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지장금의 절기밥상 - 혼잎 나물, 지칭개국

부지런한 며느리도 세 번 뜯기 어려운 나물

  • 웹출고시간2017.04.30 17:05:09
  • 최종수정2017.04.30 17:05:09

지명순

U1대학교 교수

[충북일보] 한낮의 기온이 20도 이상 올라가니 '덥다' 소리가 나온다. 봄인가 싶더니 여름이다. 봄이 점점 짧아지고 있다. 더 늦기 전에 산나물 뜯으러 길을 나선다. 울긋불긋 영산홍이 피어있는 길을 따라 충주 탄금호 근처 중앙탑면에 위치한 햇살블루농장을 찾았다. 햇살과 블루가 결합한 이름답게 햇살이 하늘에서 곧장 내려쬐는 곳에 블루베리 농장이 있다. 그 가운데 통나무집이 우뚝 서있다. 금슬 좋은 부부는 이곳에서 10년째 교육농장을 가꾸고 있다. 지난해부터 찾아오는 손님들에게 산과 들에서 채취한 나물로 농가의 맛도 선보이고 있다. 그게 가능한 이유는 안주인 김금자 님께서 산야초연구회원으로 활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 '풀'로만 알고 있는 것이 먹을 수 있는 '약'이라고 하니 새록새록 배우는 재미가 쏠쏠해요"라고 하면서 "세상에 잡초는 없어요.", "몰라서 못 먹는 거예요"라고 하면서 '전설 따라 삼천리'같은 산야초 이야기를 들려준다.

지칭개 꽃

ⓒ 이효선
그녀가 농사짓는 블루베리 밭은 농약을 안쳐서일까· 쑥, 망초대, 씀바귀, 지칭개, 민들레까지 봄나물이 풍년, 봄나물 백화점이다. 오늘은 특별히 지칭개를 칼로 많이 오렸다. 지칭개 잎은 냉이 같고, 꽃은 엉겅퀴를 닮았다. "냄새를 맡아 보세요", "쓴 냄새가 나죠·" 라고 묻는다. "예, 쓴 냄새가 많이 나는데 어떻게 먹어요·"라고 하자 "걱정은 NO~~, 된장국을 끓이면 쓴맛이 사라져요" '입에 써야 몸에 보약'이라는 말이 있듯 지칭개는 해열, 해독, 부기를 가라앉히는 약재이다. 봄철 감기로 열이 오르고 염증이 있을 때 먹으면 치료에 도움이 된다.

홑잎나물

ⓒ 이효선
뒷산에 올랐다. 여리고 어린 순들이 예쁘게 올라오고 있다. 산나물의 전령사, 혼잎 나물이 참새 혀처럼 뾰족한 잎을 내밀었다. 혼잎 나물은 화살나무(귀전우, 참빗살 나무)의 새순, 나무줄기 양쪽에 깃털이 붙어있다. 깃털 있는 나무는 항암작용이 뛰어나고 혼잎에 들어있는 싱아초산나트륨이란 약리성분은 인슐린 분비를 촉진해 혈당을 낮춰준다. 한방에선 출산 후 어혈을 풀어 주고, 생리불순, 자궁건강에 좋은 약으로 통한다. "봄철 부지런한 며느리도 세 번 따기 어렵다면서요·"라고 물으니 "혼잎은 잎이 올라오면 금방 꽃이 피고, 잎이 억세져서 세 번 따기는 고사하고 한 번 따기도 어렵죠!" 혼잎 나물을 끓는 물에 살짝 데쳐 물기를 짜고 소금, 깨소금, 참기름 세 가지 양념만 넣어 살살 무쳤다. "묵은 나물은 조선간장으로 간하여 들기름에 볶아야 부드럽고 구수한 맛이 나고, 봄나물은 소금으로 간하고 깨소금과 참기름으로 연하게 무쳐야 맛이나요" 라고 나물요리법을 전수해 준다.

지칭개국은 먼저 지칭개의 꽃순을 떼고 깨끗이 씻어 손으로 바락바락 주물러서 물에 담가 쓴맛을 빼야 한다. 멸치장국에 된장을 풀고 손질한 지칭개에 날콩가루를 입혀 넣고 뚜껑을 꼭 닫고 끓였다. 지칭개국은 먹을 것이 없었던 시절, 쉽게 구할 수 있는 나물로 배를 불리기 위해 먹었던 충청도 토속음식이다. 날콩가루를 이용해 구수한 맛을 더하고 단백질을 보충하니 지혜로운 음식이 아닐 수 없다. "다 익은 냄새가 날 때까지 뚜껑을 열면 안돼요", "익으면 쓴맛이 단맛으로 바뀌죠."라고 기다림의 미학(味學)을 일러준다.

산으로 들로 나물을 뜯으러 돌아다녔더니 배가 고프다. 금방 무친 홑잎 나물을 흰쌀밥에 얹어 먹으니 아기의 솜털같이 부드럽고 착착 감긴다. 지칭개국은 구수하고 쌉쌀한 맛이 입맛을 돋운다. 누가 혼잎 나물과 지칭개국을 뺏어 먹을 새라, 게 눈 감추듯 먹어 치웠다. 배가 부르니 만사가 OK~, 행복하다.

부지런한 며느리도 홑잎 나물을 세 번 뜯지 못하는 사이, 취나물, 다래순, 두릅, 가죽나물이 한창이다. 취나물과 다래순은 말려서 저장하고 두릅은 소금을 뿌려 눌러 놓으면 언제든 요리 재료로 사용 할 수 있다. 그리고 가죽 나물은 그냥 말리면 나물로 좋고, 찹쌀 풀을 발라 말리면 부각이 된다.

때는 바야흐로 초여름 자락으로 접어드는 입하(立夏)로 달려가고 있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