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2.12.12 15:30:06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이혜진

옥천교육지원청 교육과장

어느 교회 목사님이 새벽에 자리에서 일어나려 하자 몸이 굳어 움직여지질 않았다고 한다. 팔다리는 물론 손가락 하나도 제대로 움직일 수가 없었다는 것이다. 정신은 멀쩡한데 몸이 말을 듣지 않은 것이다. 빨리 일어나 새벽예배도 인도해야 하고, 낮엔 여기 저기 심방도 다녀야 하며 약속된 이런저런 할 일이 많은데 큰일이다 싶어서 몸을 뒤척여 보려 했지만 여전히 꼼짝 할 수 없었다고 한다.

"혹 내가 죽은 것인가? 아니면 죽어가고 있는 것인가?"

그 순간 목사님은 자리에 누워 하나님께 빌었다고 한다. 가족들과 작별인사도 못했는데 지금 떠나기에는 너무 억울하니 가족들에게 유서라도 남기고 떠날 수 있게 해달라고. 그러자 거짓말처럼 꼼짝할 수 없던 몸이 자유로워져서 재빨리 자리에서 일어나 가족에게 유서를 썼다고 한다. 그 동안 고생만 시킨 부인에게는 얼마의 돈을 남긴다는 내용과 자녀들에게는 이런저런 당부를 하는 유서를 마치고 자리에 누워 떠날 준비를 하고 있는데 정신이 점점 맑아지고 몸이 자유로워 졌다고 한다.

"아, 하나님께서 살려 주셨구나." 하고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 예전과는 아주 다른 삶을 멋지게 살았다고 한다.

요즘은 유서를 미리 써 두기도 한다지만 그건 아주 특별한 사람들이 하거나, 아니면 아주 많이 가진 자들이 죽은 후가 염려되어 유서를 써서 공증 받아 두는 것이라고 생각해 왔다. 나는 처치하지 못할 만큼 많은 재산이 있는 것도 아니고, 가족 관계가 복잡하지 않아 유서로까지 남겨야 할 처지도 아니라서 미리 유서를 써 두는 건 생각해보지 않았다.

그런데 문득 어느 날 하나님이 '이제 이 지상에서 그만 살고 오거라' 하면 가야하는데 어떡하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 동안 고생하여 이제 살만하니 좀 더 여유롭고 행복하게 살다가 가겠다고 떼를 쓸 수도 없는 노릇 아니겠는가.

떠날 날을 모르는 것은 하나님이 인간에게 주신 큰 선물이지만 언제 떠날지 모르는 것은 또 다른 두려움이기도 하다. 그래서 죽음이 늘 염려되어 건강을 체크하고 돈을 모으면서 시간이 아주 많이 남아있는 것처럼 우리는 그렇게 살고 있는 것이다. 시간이라는 선물은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세상에서 가장 길기도 하고 가장 짧은 것이 되기도 하며, 가장 하찮은 것 같으면서도 가장 회한을 많이 남기는 것이 된다고 하지 않던가.

죽음을 체험하고 미리 유서를 써본 목사님처럼 멋지고 완벽하게 살 수는 없지만 내게 남겨진 시간이 그리 많지 않다고 생각하면서 자신을 되돌아보며 한번쯤 유서를 써보는 것도 나쁠 것 같지는 않다. 그리하면 유한한 인생에 대한 욕심도 줄어들 테고 좀 더 선하게 살아지지 않을까?

손해를 보는 듯 사는 것이 흑자 인생이라고, 그리 사는 것이 당장은 손해 같지만 시간이 가면 복이 되어 돌아온다고 어른들은 말한다. 부부나 친구 사이 또는 직장 동료 사이에도 '내가 좀 못났지' 하며 사는 것이 지혜라고 말이다.

우리의 생명은 너무나도 짧아 세상에 부러울 것이 없는 부자나 거리의 거지나 결국은 똑같이 한 줌 흙으로 돌아가게 마련이다. 다른 점이 있다면 어떤 사람은 꿈과 사랑으로 자신의 삶을 채우고, 어떤 사람은 불안과 초조, 공허와 후회로 채워나간다는 점이다.

내가 만약 아주 짧은 시간 안에 유서를 남겨야 한다면 가장 먼저 누구에게 어떤 내용으로 써야할까? 남편에게는 뭐라고 쓰며, 자식들에게는 어떤 말을 써야 도움이 될까? 돈 이야기를 쓸까, 아니면 살아가는 지혜를 쓸까? 이도저도 아니면 무슨 소리를 해야 할까? 잘해주지 못해서 미안하다고 해야 하나, 아니면 그동안 가족을 위해 쉬지 않고 열심히 살았으니 죽은 후에라도 오래 기억해달라고 할까?

이왕이면 근사한 유서를 남기고 싶은데 아무리 생각해봐도 딱히 쓸 말이 별로 없다. 그러나 아무런 준비 없이 허송세월 하다가 어느 날 갑자기 이 세상을 떠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 어느 날의 아름다운 마무리를 위하여 준비하는 시간을 가져야겠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