를 만드는 기초 동력"이라고 강조했다.

발명진흥과 특허기술 공로자에게 수여되는 산업훈장, 포장, 표창은 행사를 더욱 풍요롭게 했다. 푸짐한 포상은 시대적 변화를 읽어낸 뛰어난 발명가에게만 주어지는 특혜다. 최고의 포상은 단연 '발명왕'이다. 한국의 에디슨이 탄생하는 순간이다. 어찌 보면 '발명의 날' 수상자들은 박 대통령이 강조한 창조경제의 기초 사다리를 제공하고 있는 셈이다.

요즘 여기저기 '창조경제'가 주요 화젯거리다. 창조경제론의 '꽃'은 국민의 상상력과 창의성이라고 한다. 다시금 활짝 핀 창의 인재의 꽃이 창조경제 시대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앨빈 토플러는 "창의 인재가 나오도록 시스템을 통째로 바꿔야 미래가 있다"고 강조한다. 미래학자들은 국가를 먹여 살릴 완벽한 아이템으로 상상력과 창의성을 꼬집는다. 이런 과정에서 미국은 '창의 인재 양성 프로그램이 혁신적인 사회를 주도 한다'고 믿고 있다. 확실히 미국의 경제발전은 창조경제와 함께 시작됐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본도 글로벌화 된 경제활동을 위해 창의 인재 교육의 활성화를 시도한 지 오래다. 영국은 증기기관의 발명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의 초기부터 '창의 인재 동기부여 시스템'을 제도화하였다.

눈치 빠른 중국도 선진국 대열로 진입하기 위해 창의 인재들을 새롭게 양성하고 있다. 기존의 인력 배양 시스템을 보완해 능력과 실적으로 인재를 평가해 창조혁신의 분위기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그 덕분인지 중국은 제조업분야에서 세계시장의 강자이다.

최근 신문 보도에 의하면, 중국산 신발·의류·액세서리 등이 수출 주력 업종이라는 것은 옛말이 됐다고 한다. 중국 기업은 더는 한국의 추격자가 아니다.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인 IT· 철강·조선 분야에서 이미 한국의 강력한 경쟁자로 등장했다.

중국의 경쟁력은 압도적인 연구·개발 투자에서 나온다. 이웃 나라 중국의 행보가 놀랍기만 하다. 한 인재경영 전문가는 "양적으로는 중국을 따라잡을 수 없는 만큼 연구·개발 투자의 효율성을 높이고 창의 인재를 적극 양성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한다.

우리 정부의 움직임도 민첩하다. '지식재산기본법'에 지식재산 인력양성을 국가의 중요한 책무로 규정하고 있다. 지식재산 인재(Human Capital)가 국가와 기업의 지식재산 경쟁력의 원천임을 강조한 것이다.

이제 우리의 미래를 좌우할 창의 인재 양성은 절대 미룰 수 없는 국가적 과업(課業)이다. 발명의 날에 '발명왕'의 왕관을 쓴 한국의 에디슨들이 중국을 넘어 세계를 제패할 그날을 숨죽여 기다려 본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