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8.01.28 14:41:16
  • 최종수정2018.01.28 14:41:16

지명순

U1대학교 호텔조리와인식품학부 교수

집밥 열풍이 불고 있다. 남·녀 싱글은 물론, 갓 결혼한 새댁, 어느 정도 요리에 익숙한 주부들도 집밥을 흉내 내 보지만 먹고 나면 뭔가가 허전하고 기분도 찜찜하다. 진짜 집밥을 찾아 청주시 낭성면으로 박영자 어머니를 찾아 갔다.

어머니의 아담한 시골집 장독대에 하얀 눈이 소복하게 쌓여있다. 마당가 가마솥에는 하얀 김이 힘차게 뿜어져 나오고 있다. 산야초로 고추장을 담을 준비를 하는 중이란다. "내가 산에서 직접 채취한 오갈피, 꾸지뽕, 헛개나무 등 여러 가지 약재를 넣었어요." 약초 다린 물로 조청 만들기까지가 3일이나 걸린다고 하니 고추장 담기가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새벽부터 다리기 시작한 약초 물을 깨끗하게 거르고 여기에 엿기름을 휘휘저어 풀었다.

오갈피 헛개나무 꾸지뽕

ⓒ 이효선
엿기름물이 만들어지는 동안 따끈한 홈 메이드 한방차로 언 몸을 녹이기로 했다. 음식 만들기를 유달리 좋아했던 계집아이는 어머니를 졸졸 따라다니며 전통장 만들기부터 잔치음식까지 어깨 너머로 배웠다. 중고등학교 시절에는 밥을 지어 먹으면 학교를 다녔다. 시집 와서는 집안 살림에 보태려고 음식장사를 시작하였는데 입소문을 타고 손님이 몰려와 문전성시를 이룰 정도였다고 한다. 그러던 중 갑작스럽게 남편이 세상을 떠나면서 삶에 대한 의욕을 잃어버리게 되었을 때 이곳으로 이사를 오게 되었다고 한다. 한적한 시골에서 친구하나 없이 적적하게 지내던 중 어느 날은 "아침에 새들이 잠을 깨우고 앞산에 있는 나무가 부르는 것만 같았어요." "매일 눈만 뜨면 산에 오르게 되었고 자연과 대화를 하다 보니 맘도 치유가 되더라고요." 산에 매일 오르다보니 약초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급기야 자녀들에게 줄 약초고추장까지 담게 되었다고 한다.

고추장

ⓒ 이효선
엿기름물을 자루에 거른 다음 다시 가마솥에 붓고 찹쌀가루 빻은 것을 풀었다. 그리곤 약한 불로 투명해 질 때까지 저어 주었다. 솥에서 달착지근한 식혜 냄새가 시작하니 불을 세게 집혀 끈적끈적하고 달달한 조청이 될 때까지 고았다. 시간과 정성이 들어가는 지루한 작업이지만 "우리아이가 먹는다고 생각하면 대충할 수 없죠. 엄마는 좋은 것만 주고 싶잖아요."라고 한다. 한약재조청, 띄운 보리밥, 고추장용 고춧가루, 소금 등 고추장 담을 재료가 모두 준비됐다.

"이제 섞기만 하면 되나요·" 하니 고춧가루를 채에 쳐서 넣어야 한다며 나에게 나무주걱으로 저으라고 한다. 혹여 있을 지도 모를 이물질을 걸러내는 과정이다. 점점 더 붉은색이 고아지고 농도가 짙어져 가니 팔에 점점 더 힘이 들어갔다. "고추장 빛깔이 정말 빨게요." "고추는 작년 가을에 태양초로 말려서 미리 빻아서 준비 놓았어요. 그래야 빛깔이 곱거든요." 소금을 넣고 또 저어서 섞었다. "이제 다 된 것 같으니 주걱을 세워 봐요."따라 하니 신기하게도 주걱이 똑바로 세워지는 것이 아닌가. 고추장 완성 점을 알아보는 방법이었다. "짜고 매워요." "3개월은 숙성시켜야 제대로 된 맛이 나죠." 고추장을 항아리에 담아 주둥이에 하얀 망사까지 씌워 장독대에 가져다 놓았다.

야생 버섯찌개

ⓒ 이효선
숙성된 고추장은 검붉은 빛을 띠고 매콤하고 깊은 단맛이 났다. 이 고추장으로 작년 가을에 손수 따서 냉동보관 중인 야생버섯으로 찌개를 만들어 주신다니 빙그레 미소가 절로 지어졌다. 반달지게 썬 감자를 들기름에 들들 볶은 후 해동 된 야생 버섯을 넣고 고추장도 한 수저 넣고 자글자글 소리가 나게 한참을 볶다가 사골국물을 부어 끓였다. 마지막에 파를 조금 썰어 넣으니 완성이다. 텔레비전에 나오는 집밥 요리사보다 투박하지만 어머니의 정성과 진심이 느껴져 절로 마음이 갔다.

고슬고슬하게 지은 밥에 약초고추장을 싹싹 비벼 한 수저 먹어본다. 밥알 한 알 한 알에 묻어있는 고추장이 달고 차지고 맵다. 아무 맛이 없는 흰밥의 매력이 고추장을 먹을 때 느껴진다. 야생버섯찌개는 자연의 향기가 입안에 그대로 퍼졌다. 버섯 특유의 씹히는 질감도 살아 있었다. 눈 깜짝할 사이에 뚝배기 바닥을 닥닥 긁어 국물 한 방울도 남김없이 먹어 치웠다. 제대로 차린 집밥을 배가 터져라하고 먹었다.

박영자 어머니처럼 가족의 건강과 행복까지 고려해 좋은 재료를 사용해 정성으로 만든 음식이 진짜 집밥이 아닐까.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