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장현두

시인·괴산문인협회장

칼슘의 왕이라는 멸치만큼 우리네 식생활과 가까운 어종도 드물다. 멸치를 끓여 우려낸 멸치육수는 국물을 좋아하는 우리의 찌개국물, 국수물 등을 만드는데 손쉽게 이용한다. 그 밖에 젓갈, 볶음 등 다양하게 이용하여 우리 식탁과 친숙하다.

멸치는 수면 바로 아래로 떼 지어 다녀서 잡는 방법이 특이하다. 멸치잡이 선단을 구성하여 대량으로 잡지만 전통방식은 대나무로 엮어 만든 죽방렴을 설치하여 뜰채로 건져낸다. 금방 건져낸 멸치가 팔딱딸딱 튀어 오르면 햇빛에 빛나는 눈부신 은빛의 춤사위는 놀라운 풍경이다. 멸치는 성질이 예민하고 급해서 잡히면 제 성질에 못 이겨 펄펄 뛰다가 죽고 만다. 그래서 잡은 족족 삶아낸다. 상품가치를 보존하기위해 펄펄 살아있을 때 바로 삶는 것이다.

이 멸치보다 더 성질머리가 급한 것이 밴댕이다. 밴댕이는 그물에 잡히자마자 바로 죽는다. 왜 그럴까. 어부들은 그 이유를 밴댕이의 생김새에서 찾았다. 밴댕이는 멸치보다 덩치가 크다. 큰 것은 18㎝나 된다고 한다. 몸의 크기에 비해 내장이 들어있는 속이 아주 작다. 어부들은 속이 작기 때문에 제 성질머리를 이기지 못해 바로 죽는다고 생각했다. 그런 해석이 맞는지는 모르겠으나 그럴듯한 면이 있다.

그래서 밴댕이는 활어회가 없다. 성질이 급한 밴뎅이가 잡혀 배 위에 오르자마자 죽기 때문이다. 하지만 하루 정도 냉장고에 숙성시켜 회로 먹으면 가장 고소하고 부드럽다. 회로 먹고 난 다음 순서로 밴댕이구이를 먹어야 한다. 이유는 밴댕이는 워낙 꼬순내가 강해 밴댕이구이를 먹고 난 후에는 어떤 음식도 맛을 느끼지 못해서다. 밴댕이의 어류분류상 바른 말은 '반지'이나 강화도 사투리인 '밴댕이'로 통용되며 또 다른 사투리로 '뒤가 파랗다'라는 뜻의 '디포리'라는 재미난 유래의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우리는 너그럽고 이해심이 많은 사람을 속 넓은 사람이라고 말한다. 속이 좁아 성질을 팍팍 부리는 사람을 보면 밴댕이 소갈머리라고 말한다. 사투리를 써서 소갈딱지라고도 한다. 실제로 우리들 인간관계에서 속 좁은 밴댕이 소갈머리인 사람을 더러 접하게 된다. 좋은 인간관계는 단점을 말하지 말고 상대의 장점을 얘기하는 선에서 이루어져야 관계가 원만해진다. 다만 상대가 내 마음에 들지 않는 큰 단점을 갖고 있는데도 관계유지가 필요하다면 그런 단점은 건드려 상대의 마음을 상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자칫 잘못해서 한번 마음이 틀어지면 쉽게 돌아서지 않기 때문이다. 마음은 이성으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다.한편 더 나아가 생각해 보면 나 자신도 그런 단점이 없을 수 없다는 관점에서 상대의 단점도 그대로 인정해주고 어떤 면에서는 좋아할 수는 없겠지만 존중해 줄 필요가 있다. 아니 나의 상대로 그의 존재를 인정하는 한 그런 단점을 갖고 있는 그도 있는 그대로 존중해 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야 상대도 아마 그렇게 생각해주는 그런 나를 존중할 수 있지 않겠는가.

필자가 이런 글을 쓰게 된 동기는 실제로 '밴뎅이 소갈머리'라 할 만한 관계로 무려 작년 한 해 동안 마음고생을 많이 했기 때문이다. 해가 바뀐 아직까지도 원만한 예전의 사이를 회복하지 못했다. 그래서 어찌되었든 어떤 경우에도 사람의 마음을 다치게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절실히 체험하고 있다. 그 때 내가 기분 좀 상하더라도 꾹 참았으면 좋았을 것을 나도 어쩔 수 없는 밴뎅이 소갈머리라 되어 맞대응 한 것을 두고두고 후회된다. 얼마나 오래 산다고 살아서 화해하고 사이좋게 지내면 서로 마음 편하고 좋을 것을 그 한 치 앞을 내다보지 못하는 것이 우리 인생인가 보다.

그나저나 그 유명한 밴댕이회나 밴댕이구이를 제대로 맛보려면 음력5~6월이 와야 한다. 이 때가 되면 밴댕이는 산란기를 맞아 기름기가 올라 맛이 가장 좋다. '오뉴월 밴댕이'라고 그 때를 잘 만나기 위해 5~6월이 무척 기다려진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