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3.03.23 16:30:09
  • 최종수정2023.03.23 16:30:09

한송이

세명대학교 교양대학 교수

봄의 시작을 알리는 3월도 벌써 반 이상 지나가고 있다. 2023년의 새해도 어느새 두 달이 넘어가지만, 교육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3월이 새해의 시작과 같이 느껴진다. 봄을 알리는 새싹이 돋아나듯 3월의 학교는 새로 시작하는 사람들의 설렘과 두근거림으로 가득 차 있다. 특히 새로운 학교에 진학하는 초등학교 1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그리고 대학교 1학년들에게는 더욱 두근거리는 시간일테다. 지난 2년 넘게 우리를 괴롭혔던 코로나19에서 벗어나게 됨에 따라, 올해는 다시 예전의 3월과 같은 분위기가 물씬 느껴진다.

새로운 시작이 두근거리는 이유 중 하나는 '새로운 만남'이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초, 중, 고까지는 이사를 가지 않는 이상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 내에서 학교를 다니게 된다. 그러다보니 주로 비슷한 지역 환경에서 살아가는 사람들과 어울리게 된다. 그러나 대학에 진학하면서부터는 상황이 달라진다. 익숙한 지역이 아닌 곳에서 대학을 다닐 수도 있으며, 혹은 자신이 살던 지역에서 다닌다고 하더라도 전국에서 온 다양한 사람들을 마주하게 된다. 이전까지는 만날 수 없었던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어울리게 된다. 또한 이제는 성인이기 때문에 본인이 스스로 듣고 싶은 과목도 선택해보고, 원하는 때에 아르바이트를 할 수도, 여행을 떠날 수도 있다. 이른바 대학생이 된다는 것은 자신의 삶의 경계를 확장해 나가는 '전환(transition)'의 시기라 할 수 있다.

필자는 이번 학기에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교양 필수 강의 하나를 진행하고 있다. 대학생으로서의 삶을 시작하는 학생들에게 자기를 발견하고, 다른 사람과 소통하며, 공동체적인 삶을 살아가기 위해 고민하고 실천해보아야 할 것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수업이다. 대학에 입학하기 전까지는 입시에 매달리며 앞만 보고 달려오는 경우가 많다. 내가 진정으로 무엇을 좋아하고, 무엇을 잘하며, 어떠한 삶을 살아가고 싶은지에 대해 깊이 있게 고민해 볼 수 있는 여유가 허락되지 않는다. 어찌보면 다소 늦었을지 모르지만 대학생으로서의 시작은 내 삶을 돌아보고 나와 우리, 사회를 새롭게 발견해 보는 '제 2의 인생이 시작되는 시기'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새로운 시작에 들어선 학생들에게 올 해는 꼭 이루어 보고 싶은 목표, 즉 버킷리스트를 정해보도록 했다. '목표'나 '버킷리스트'라는 말이 굉장히 거창하게 들릴 수도 있으나, 올 해가 가기 전에 한 번은 꼭 해보고 싶은 것들, 하고 싶은 것을 적어보도록 했다. 생각은 언어로 표현될 때 더욱 더 실체적으로 다가온다. 막연히 머리로만 생각했던 것들을 단어나 문장으로 표현해보면 나와 더욱 가깝게 느껴질 수 있다. 방학을 이용해 기차 여행을 한 번 가보겠다거나 새로운 취미를 하나 가져본다는 목표일 수 있다. 연애를 시작하고 싶다거나 도서관에서 밤새 공부 한 번 해보겠다는 다짐도 가능하다. 운동 계획을 세울 수도 있고 나만의 유튜브 영상을 한 편 만들어 볼 수도 있다. 과목 하나는 A+ 맞기 또는 출석 100% 달성하기 등도 충분하다. 중요한 것은 내가 이루고 싶은 나의 변화 혹은 경험을 무조건 한 번은 시도해 보는 것이다. 이왕이면 혼자가 아닌 다른 사람과 같이 해보면 용기를 내보기가 쉬울 수 있다. 한번 해보기, 이왕이면 같이 해보는 것이다.

시작이 반이다, 라는 말이 있다. 시작하는 것만으로도 변화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인간의 삶은 미완성으로 시작해서 조금씩 나만의 색을 채워가며 완성해 나가는 작품과도 같다. 지나간 1, 2월은 잊고 봄의 시작과 함께 지금부터 다시금 시작해보기를 권해본다. 2023년은 우리 모두에게 처음이다. 2023년이라는 대학생활을 시작하는 새내기의 마음으로 나만의 버킷리스트를 만들며 시작해보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